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고려말 문무병용론의 새로운 제기와 그 의미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고려말 문무병용론의 새로운 제기와 그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철학, 사상
  • civilofficial
  • jungmong-ju
  • military officer
  • tactics
  • yi saek
  • 兵學
  • 鄭夢周
  • 무관
  • 문관
  • 병학
  • 이색
  • 정몽주
  • 李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99 0

0.0%

' 일반논문 : 고려말 문무병용론의 새로운 제기와 그 의미' 의 참고문헌

  • 麗末鮮初 軍法의 運營體系와 改編案
    윤훈표 한국사상사학 21 (21) : 151 ~ 195 [2003]
  • 중세사회의 변화와 조선 건국
    尹薰杓 혜안 [2005]
  •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도현철 한국문화 (49) : 151 ~ 174 [2010]
  • 안축의 대책문과 이민족 대책
    도현철 한국사상사학 (38) : 57 ~ 88 [2011]
  • 대책문을 통해본 정몽주의 국방 대책과 문무겸용론
    도현철 한국중세사연구 (26) : 233 ~ 264 [2009]
  • 고려후기 군사제도 연구
    權寧國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 고려전기의 무반과 군반
    김종수 한국사연구 (164) : 157 ~ 191 [2014]
  • 고려전기 군정 ․ 군령기구의 정비
    권영국 역사와 현실 73 (73) : 127 ~ 157 [2009]
  • 고려전기 군사기구 연구
    전경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고려말 대외관계의 격동과 무장세력의 정치적 지향
    김당택 한국사시민강좌 35 [2004]
  • 고려 초기 장군직의 기능과 성격
    권영국 숭실사학 (27) : 199 ~ 223 [2011]
  • 고려 초기 兵部의 기능과 지위
    권영국 사학연구 (88) : 473 ~ 500 [2007]
  • 고려 초 徇軍部의 설치와 기능의 변화
    권영국 한국사연구 (135) : 115 ~ 140 [2006]
  • 고려 중기 북송의 ‘武學’ 제도 수용
    이성호 지역과 역사 31 (31) : 161 ~ 197 [2012]
  • 高麗末期 官僚制 運營의 禮的 原理
    都賢喆 韓國史硏究 101 [1998]
  • 高麗時代의 臺諫과 宰樞文武兩班
    朴龍雲 誠信女子師範大學硏究 論文集 12 [1979]
  • 高麗時代 武科와 武學
    申千湜 軍史 7 [1983]
  • 高麗前期 武職體系의 成立
    鄭景鉉 韓國史論 19 [1988]
  • 高麗前期 文班과 武班의 身分問題
    朴龍雲 韓國史硏究 21 [1978]
  • 高麗前期 二軍六衛制 연구
    鄭景鉉 서울대학교 [1992]
  • 高麗 恭讓王代 官制改革과 權力構造
    朴宰佑 震檀學報 81 [1996]
  • 高麗 恭愍王代의 政治的 推移와 武將勢力
    李亨雨 軍史 39 [1999]
  • 高麗 兩班社會와 한국사의 時代區分
    金塘澤 歷史學報 166 [2000]
  • 靑丘史草 第一
  • 文武兼全策과 國家發展
    閔丙河 軍史 27 [1993]
  • 恭愍王代 倭寇侵入과 禹玄寶의 ‘上恭愍王疏’
    朴漢男 軍史 34 [1997]
  • 千寬宇先生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閔賢九 正音文化社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