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 일반논문 :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ceptu al history
  • democratization
  • gugeo
  • ideologization
  • modern
  • politicization
  • temporalization
  • 개념사
  • 국문
  • 국어
  • 근대
  • 민주화
  • 시간화
  • 이념화
  • 정치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83 0

0.0%

' 일반논문 :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의 참고문헌

  •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태린 國語學 48 (48) : 363 ~ 394 [2006]
  • 흔들리는 언어들: 언어의 근대와 국민국가
    임형택 성균관대 출판부 [2008]
  • 한일 근대어문학 연구의 쟁점
    고영진 소명출판 : 199 ~ 240 [2013]
  • 한글운동과 근대어 이데올로기
    이혜령 역사비평 33 (71) : 337 ~ 355 [2005]
  •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이상혁 박이정 [1997]
  •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백두현 문학과 언어 26 : 1 ~ 16 [2004]
  • 한국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박슬기 소명출판 [2011]
  • 지나간 미래
    라인하르트 코젤렉 문학동네 [1998]
  • 조선시대의 언어⋅문자관과 어문생활의 몇 양상: 근대한국어 시기 언어⋅문자관연구의 槪觀을 위하여
    이현희 (사)훈민정음학회 2014년 제1차 집담회(2014/04/24) 발표문 [2014]
  • 정치⋅사회적 개념의 역사-비판적 소개
    멜빈 릭터 小花 [2010]
  • 일제시대의 언어정책과 언어운동에 관한 연구-언어관과 이데올로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태린 연세대 [1997]
  • 인민의 탄생 : 공론장의 구조 변동
    송호근 민음사 [2011]
  •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
    백두현 언어과학연구 1 (28) : 115 ~ 140 [2004]
  • 언어적 근대의 기획 - 주시경과 그의 시대
    김병문 소명출판 [2013]
  • 어문민족주의와 표준어의 정립
    정승철 인문논총 23 : 159 ~ 180 [2009]
  • 애국계몽기의 국어 의식-당대 연구자들의 국어관을 중심으로
    이상혁 어문논집 41 : 105 ~ 139 [2000]
  •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베네딕트 앤더슨 나남출판 [2002]
  •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최경봉 동방학지 23 (158) : 231 ~ 269 [2012]
  •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 과정 연구-논설문의 성립 환경과 문장 모델을 중심으로
    배수찬 소명출판 [2008]
  • 근대어의 형성과 매체의 언어전략 - 언어, 매체, 식민체제, 근대문학의 상관성
    한기형 역사비평 35 (71) : 356 ~ 377 [2005]
  •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사이토 마레시 현실문화 [2010]
  • 근대어⋅근대매체⋅근대문학-대동문화연구총서24
    정선태 성균관대 출판부 [2006]
  • 근대 이행기 한국의 자국어 인식」,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자국어 인식과 자국어학의 성립
    장윤희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국제학술회의 31 : 319 ~ 343 [2012]
  • 국어라는 사상—근대 일본의 언어 인식—
    李姸淑 소명출판 : 2006 ~ [2006]
  •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박근갑 小花 [2009]
  •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나인호 역사비평사 [2005]
  • 愛國啓蒙主義時代의 國語觀
    이병근 한국학보 12 : 176 ~ 192 [1978]
  • 國文論集成, 역대한국문법대계 제3부 제3책
    河東鎬 탑출판사 [1985]
  • 十九世紀末의 國文論에 대하여
    이기문 語文論集 19,20 [1977]
  •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획된 것인가—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주시경과 그의 시대』(소명출판, 2013) —
    이병기 개념과 소통 (14) : 223 ~ 243 [2014]
  • Introduction and Prefaces to the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Michaela Richter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Concepts 6 (1) : 1 ~ 3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