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정조(貞操) 담론의 근대적 형성과 법제화 -1945년 이전 조일(朝日) 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정조(貞操) 담론의 근대적 형성과 법제화 -1945년 이전 조일(朝日) 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enefitandprotectionofthelaw
  • chastity
  • crimerelatedtochastity
  • criminal law
  • eugenics
  • free love
  • monogamy
  • thestudyofsexualdesires
  • 貞操
  • 보호법익
  • 성욕학
  • 우생학
  • 일부일처
  • 자유연애
  • 정조
  • 정조에관한죄
  • 형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07 0

0.0%

' 일반논문 : 정조(貞操) 담론의 근대적 형성과 법제화 -1945년 이전 조일(朝日) 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형법각론
    이재상 박영사 [2013]
  • 한국현대여성의 일상문화 – 1. 연애
    이화형 국학자료원 [2005]
  • 한국근대여성의 일상문화 – 1. 연애
    이화형 국학자료원 [2004]
  • 조선일보
    [1934]
  • 정절의 역사 – 조선지식인의 성담론
    이숙인 푸른역사 [2014]
  • 일본개정형법가안에 관한 일고찰
    오영근 형사정책연구 10 (1) [1999]
  • 일본 초등학교 수신서(1904)
    김순전 제이앤씨 [2005]
  • 위생의 시대 - 병리학과 근대적 신체의 탄생
    고미숙 북드라망 [2014]
  • 우생학과 일본인의 표상 ─1920-40년대 일본 우생학의 전개와 특성─
    강태웅 日本學硏究 38 : 29 ~ 46 [2013]
  • 열녀의 탄생 :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강명관 돌베개 [2009]
  •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 성도덕과 우생결혼의 100년간
    가토 슈이치 소화 [2004]
  • 여자고등보통학교수신서 권 1∼4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1925]
  • 식민지시기 근대적 이혼제도와 여성의 대응
    소현숙 한양대학교 [2013]
  • 식민지시기 가족 관습법과 젠더 질서-『관습조사보고서』의 젠더인식을 중심으로-
    홍양희 한국여성학 23 (4) : 87 ~ 118 [2007]
  • 식민지기 조선 민사법의 호주권 기능-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와의 비교분석적 접근-
    오카자키 마유미 법사학연구 (47) : 51 ~ 83 [2013]
  • 식민지 근대의 ‘성과학’ 담론과 여성의 성
    이명선 여성건강 2 (2) [2001]
  • 수신하는 제국-명치⋅대정기 < <심상소학수신서 > > 연구
    김순전 제이앤씨 [2004]
  • 수신하는 제국 - 명치⋅대정기 < <심상소학수신서 > >연구
    이병담 제이앤씨 [2004]
  • 섹슈얼리티의 근대 - 일본 근대성가족의 탄생
  • 성형법 담론에서 섹슈얼리티의 논의지형과 한계 -혼인빙자감음죄와 간통제 페지논의를 중심으로-
    이호중 형사정책 23 (1) : 337 ~ 362 [2011]
  • 서북학회월보
  • 법익의 보호범위의 확대와 해석의 한계 -형사법익과 민사법익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석원 법학연구 (41) : 291 ~ 315 [2011]
  • 명청 시기 여성 교육서 고찰
    송경애 동북아 문화연구 1 (34) : 313 ~ 329 [2013]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동아시아의 국민국가 형성과 젠더 -여성표상을 중심으로
    하야카와 노리요 소명출판 [2009]
  • 독일법이 한국에 미친 영향- 한국형법의 역사와 정체성 -
    최준혁 법학연구 14 (3) : 191 ~ 215 [2011]
  • 대한홍학보
  • 김일엽의 신여자 연구
    유진월 푸른사상 [2006]
  • 급진적 섹슈얼리티 연구(sexuality study) 재/구축을 제안하며
    박이은실 여성이론 (겨울) [2011]
  • 근대여성, 제국을거쳐조선으로회유하다
    박선미 창비 [2005]
  • 근대수신교과서 1
    안종화 소명출판 [2011]
  •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길진숙 소명출판 [2007]
  • 근대계몽기 여성 담론
    홍인숙 혜안 [2009]
  • 근대가족의 성립과 종언
    우에노 치즈코 당대 [2009]
  • 근대 <처녀 >의 섹슈얼리티 - 한일 초기 여성소설을 중심으로 -
    명혜영 日本文化學報 (46) : 291 ~ 312 [2010]
  • 권업신문
  • 경찰학 · 주해 형법전서
    허재영 경진출판사 [2013]
  • 간통죄와 여성의 섹슈얼리티 - 18, 19세기 독일의 계몽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도기숙 독일언어문학 (43) : 95 ~ 115 [2009]
  • 貞操蹂躙とその裁判
    実田実男 二松堂書店 [1930]
  • 珍らしい裁判實話
    友次壽太郞 法令文化協會 [1944]
  • 獨逸刑法
    법무부 법무부 [2008]
  • 法律原論: 附⋅比較法制学講義(明治法律学校36年度2学年講義録)
    ルイ⋅ブリデル 述 明治法律学校講法会 [1903]
  • 民法と無産者階級 : 附・法学の社会的使命
    アントン・メンガア 홍문당서방 [1926]
  • 本朝古今閨媛略傳
    高師聖 高義亮 [1882]
  • 日帝時期 離婚訴訟과 日本人 判事 -1910年代를 中心으로-
    吉川絢子 법사학연구 (44) : 171 ~ 209 [2011]
  • 敎育勅語唱歌集
    農美重由 明輝社 [1896]
  • 性欲生活と両性の特徴
    羽太銳治 日本評論社出版部 [1920]
  • 性慾に対する女子煩悶の解決
    羽太鋭治 隆文書院 [1921]
  • 幼學綱要 巻之5
    元田永孚 元田永孚 [1883]
  • 尋常小学修身科教授書 권3
    岸具瞻 益智館 [1889]
  • 守節과 再嫁 사이에서 - 식민지시기 寡婦담론 -
    소현숙 한국사연구 (164) : 59 ~ 89 [2014]
  • 女性と愛慾
    田中香涯 大阪屋号書店 [1923]
  • 全人格的生活と修身教授の諸相
    河野通頼 厚生閣書店 [1927]
  • 修身教本: 高等小学校教員用 巻4
    小山左文二 普及舎 [1901]
  • 二十世紀之男女
    坂本正雄 警醒社書店 [1913]
  • 中ㆍ韓 兩國의 貞節 觀念과 樣相 考察 ― 明淸과 朝鮮을 중심으로 ―
    박순철 한국사상과 문화 (46) : 377 ~ 411 [2009]
  • 『세이토(靑탑)』의 여성담론 연구
    박유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 “음행의 상습 없는 부녀”란 누구인가?: 형법, 포스트식민성, 여성 섹슈얼리티, 1953~1960년
    박정미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4) : 261 ~ 295 [2012]
  • ‘정조유린’담론의 역설 ―1920~30년대 정조유린위자료청구소송과 정조담론
    소현숙 역사문제연구 16 (2) : 207 ~ 241 [2012]
  • The German Penal Code of 1871
  • <少女 >像の誕生-近代日本における「少女」規範の形成
    渡部周子 新泉社 [2007]
  • 20세기 성의 역사
    앵거스 맥래런 현실문화연구 [2003]
  •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
    전미경 한민족문화연구 29 (29) : 405 ~ 43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