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연구 : 패션디자인 보호에 있어 미적 기능성 -Louboutin 항소심 판결(No. 11-3303, 2012 WL 3832285)의 평석-

논문상세정보
' 사례연구 : 패션디자인 보호에 있어 미적 기능성 -Louboutin 항소심 판결(No. 11-3303, 2012 WL 3832285)의 평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esthetic functionality
  • lanhamact
  • louboutin
  • red sole
  • trade mark
  • 단일 색상
  • 랜험법
  • 루부탱 사건
  • 미적 기능성
  • 비출처 식별표지
  • 빨간 밑창
  • 상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 0

0.0%

' 사례연구 : 패션디자인 보호에 있어 미적 기능성 -Louboutin 항소심 판결(No. 11-3303, 2012 WL 3832285)의 평석-' 의 참고문헌

  • 한국패션기업의 지적재산권 보호실태에 관한 연구
    김용주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 (2) : 5 ~ 21 [2001]
  • 패션산업계에서의 지적재산권과 법적 보호의 문제점
    황유선 기업법연구 26 (1) : 333 ~ 358 [2012]
  • 패션디자인의 법적 보호
    육소영 지식재산연구 5 (2) : 81 ~ 109 [2010]
  • 단일색상 패션디자인의 보호
    이재경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내교수학술대회 자료집 : 21 ~ 42 [2013]
  • [時論] 2010년 디자인보호법 개정안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의견
    노태정 창작과 권리 (59) : 216 ~ 241 [2010]
  • The Piracy Paradox: Innov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in Fashion Design
    Kal Raustiala VA. L. REV 92 : 1687 ~ 1722 [2006]
  • The Genuine Article: Some Designers Say Their Work Deserves Copyright Protection; Others Say it Would Harm the Industry
    L.J. Jackson ABA JOURNAL [2011]
  • Raising the Dead: How the Ninth Circuit Avoided the Supreme Court’s Guidelines Concerning Aesthetic Functionality and Still Got Away with It in Au-Tomotive Gold
    Yevgeniy Markov Nw. J. Tech. & Intell. Prop 6 : 197 ~ 198 [2008]
  • Proving A Trademark Has Been Diluted: Theories or Facts?
    J. Thomas McCarthy HOUS. L. REV 41 : 713 ~ 747 [2004]
  • Protecting Single Color Trademarks in Fashion After Louboutin
    Danielle E. Gorman Cardozo Arts & Entertainment Law Journal 30 (2) : 369 ~ 393 [2012]
  • Lessons From Fashion’s Free Culture
    Johanna Blakley TEDXUSC [2010]
  • A Safe Harbor for Trademark: Reevaluating Secondary Trademark Liability After Tiffany v. eBay
    Elizabeth K. Levin Berkeley Technology Law Journal 24 (1) : 491 ~ 52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