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논문상세정보
' 솔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식품과 식료
  • antioxidant properties
  • consumeracceptance
  • pine needle powder
  • quality
  • tofu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81 0

0.0%

' 솔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의 참고문헌

  • 허브첨가 두부의 저장 특성
    전미경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2 (3) : 307 ~ 313 [2006]
  • 한국산 감자의 기관별, 품종별, 중량별, 분포별 및 조리 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에 관한 연구
    임효원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 (3) : 375 ~ 383 [2009]
  • 포도씨의 총페놀 성분,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예측
    이은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8 (4) : 546 ~ 551 [2011]
  • 파래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정동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5) : 745 ~ 749 [2010]
  •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강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9 (1) : 22 ~ 27 [2006]
  • 천연 솔잎추출물의 특성 및 분석
    성기천 韓國油化學會誌 21 (4) : 320 ~ 326 [2004]
  •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이승욱 한국식품과학회지 37 (2) : 233 ~ 240 [2005]
  • 연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박복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 (3) : 315 ~ 320 [2009]
  •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김상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 (1) : 123 ~ 128 [2012]
  • 스크루 배열이 쌀 압출성형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은 산업식품공학 17 (1) : 33 ~ 42 [2013]
  • 솔잎분말과 생즙을 첨가한 쌀 마들렌의 항산화성과 품질 특성
    김원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 (3) : 446 ~ 453 [2014]
  • 솔잎, 홍차 및 녹차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
    전정례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8 (4) : 375 ~ 381 [2005]
  • 솔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최해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 (10) : 1414 ~ 1421 [2009]
  • 솔잎 추출물과 고추냉이의 Vibrio에 대한 항균활성
    박경남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2) : 185 ~ 190 [2003]
  • 솔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이서은 한국식품과학회지 45 (1) : 53 ~ 58 [2013]
  • 솔잎 및 소나무 가지 추출물의 항충치 활성 및glucosyltransferase 억제 효과
    최희돈 한국식품과학회지 39 (3) : 336 ~ 341 [2007]
  •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김수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 (1) : 13 ~ 19 [2002]
  • 복어 분말 첨가가 두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 (4) : 495 ~ 501 [2013]
  • 매생이 가루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정복미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 (5) : 691 ~ 698 [2008]
  • 떫은감 분말의 첨가에 따른 두부의 제조와 품질 특성
    이윤래 한국식품과학회지 43 (3) : 329 ~ 333 [2011]
  • 다양한 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품질 특성
    백용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10) : 1307 ~ 1311 [2008]
  • 노랑 파프리카즙 첨가가 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복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 (4) : 439 ~ 444 [2008]
  • 곰취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박복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8 (5) : 495 ~ 501 [2013]
  • 경도가 동일한 한천 및 젤라틴 젤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류지나 산업식품공학 16 (1) : 14 ~ 19 [2012]
  •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extracts
    Kim YS Food Microbiol 22 : 37 ~ 45 [2005]
  • Tofu qualities as influenced by soybeans storage temperatures
    Lee HJ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 833 ~ 839 [1998]
  •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ang YH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 978 ~ 984 [1995]
  • SAS User's Guide. Ver. 9.1
    SAS SAS Institute [2005]
  • Rheological studies of the tofu upon the processing conditions
    Kim HJ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 324 ~ 328 [1995]
  • Isolated of 4-hydroxy-5-methyl-3[2H]-furanone from pine needles as an antioxidative principle
    Boo YC Agric Chem Biotechnol 37 : 310 ~ 314 [1997]
  • Effects of cow's milk addition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Kim JM J Korean Soc Food Nutr 22 : 437 ~ 442 [1993]
  • Effects of coagulant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Choi YO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7 : 249 ~ 255 [2000]
  • Effects of coagulant concentration and phytic acid addition on the contents of Ca and P and rheological property of soy bean curd
    Park CK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 355 ~ 358 [1994]
  •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Blois MS Nature 181 : 1199 ~ 1200 [1958]
  •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pine needles of Cedrus deodara
    Zeng WC Int J Food Microbiol 153 : 78 ~ 84 [2012]
  •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 againstpathogenic bacteria
    Park CS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5 : 380 ~ 385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