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硏究論文) : 수크령 파종량에 따른 주요녹화식물의 혼파가 비탈면 녹화에 미치는 영향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硏究論文) : 수크령 파종량에 따른 주요녹화식물의 혼파가 비탈면 녹화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ut-slope
  • pennisetum alloperculoides
  • revegetation plants
  • seeding quantity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 0

0.0%

' 연구논문(硏究論文) : 수크령 파종량에 따른 주요녹화식물의 혼파가 비탈면 녹화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훼손비탈면의 한지형 잔디 파종량에 따른 자생식물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김재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 (5) : 1 ~ 12 [2009]
  • 하천 돌망태 호안에 적용된 토목섬유보강토공법의 녹화 특성
    정대영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 (6) : 81 ~ 90 [2008]
  • 지피식물 종에 따른 혼파처리가 비탈면 녹화에 미치는 영향
    조성록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 생태복원용 주요 초화류의 녹화특성
    심상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9 (1) : 64 ~ 71 [2006]
  • 동절기 파종시기에 따른 훼손비탈면의 녹화특성
    김재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 (2) : 29 ~ 39 [2009]
  • 박사
  • Studies on Seed Mixture for Slope Revegetation of the Road
    Lee JP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113 ~ 123 [1995]
  • Rules for testing seeds
    Anonymous pro- ceeding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Seed Analysts 54 (2) : 1 ~ 112 [1964]
  • Design, restoration and management
    Morrison, D. G. University of Georgia [1996]
  • Design on Slopes Revegetation and Tentative Instruction on Construction Work
  •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several herbaceous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Kim N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 (2) : 62 ~ 72 [1997]
  •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disturbed landscapes
    Kim NC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 (1) : 28 ~ 44 [1998]
  •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Kim N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 (1) : 73 ~ 81 [1997]
  • A Study on Selection of Wild plants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Mun SG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5 (3) : 31 ~ 39 [2002]
  • A Study on Afforestation Construction for Cutting Slope in Express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