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송만영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ctivityarea
  • diggedditch
  • doingspace
  • dwelling
  • openarea
  • settlement
  • square
  • theclusterofdwelling
  • 공지
  • 광장
  • 구획구
  • 주거
  • 주거군
  • 취락
  • 행위공간
  • 활동영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4 4

0.0%

'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의 참고문헌

  •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이형원 호서고고학 (17집) : 26 ~ 71 [2007]
  • 한국 농경사회의 성립
    안재호 한국고고학보 43 [2000]
  • 취락,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3
    김권중 서경문화사 [2014]
  • 충남지역 송국리형 주거지의 조사성과와 과제
    이홍종 청학과 충청문화 2 [2003]
  • 춘천지역의 청동기시대 중심취락과 취락간 관계
    김권중 청동기시대 중심취락과 취락 네트워크, 한국청동기학회 취락분과 제2회 워크숍 발표요지 [2009]
  •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C구역 내 유적, 전문가 검토회의 자료(2차)
  • 청주 내곡동유적 발굴조사 보고
    차용걸 [1986]
  •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고지성환구(高地性環溝)에 관한 고찰
    김권구 한국상고사학보 76 (76) : 51 ~ 76 [2012]
  • 청동기시대 취락연구의 쟁점, In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쟁점
    이형원 ‘청동기시대 마을풍경’ 특별전 학술심포지움 자료 [2010]
  •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이형원 서경문화사 [2009]
  • 박사
  •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영남지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이수홍 한국고고학보 (90) : 4 ~ 35 [2014]
  • 청동기시대 주거고고학
    이수홍 주거의 고고학, 제3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2013]
  • 청동기시대 저장공의 변천양상
    서길덕 겨례문화연구 (창간) [2012]
  • 청동기시대 의례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이상길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의 공간 활용
    이형원 숭실사학 (32) : 5 ~ 41 [2014]
  • 중부지역 원형점토대토기기의 취락구조론
    庄田愼矢 한일취락연구 [2013]
  •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이형원 고고학 11 (2) : 33 ~ 73 [2012]
  • 중부지역 무문토기문화 전기 환호취락의 검토-청원 대율리 환호취락의 성격-
    공민규 중앙고고연구 1 [2005]
  •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송만영 서경문화사 [2013]
  • 중도식 주거 문화권의 주거지와 취락
    송만영 숭실사학 31 (31) : 5 ~ 47 [2013]
  • 중기 무문토기시대의 취락 구조의 변이-영남지방을 중심으로
    안재호 영남고고학 29 [2001]
  • 울산 천상리 환호취락에 대하여
    하진호 조사연구회 14 [2001]
  • 울산 다운동 유적의 청동기시대 주거지 양상
    유병일 울산연구 2 [1999]
  •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
    이희준 한국고고학보 43 [2000]
  • 박사
  • 북한강 중상류역 청동기시대 석기제작 시스템에 대한 소고
    홍주희 강원고고학보 11 [2008]
  • 무문토기시대 가구 연구-미세형태학적 분석을 통해서
    Rachel Lee 주거의 고고학, 제3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2013]
  • 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안재호 학연문화사 [2009]
  • 동남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의 편년 및 지역성
    李秀鴻 영남고고학 (40) : 27 ~ 52 [2007]
  • 대전 상서동유적
    우재병 충남대학교박물관 [2006]
  • 대구지역의 청동기시대 중심취락과 취락간 관계
    하진호 청동기시대 중심취락과 취락 네트워크, 한국청동기학회 취락분과 제2회 워크숍 발표요지 [2009]
  • 남한지방 농경문화형성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
    송만영 한국 농경문화의형성, 제2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2001]
  • 낙동강중류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변천-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하진호 한일취락연구 [2013]
  • 금강유역 송국리형 묘제의 연구-석관묘ㆍ석개토광묘ㆍ옹관묘를 중심으로-
    김승옥 한국고고학보 45 [2001]
  • 광장에 대한 인식
    최종규 역사교육논집 13 (14) [1990]
  •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주거지를 중심으로-
    김현식 한국상고사학보 54 (54) : 49 ~ 80 [2006]
  • 韓國 先史時代 女性과 女性性
    김종일 한국고고학보 (78) : 5 ~ 28 [2011]
  • 蔚山 新峴洞 黃土田遺蹟
    김현식 蔚山文化財硏究院 [2003]
  • 華城 雙松里 遺蹟
  • 無文土器時代 聚落의 變遷-住居址를 통한 中期의 設定-
    안재호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 淸原 大栗里ㆍ馬山里ㆍ楓井里遺蹟
  • 松菊里Ⅵ-부여 송국리유적 제12차ㆍ13차 발굴조사
  •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이창희 한국고고학보 81 (81) : 269 ~ 291 [2011]
  • 彌生時代 據點聚落의 構造變化와 首長의 墳墓-彌生時代 中期부터 後期終末期의 佐賀ㆍ神埼地方의 例-
    七田忠昭 한일취락연구 [2013]
  • 安城 盤諸里遺蹟
  •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송만영 한국고고학보 (80) : 29 ~ 62 [2011]
  • 中西部地域 靑銅器時代 前期 住居의 構造 變化와 意味
    박성희 한국청동기학보 (11) : 30 ~ 63 [2012]
  •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權五榮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