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생태,경관보전지역 선정을 위한 경상남도 황석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 : 생태,경관보전지역 선정을 위한 경상남도 황석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위생, 도시, 환경공학
  • endemicplant
  • naturalized plant
  • rare plant
  • specific plant
  • 귀화식물
  • 특산식물
  • 특정식물
  • 희귀식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0 0

0.0%

' 연구논문 : 생태,경관보전지역 선정을 위한 경상남도 황석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의 참고문헌

  • 환경친화적 국토보전을 위한 자연생태계 평가요인 및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유주한 환경영향평가 14 (4) : 165 ~ 177 [2005]
  •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 206 ~ [2005]
  •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김혁진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4 (5) : 549 ~ 556 [2011]
  •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300
    산림청 산림청, 국립수목원 : 492 ~ [2010]
  •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Ⅶ. 남부아구(경상남도) 및 울릉도아구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 743 ~ [2010]
  •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이유미 식물분류학회지 41 (1) : 87 ~ 101 [2011]
  •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산림청국립수목원 : 332 ~ [2009]
  •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 식물상
    원주지방환경청 원주지방환경청 [2009]
  • 청태산 지역(강원도 평창군)의 식물상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41 (4) : 415 ~ 428 [2011]
  •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의 식물상 변화연구
    김창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 (5) : 25 ~ 37 [2008]
  •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환경부 : 76 ~ [2006]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거창, 함양)
    환경부 환경부 : 1 ~ 67 [2006]
  •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김철환 환경생물 18 (1) : 163 ~ 198 [2000]
  • 입면녹화용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
    박용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 (3) : 270 ~ 276 [1997]
  • 원색대한식물도감(상)
    이창복 향문사 : 914 ~ [2003]
  •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아카데미서적 : 624 ~ [1996]
  • 원색 대한식물도감(하)
    이창복 향문사 : 910 ~ [2003]
  •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최해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 우리나라 자생 말나리의 형태 및 자생지 환경 분석
    송창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 왕피천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분석
    변준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 왕피천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자연환경정밀조사 : 266 ~
  • 오대산국립공원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다른 산림구조
    박인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 (2) : 126 ~ 132 [1996]
  •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김종원 월드사이언스 : 17 ~ 23 [2006]
  • 소황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기본계획 수립방안 연구 : 228 ~
  •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박수현 일조각 : 575 ~ [2009]
  •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에 관한 연구
    신현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 (2) : 147 ~ 155 [1998]
  •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 : 168 ~ [2012]
  • 생태계 보호지역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방안
    박용하 환경영향평가 17 (3) : 177 ~ 188 [2008]
  • 박사
  •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
    이영노 교학사 : 885 ~ [2006]
  •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이영노 교학사 : 974 ~ [2006]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MIROC3.2 A1B에 따른 우리나라 산림식생분포의 변화 전망
    신형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 (1) : 64 ~ 75 [2012]
  • 동강유역의 식물상
    이웅빈 생태와 환경 35 (5) : 396 ~ 414 [2002]
  •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식물상
    원주지방환경청 원주지방환경청 : 266 ~ [2008]
  •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특성
    권혜진 한국임학회지 97 (3) : 296 ~ 304 [2008]
  • 기생식물 미국실새삼의 분포 및 기주식물상
    황선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6 (2) : 289 ~ 302 [2013]
  • 기상연보 : 26 ~ 27
    기상청 [2012]
  •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 534 ~ [2007]
  • 경북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의 식물상 연구
    박선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 (5) : 415 ~ 431 [2007]
  • 거금도의 습지식물상과 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김하송 한국도서연구 7 : 203 ~ 215 [1996]
  • http://www.me.go.kr
  • http://egis.me.go.kr
  • Risk assessment: simultaneously prioritizing the control of invasive plant species and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 species
    Miller TK Biological Conservation 143 : 2070 ~ 2079 [2010]
  • Multiple-scale habitat modeling approach for rare plant conservation
    Wu XB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1 : 11 ~ 28 [2000]
  •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IUCN IUCN : 32 ~ [2012]
  • Hotspots within hotspots: endemic plant richness, environmental drivers, and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Canadas EM Biological Conservation 170 : 282 ~ 291 [2014]
  • Genetic diversity of the threatened Chinese endemic plant, Sinowilsonia henryi Hemsi.(Hamamelidaceae), revealed by inter-simple sequnce repeat(ISSR)markers
    Zhou T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56 : 171 ~ 177 [2014]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 666 ~
    Melchior H [1964]
  • 2012 생태·경관우수지역발굴조사 : 563 ~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