식민지 시기 일상사 자료 수집을 위한 방법론 고찰

' 식민지 시기 일상사 자료 수집을 위한 방법론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alltagsgeschichte
  • archive
  • colonial modernity
  • colonial period
  • localhistory
  • 식민지 근대성
  • 식민지 시기
  • 일상사
  • 자료집성
  • 지방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92 0

0.0%

' 식민지 시기 일상사 자료 수집을 위한 방법론 고찰' 의 참고문헌

  • 醴泉郡誌
  •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여성주의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태혜숙 한국여성학 20 (1) : 33 ~ 56 [2004]
  • 탈근대와 지방사 연구:프랑스와 영국의 경우
    장세룡 대구사학 93 : 277 ~ 308 [2008]
  • 지방지(地方誌)와 구술사:경기남부 지방지를 중심으로
    윤택림 구술사연구 3 (2) [2012]
  •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 1930년대 서울의 백화점과 소비문화
    김백영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75) : 77 ~ 113 [2007]
  • 재조일본인 2세의 식민지 경험-식민 2세 출신 작가를 중심으로
    이수열 한국민족문화 (50) : 99 ~ 122 [2014]
  • 일제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방기중 도서출판혜안 [2004]
  •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도서출판 혜안 [2004]
  • 일제강점기 도시공간의 식민지 근대성: 전주를 사례로
    박선희 문화역사지리 19 (2) : 58 ~ 76 [2007]
  • 일제강점기 대구지방 한글신문의 실태 연구
    박창원 커뮤니케이션 이론 7 (1) : 107 ~ 150 [2011]
  •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의 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사회변동론적 재구성
    조형근 한국사회학 48 (5) : 99 ~ 136 [2014]
  • 일상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균열의 식민지’
    정근식 문학과학사 [2006]
  • 일상사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한국과 독일 일상사의 새로운 만남-
    이상록 도서출판 책과함께 [2006]
  • 일상사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한국과 독일 일상사의 새로운 만남-
    알프 뤼트케 책과함께 [2006]
  • 인류학자의 과거 여행: 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윤택림 역사비평사 [2003]
  •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리햐르트 반뒬멘 푸른역사 [2001]
  • 식민지시기 구룡포지역의 일본인 사회
    이창언 민속학연구 (27) : 91 ~ 115 [2010]
  • 식민지 위생경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유산: 식민지 통치성의 시각에서
    정근식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0) : 221 ~ 270 [2011]
  • 식민지 시기(1910년-1945년)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
    박경숙 한국인구학 32 (2) : 29 ~ 58 [2009]
  • 식민지 근대 연구의 새로운 발견적 도구로서 ‘식민지 공공성’
    김백영 경제와 사회 (91) [2011]
  • 식민지 공공성 : 실체와 은유의 거리
    윤해동 책과함께 [2010]
  • 새로운 식민지 연구의 현주소:‘식민지 근대’와 ‘민중사’를중심으로
    허수 역사문제연구 16 [2006]
  • 민중생활사 편년과 생활사 연표
    20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4차년도 제4차 워크숍 자료집 [2006]
  • 미시사와 거시사
    위르겐 슐룸봄 궁리출판 [2001]
  • 독일 일상사의 이론적 논의
    윤용선 外大史學 8 (1) [1998]
  •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윤해동 휴머니스트 [2004]
  • 구술생애사를 통해서 본 경북여성의 삶-꿈같이 왔다가 꿈같이 가니-
    (재)경북여성정책개발원 국학자료원 [2007]
  • 계획의 식민지/일상의 식민지 –도시사의 시각-
    靑井哲人 건축역사연구 16 (2) [2007]
  • 가까운 옛날:민중생활사의 기록과해석, 연구계획서
  • 日本人學者가 본 제주인의 삶
    이지치 노리코 경인문화사 [2013]
  • 大邱慶北地域의 文化 環境과 朝鮮人 劇場의 로컬리티 -大邱 萬鏡館을 中心으로
    배선애 대동문화연구 (72) : 5 ~ 33 [2010]
  • 今日でなればならないこと民衆生活の記錄と解釋, 조금 떨어져서 바라보는 二十世紀朝鮮의 民衆生活 ,二十世紀朝鮮의 民衆生活
    박현수 二十世紀民衆生活史硏究團3次年度第2次심포지엄 資料集 [2004]
  • 20세기 한국 민중의 살림살이
    20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 2차년도 연구단 심포지엄 자료집 [2004]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
    조성운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6) : 369 ~ 405 [2010]
  • 1930년대 대중잡지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대중’: 잡지 『조광』을 중심으로
    강영걸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 (3) : 157 ~ 18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