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는 영원한 이방인인가?

' 디아스포라는 영원한 이방인인가?'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과학
  • "korean-americanliterature,영원한이방인"
  • diaspora
  • native speaker
  • 디아스포라
  • 한국계 미국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22 0

0.0%

' 디아스포라는 영원한 이방인인가?' 의 참고문헌

  • 한국계 미국작가들의 현주소-민족문학의 현 단계 과제와 관련하여
    유희석 창비 : 265 ~ 291 [2002]
  • 한국계 미국소설가의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 연구 -이창래의『네이티브 스피커』에 나타난 다문화모티프를 중심으로
    안광진 한국문예창작 9 (3) : 139 ~ 166 [2010]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정체성 연구
    장윤수 재외한인연구 (25) : 7 ~ 40 [2011]
  • 이창래의 『원어민』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한계
    차민영 영어영문학연구 38 (3) : 103 ~ 124 [2012]
  • 이창래의 『원어민』과 토니 모리슨의 『재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양상
    차민영 현대영어영문학 58 (3) : 267 ~ 287 [2014]
  • 이창래의 『원어민』- 비어있는 기표의 정체성
    고부응 영어영문학 48 (3) : 619 ~ 638 [2002]
  • 이창래 소설에 나타난 ‘시간’의 구조와 ‘혼종’의 가치- <제스처 라이프 >와 <생존자 >를 중심으로
    채근병 국제한인문학연구 1 (1) : 317 ~ 340 [2013]
  • 이산적 정체성과 한국계 미국작가의 문학
    박진영 창비 : 298 ~ 317 [2004]
  • 영원한 이방인
    이창래 나무와 숲 [2003]
  • 미주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민족정체성 고찰 ―이창래, 수잔 최, 이민진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종회 현대문학이론연구 (44) : 201 ~ 221 [2011]
  • 다문화정책과 한인디아스포라
    권희영 재외한인연구 (23) : 77 ~ 100 [2011]
  • 기획 1 - 지구적 자본주의와 한국의 이주노동자 : 외국인 노동자 문제의 배경
    설동훈 실천문학 (여름) : 220 ~ 230 [2004]
  •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체계화
    임채완 한국동북아논총 17 (2) : 311 ~ 337 [2012]
  • Native speaker
    Lee, Chang-rae Riverhead Books [1996]
  • Identity in Diaspora and Diaspora in Writing: the poetics of cultural transrelation
    Zhang, Benzi Journal of Intercultural Studies 21 (2) : 125 ~ 142 [2000]
  • Defining Diaspora, Refining a Discourse
    Butler, Kim D Diaspora 10 (2) : 189 ~ 219 [2001]
  • Affliction and Opportunity: Korean Literature in Diaspora, a Brief Overview
    Kim, Kichung Korean Studies 25 (2) : 261 ~ 276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