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공간과 인민, 그리고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논문상세정보
' 해방 공간과 인민, 그리고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democracy
  • inmin(people)
  • nationalism
  • post-liberationsouthkorea
  • sovereignty
  • 민족주의
  • 민주주의
  • 인민
  • 주권성
  • 해방 공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31 0

0.0%

' 해방 공간과 인민, 그리고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의 참고문헌

  • 「革進」의指標(創刊辭)
    편집부 革進 (창간) [1946]
  • 理性의 沒落: 自由主義者의 抗辯
    오기영 新天地 [1947]
  • 李大統領 建國政治理念: 一民主義의 理論的 展開
    양우정 연합신문사 [1949]
  • 허헌연구
    심지연 역사비평사 [1994]
  • 해방전사의 노래
    임화 무궁화 1 (1) [1945]
  • 해방 직후 최재희와 개인 주체성 담론
    임종명 역사학연구 (53) : 197 ~ 257 [2014]
  • 해방 직후 인민의 문제성과 엘리트의 인민 순치
    임종명 동방학지 (168) : 29 ~ 69 [2014]
  • 해방 직후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
    임종명 역사학연구 (45) : 151 ~ 190 [2012]
  • 해방 직후 남한 엘리트의 이성 담론, 규율 주체 생산과 헤게모니 구축
    임종명 개념과 소통 (12) : 235 ~ 278 [2013]
  • 해방 직후 남한 신문과 베트남 전쟁 재현·표상
    임종명 현대문학의 연구 (54) : 53 ~ 107 [2014]
  • 해방 전후 안호상의 국가지상주의와 '민주적 민족교육론'
    은희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해방 이후 한국전쟁 이전 미국기행문의 미국 표상과 대한민족(大韓民族)의 구성
    임종명 史叢 (67) : 53 ~ 102 [2008]
  • 해방 공간과 신생활운동
    임종명 역사문제연구 16 (1) : 219 ~ 265 [2012]
  • 한국현대사자료총서 11
    김남식 돌베개 [1988]
  • 한국의국가형성과민주주의
    박찬표 후머니타스 [2007]
  •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강만길 창작과비평사 [1996]
  • 주간서울
    자료대한민국사
  • 조선일보
    자료대한민국사 [193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민 형성과 민족 정체성
    김성보 한국사회사학회·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한국학중앙연구원·현대한국연구소 학술대회 『민족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2009]
  • 제1공화국 초기 대한민국의 가족국가화와 內破
    임종명 한국사연구 (130) : 289 ~ 329 [2005]
  • 전쟁과 인민-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
    한성훈 돌베개 [2012]
  • 자료대한민국사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968]
  • 일반언어학강의
    페르디낭 드 소쉬르 형설출판사 [1985]
  • 인민학교 교사가 된 ‘흰패’의 딸들 - 구술을 통해서 본 해방직후 38이북(양양․속초지역) 주민사회와 교육개혁 -
    김영미 진단학보 (111) : 145 ~ 173 [2011]
  • 인도네시아人民에게 주는 詩
    박인환 新天地 [1947]
  • 이강국연구
    심지연 백산서당 [2006]
  • 윤리학 개론
    최재희 박문서관 [1949]
  • 영웅이여 나오라
    박상길 조양사출판부 [1949]
  • 식량정책 특별담화
    이승만 시정월보 7 [1949]
  • 시정월보
    자료대한민국사
  • 서울신문
    자료대한민국사 [2014]
  • 불화 그리고 불온한 시대의 철학: 박치우의 삶과 철학사상
    위상복 [2011]
  • 북한의 ‘인민만들기’와 젠더 정치:배급과 ‘성분-당원’제도를 중심으로
    조영주 한국여성학 29 (2) : 111 ~ 142 [2013]
  •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허종 선인 [2003]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장규식 한국사상사학 (38) : 245 ~ 286 [2011]
  • 무궁화
  • 매일신보
    자료대한민국사 [1910]
  • 동아일보
    자료대한민국사 [1937]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속기록
  • 남북국가 수립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분화
    김성보 한국사연구 (144) : 69 ~ 95 [2009]
  • 근대 국가구성원으로서의 인민 개념 형성(1876~1894) - 民=赤子와 『西遊見聞』의 인민
    김윤희 역사문제연구 13 (1) : 295 ~ 331 [2009]
  • 경향신문
    자료대한민국사 [1946]
  • 革進
  • 開闢
  • 選擧의基本觀念(三)
    금고학인(유진오) 自由新聞 [1948]
  • 語囊
    편집부 革進 (창간) [1946]
  • 解放記念詩集
    중앙문화협회 평화당 인쇄부 [1945]
  • 解放日報
  • 藝術과 生活
    김동석 박문서관 [1948]
  • 自由新聞
  • 脫식민지 시기(1945~1950년) 남한의 국토 민족주의와 그 내재적 모순
    임종명 역사학보 193 (193) : 77 ~ 121 [2007]
  • 社會科學辭典
    유영우 노농사 [1947]
  • 社會科學大辭典
    이석태 문우인서관 [1948]
  • 獨立新報
  • 法治國家의 基本構造-古典的 法治國家의 槪念-
    유진오 法律評論 1 (3) [1949]
  • 法政
  • 法學通論
    전봉덕 국제문화관 [1947]
  • 民聲
  • 民族의 悲願
    오기영 국제문화관 출판부 [1948]
  • 民族主義의 批判
    최재희 民聲 [1948]
  • 民主警察讀本
    김헌 정문관 [1949]
  • 民主朝鮮
    [1946]
  • 民主主義와靑年
    이청원 문우인서관 [1946]
  • 民主主義와經濟
    박문규 문우인서관 [1946]
  • 民主主義와人民
    박치우 문우인서관 [1946]
  • 民主主義講演(十回)
    미군정청 여론국 정치교육과 미군정청 여론국 정치교육과 [1947]
  • 民主主義十二講
    김태준 문우인서관 [1946]
  • 民主主義 朝鮮의 建設
    이강국 조선인민보사 [1945]
  • 權力分立制度의檢討-特히美國憲法을中心으로하야
    유진오 法政 2 (5) [1947]
  • 新語辭典
    한용선 숭문사 [1948]
  • 新民主主義와 新民族主義
    안재홍 革進 (창간) [1946]
  • 新天地
    [1954]
  • 新國家 建設과 倫理
    최재희 開闢 [1948]
  • 文學의人民的基礎
    임화 中央新聞 [1946]
  • 文化國으로서의 生活改善
    대한민국 공보처 週報 12 [1949]
  • 改正所得稅法令에關하야(完)
    권오형 朝鮮中央日報 [1948]
  • 憲法制定의 精神
    유진오 法政 3 (8) [1948]
  • 憲政의 理論과 實際
    유진오 일조각 [1954]
  • 建國設計의 當面大綱: 軍政과人民共和國(下)
    이강국 中央新聞 [1945]
  • 大東新聞
  • 哲學辭典
    이재훈 동국문화사 [1949]
  • 哭迎又一年: 民族의 指向을 찾자
    오기영 京鄕新聞 [1947]
  • 各國選擧制度讀本
    조선과학자동맹 연구사 [1947]
  • 北朝鮮紀行
    온낙중 조선중앙일보출판부 [1948]
  • 制憲國會速記錄
    국회사무처 선인문화사
  • 光明日報
    [2014]
  • 人民의 權利·義務
    홍종인 新天地 [1947]
  • 人民을土台로한政治
    여운형 革進 (창간) [1946]
  • 人民을主人으로하는 根本的措置의斷行
    박익서 新天地 [1947]
  • 人民과 國家(2)
    최봉윤 民主朝鮮 2 [1947]
  • 人民과 國家(1)
    최봉윤 民主朝鮮 1 [1947]
  • 五原則과 八原則
    오기영 新天地 [1946]
  • 二十世紀의 動態(2)
    박상길 대한민국 공보처 [1950]
  • 中等朝鮮語辭典
    문세영 삼문사 [1947]
  • 中央新聞
    [1947]
  • 世界와 韓國
    유진오 自由新聞 [1950]
  • 三黨合黨의生理
    오기영 民聲 2 (10) [1946]
  • 一民主義와 대한민국의 근대민족국가화
    임종명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4 : 267 ~ 312 [2005]
  •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이신철 역사문제연구 14 (1) : 195 ~ 232 [2010]
  • The Two Koreas-A Contemporary History
    Don Oberdorfer Basic Books [2001]
  • Imagined Communities
    Benedict Anderson Verso [1983]
  •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장규식 한국사연구 (150) : 271 ~ 312 [2010]
  •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한모니까 역사비평 (91) : 128 ~ 15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