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암차즈기 차 제조와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ti-inflammatory
  • antioxidative
  • fan-firing
  • salvia plebeia r. br.
  • substitute tea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1 0

0.0%

' 배암차즈기 차 제조와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의 참고문헌

  • 침출용매 및 덖음 횟수에 따른 오가피차의 이화학적 특성
    김선화 한국차학회지 18 (2) : 48 ~ 53 [2012]
  • 찻잎의 수확시기가 발효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기호 한국차학회지 17 (3) : 36 ~ 40 [2011]
  • 차 품종별 가공 방법에 따른 녹차의 화학성분 및 품질특성
    김영걸 한국차학회지 16 (1) : 77 ~ 83 [2010]
  •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신승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1) : 68 ~ 74 [2005]
  • 작약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와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임도연 생약학회지 43 (2) : 173 ~ 178 [2012]
  • 왕고들빼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김자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9 (2) : 294 ~ 300 [2012]
  •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정지숙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 (6) : 893 ~ 900 [2014]
  • 열처리에 따른 씀바귀 침출차의 품질특성
    이가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5 (4) : 524 ~ 531 [2008]
  • 여지초의 in vitro 항암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박은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 (4) : 377 ~ 382 [2007]
  • 엄나무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생리기능적 특성
    김선화 한국차학회지 19 (3) : 76 ~ 84 [2013]
  • 약초를 이용한 부분발효차의 제조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
    현숙경 한국차학회지 17 (3) : 54 ~ 58 [2011]
  •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 및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천길용 한국차학회지 19 (3) : 54 ~ 61 [2013]
  • 서양민들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저해효과
    민경천 한국식품과학회지 45 (2) : 206 ~ 212 [2013]
  •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항산화 및 in vitro 항암활성
    배만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6) : 796 ~ 804 [2010]
  • 보성산 유기농 녹차의 품질에 따른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분석
    박경련 한국식품과학회지 41 (1) : 82 ~ 86 [2009]
  •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추출물의 항염 및 항 알레르기 효과
    조선영 생약학회지 41 (1) : 31 ~ 37 [2010]
  •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임진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 (3) : 183 ~ 188 [2007]
  • 발효 온도와 기간에 따른 면보자기 발효차의 성분 변화
    이남숙 한국차학회지 19 (2) : 49 ~ 62 [2013]
  • 미세캡슐화한 녹차 및 자몽종자 추출물이 Murine RAW 264.7 대식세포주의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 비교
    전윤경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5 (5) : 443 ~ 451 [2012]
  • 두릅 순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차재영 생명과학회지 19 (5) : 652 ~ 658 [2009]
  • 덖음차 제조공정 중 덖음 횟수가 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장현 시설원예‧식물공장 15 (1) : 90 ~ 95 [2006]
  • 덖음 횟수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꽃차의 품질 특성
    유정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5) : 647 ~ 652 [2008]
  • 국내 자생 민들레 5종의 항산화 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억제 활성
    최경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1 (3) : 191 ~ 196 [2013]
  • 국내 자생 동백나무의 잎과 꽃으로 만든 엽차와 화차의 주요성분
    차영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 (3) : 183 ~ 190 [2004]
  • 고온고압처리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이화학적 특성
    권오찬 한국식품과학회지 38 (3) : 331 ~ 336 [2006]
  • 건조방법에 따른 양파분말의 품질특성
    이준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 (3) : 342 ~ 347 [2007]
  • 건조방법에 따른 꾸지뽕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윤광섭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 (10) : 1388 ~ 1394 [2012]
  • autoxidation in food and biolofical systems
    Eichner K. Plenum Press : 367 ~ 386 [1980]
  •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McCartney-Francis N J Exp Med 178 (2) : 749 ~ 754 [1993]
  • Suppression Effect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Macrophages by Paeoniae Radix Rubra Extracts
    박종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 (5) : 373 ~ 379 [2011]
  •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Mosmann T. J Immunol Methods 65 (1-2) : 55 ~ 63 [1983]
  • RAW264.7 대식세포에서 Heme Oxygenase-1 발현을 통한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잎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정혜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 (7) : 888 ~ 894 [2012]
  • Protective effects of Salvia plebeia compound homoplantaginin on hepatocyte injury
    Qua XJ Food Chem Toxicol 47 (7) : 1710 ~ 1715 [2009]
  •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
    Kim HJ Korean J Food Nutr 29 (6) : 1127 ~ 1132 [2000]
  •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Bagdan C FASEB J 6 (12) : 3051 ~ 3064 [2001]
  • Inhibition of biochemical model reactions for inflammatory processes by plant extract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Hippeli S Free Radic Res 31 (Suppl) : S81 ~ S87 [1999]
  • In Vivo Sedative and Gastroprotective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Extract and Its Composition of Polyphenols
    Agung Nugroho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5 (8) : 1403 ~ 1411 [2012]
  •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Gonzalez-Castejon M Nutr Rev 70 (9) : 534 ~ 547 [2012]
  •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Shin MK Korean J Pharmacogn 32 (1) : 55 ~ 60 [2001]
  •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 substitute tea and plan in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Kim SH Korean J Food Indust Nutr 19 (1) : 20 ~ 25 [2014]
  •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ca
    Moreno MI J Ethnophamacol 71 (1-2) : 109 ~ 114 [2000]
  •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
    Kim JH Korean J Nutr 31 (4) : 912 ~ 918 [1999]
  •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Singleton VL Am J Enol Viticult 16 (3) : 144 ~ 158 [1965]
  • Chemical fingerprint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alvia plebeia R. Br.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in XF J Pherm Biomed Anal 48 (1) : 100 ~ 104 [2008]
  •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s from Salvia plebeia R. Br
    Lee K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1]
  •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Blois MS Nature 181 (26) : 1199 ~ 1200 [1958]
  •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Salvia plebeia R. Br. -a Chinese herb
    Gu L Food Chem 73 (3) : 299 ~ 305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