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문·한글 병용 古文書 三例의 고찰

안승준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시대 한문·한글 병용 古文書 三例의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oijinrip
  • documentwritteninchinesecharactersandtranslatedinhangeul
  • hangeulletters(諺簡)
  • jeonryeongmessage
  • jineonbeondeung(眞諺?謄)
  • ladysurnamedgwangsankim
  • olddocument
  • therichchoifamilyingyeongju
  • 경주최부자집
  • 고문서
  • 광산김씨부인
  • 전령
  • 진언번등(眞諺?謄)
  • 최진립
  • 한글편지(諺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3 0

0.0%

' 조선시대 한문·한글 병용 古文書 三例의 고찰' 의 참고문헌

  • 한글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백두현 서강인문논총 22 : 157 ~ 203 [2007]
  • 한글 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백두현 역락 [2011]
  • 한글 土地賣買明文
    정승혜 문헌과해석 8 [1999]
  • 조선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6: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 간찰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2009]
  • 조선후기 한글 간찰(언간) 영인본 3: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전주이씨 덕천군파 종택 한글 간찰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2009]
  •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를 중심으로 -
    백두현 어문론총 (42) : 21 ~ 56 [2005]
  •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황문환 국어사연구 (10) : 73 ~ 131 [2010]
  • 이두연구
    남풍현 태학사 [2000]
  • 韓國 簡札資料選集 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 朝鮮時代 土地賣買에 사용된 한글 牌旨
    정승혜 문헌과해석 9 [1999]
  • 宣祖國文諭書의 國語學的 意義
    이병근 관악어문연구 21 [1996]
  • 17세기 왕실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이종덕 서울시립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