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기 한국에서의 5ㆍ4운동 연구사

' 20세기 후반기 한국에서의 5ㆍ4운동 연구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enduxiu
  • criticizingtraditionalthought
  • hu shi
  • literaturerevolution
  • makingnation-state
  • mayfourthmovement
  • 五四運動
  • 傳統思想批判
  • 國民國家建設
  • 文學革命
  • 胡適
  • 陳獨秀
  • 국민국가건설
  • 문학혁명
  • 오사운동
  • 전통사상비판
  • 천두슈
  • 후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9 0

0.0%

' 20세기 후반기 한국에서의 5ㆍ4운동 연구사' 의 참고문헌

  • 李大釗:중국사회주의의 기원
    모리스 메이스너 지식산업사 [1992]
  • 李公範敎授停年紀念東洋史論叢
    曹焄 지식산업사 [1993]
  • 李公範敎授停年紀念東洋史論叢
    金貞和 지식산업사 [1993]
  • 李光洙의 新文學 理念과 反儒敎主義의 性格-1910년대 中國의 陳獨秀와 비교하여-
    金興圭 語文論集 28 (1) [1989]
  • 歷史의 再照明
    李炳柱 소화출판사 [1995]
  • 梁啓超의 文學革命運動이 中國 現代文學에 미친 影響
    崔亨旭 中語中文學 19 [1996]
  • 현대중국의 리얼리즘이론
    전형준 창작과비평사 [1997]
  • 현대신유학 연구
    김제란 동녘 [1994]
  • 현대 중국 지식인의 위상
    이성규 (서울대)지역연구 5 (1) [1996]
  • 현대 중국 문학의 이해
    전형준 문학과지성사 [1996]
  • 향후 中國近代文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건의
    민정기 東亞文化 36 [1998]
  • 한국에서의 중국 근현대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임춘성 中國學報 38 [1998]
  • 중국현대문학과 현대성 이데올로기
    정진배 [2001]
  • 중국의 근대적 문학의식 탄생
    홍석표 [2007]
  • 중국공산주의 운동사
    벤자민 슈워츠 형성사 [1983]
  • 중국공산당 창립시기의 사상투쟁에 관하여
    김세은 (成大)史林 5 [1989]
  • 중국 현대사상사의 굴절
    李澤厚 지식산업사 [1992]
  • 중국 신문학사론의 양상 및 그 비판적 검토(1)
    이욱연 梨花馨苑 8 [1996]
  • 중국 근현대 문학사론의 검토와 과제
    임춘성 中國現代文學 12 [1997]
  • 중국 근대 지식인의 정체성 위기와 문학사유에 관한 연구
    이종민 中國現代文學 14 [1998]
  • 중국 근대 문학에서의 근대성과 反근대성 : 시골-도시의 대비를 중심으로
    정진배 中國語文學論集 6 [1994]
  • 중국 ‘五ㆍ四’시기에 수용된 외래사조 연구
    김정육 (慶南大)人文論叢 12 [1999]
  • 일본에서 五ㆍ四운동의 연구현황
    조훈 總神大論叢 15 [1996]
  • 인문과학
    河正玉 성균관대인문과학연구소 [1982]
  • 부와 권력을 찾아서
    벤저민 슈워츠 한길사 [2006]
  • 백화문 운동과 주체의 문제 : ‘우리’는 누구인가?
    정진배 中國語文學論集 12 [1999]
  • 민족의식의 역사인류학
    베네딕트 앤더슨 서경문화사 [1995]
  • 민두기 사학의 일면 ― 한 중국사학자의 ‘중국사 담론’ ―
    임상범 동양사학연구 (107) : 331 ~ 381 [2009]
  • 동아시아의 귀환-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백영서 작과비평사 [2000]
  • 노신 소설과 5ㆍ4운동
    全炯俊 외국문학 3 [1984]
  • 근대 중국의 중서문화충돌과 인간에 대한 이해
    홍석표 中國現代文學 16 [1999]
  • 근대 중국의 문학적 사유읽기
    李琮敏 소명출판 [2004]
  •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백영서 지식산업사 [1995]
  • 국민국가의 형성과 계보
    찰스 틸리 학문과사상사 [1994]
  • 韓ㆍ中 근대언어운동과 보편성 논리의 再考
    정진배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1995]
  • 韓ㆍ中 新文學運動의 比較硏究
    車相轅 中國學報 [1974]
  • 陳獨秀의 民主國家觀 - 신문화운동기를 전후하여 -
    허증 大邱史學 52 [1996]
  • 陳獨秀의 敎育思想
    신일섭 歷史學硏究 12 [1993]
  • 陳獨秀의 康有爲論, - 康有爲의 孔敎論과 立憲君主論에 대한 陳獨秀의 批判 -
    申一燮 湖南大學論文集 11 [1990]
  • 陳獨秀의 國民國家論 -- 新文化運動時期를 중심으로
    林相範 東洋史學硏究 68 [1999]
  • 陳獨秀의 初期思想에 대하여
    裵京漢 釜山女大 論文集 14 [1983]
  • 陳獨秀와 李光洙 -韓ㆍ中 新文化運動에 있어서의 儒敎批判
    黃鍾淵 比較文學 [1988]
  • 陳獨秀評傳
    토마스 쿠오 민음사 [1985]
  • 阜村申延澈敎授停年退任紀念史學論叢
    金貞和 일월서각 [1995]
  • 近代中國의 婦女解放論 -- 新靑年 과 婦女雜誌 의 ‘自由戀愛論 ’을 중심으로
    李宣坭 中國史硏究 7 [1999]
  • 辛亥革命 - 五四時期 政局과 政治理念의 照應 -孫文思想의 變遷을 中心으로-
    전동현 이화여대대학원 연구논집 21 [1991]
  • 講座中國史 6
    姜明喜 지식산업사 [1989]
  • 西學在中國:五四運動90周年的思考
    童世駿 三聯書店 [2010]
  • 蔡元培의 理想主義 실천 -- 留法勤工儉學운동의 교육구국적 측면
    김정화 忠北史學 10 [1998]
  • 蔡元培의 中西文化融合論 연구
    이태실 學林 14 [1992]
  • 胡適의 近代 韓國文學에 미친 影響 - 特히 哲學 및 思想을 中心으로
    李錫浩 延世論叢 12 (1) [1975]
  • 胡適의 文學革命의 影響과 그 受容 樣態
    李錫浩 中國文學 2 [1974]
  • 胡適의 文學革命運動에 대하여
    殷富基 (전남대)論文集 22 [1976]
  • 胡適의 文學改良論 考察
    徐義永 中國人文科學 1 [1982]
  • 胡適과 그의 新文化運動考
    安秉均 (경기대학교)論文集 22 [1988]
  • 胡適과 自由民主主義
    李洪吉 全南大學校 論文集 30 [1985]
  • 胡適 白話文 運動의 原流
    李廷吉 中國學論叢 2 [1994]
  • 知識人小說을 통해 본 五四의 時代精神과 時代情緖
    金尙源 중문학연구 18 [1999]
  • 白華 梁建植의 中國新文學運動 收容 硏究
    성현자 비교문학 [1999]
  • 無政府主義思想의 中國으로의 傳播
    朴濟均 慶北史學 16 [1993]
  • 淸末民國初 無政府主義와 家族革命論
    조세현 中國現代史硏究 8 [1999]
  • 段祺瑞軍閥政權의 對內外的 期盼과 그 性格
    朴埈洙 江原史學 13 (14) [1998]
  • 東아시아의 人間像
    鄭文祥 혜안 [1995]
  • 書評:林毓生 等著, 五四:多元的反思
    林相範 中國現代史硏究 1 [1995]
  • 新靑年의 白話文學運動
    金榮九 韓國放送通信大學論文集 12 [1991]
  • 新靑年과 文學革新
    高厚源 中國文學硏究 [1984]
  • 新靑年 편집 방향의 변화
    金榮九 中國學報 30 [1990]
  • 新靑年 雜誌의 성격 변화 연구
    신일섭 全南史學 5 [1991]
  • 新潮社小考
    徐義永 中國人文科學 2 [1983]
  • 新文化運動에 나타난 反유교전통정신
    趙璟姬 中國語文論叢 3 [1990]
  • 新文化運動中 定期刊行物에 關한 硏究
    高厚源 中國文學硏究 [1989]
  • 新中華建設의 大任을 自負하는 靑年에게 寄하노라
    동아일보 [1920]
  • 文學革命運動의 背景과 展開
    河正玉 中國文學報 3 [1976]
  • 文學革命 小考
    徐義永 외대 어문 논총 3 [1990]
  • 建設 誌와 朱執信의 役割
    白永瑞 東洋史學硏究 19 [1984]
  • 工學 雜誌와 五四時期 無政府主義思潮
    朴濟均 中國現代史硏究 1 [1995]
  • 學生運動으로 본 三ㆍ一運動과 五ㆍ四運動
    鄭世鉉 三ㆍ一運動 50주년기념논문집 [1969]
  • 回顧와 展望(東洋史):近代
    咸洪根 歷史學報 44 [1969]
  • 北京에서의 5ㆍ4運動에 대한 再檢討
    林相範 史叢 45 [1996]
  • 初期 魯迅의 懺悔意識과 近代意識
    유세종 中語中文學 15ㆍ16 [1994]
  • 共和에서 革命으로 -- 民初 論爭으로 본 中國 國民國家 形成
    白永瑞 東洋史學硏究 59 [1997]
  • 亞細亞의 民族主義運動 : 3ㆍ1運動 硏究의 問題點
    千寬宇 東洋史學硏究 4 [1970]
  • 亞細亞의 民族主義 運動 : 討論要旨
    東洋史學硏究 4 [1970]
  • 五四運動에 對한 日本政府의 對應
    羅弦洙 歷史敎育 36 [1984]
  • 五四運動論
    조훈 海士論文集 20 [1984]
  • 五四運動期 女性의 地位
    白永瑞 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 8 [1984]
  • 五四運動時期 北京政府의 역사적 성격
    김세호 中國現代史硏究 7 [1999]
  • 五四運動指導勢力의 性格-1910年代 上海社會를 중심으로-
    金泰丞 京畿史學 1 [1997]
  • 五四運動前의 革新氣運과 文學運動
    張基槿 中國現代文學 1 [1987]
  • 五四精神과 社會主義 中國化過程에서의 ‘內聖外王’
    柳泳夏 中國現代文學 16 [1999]
  • 五四期 無政府主義者의 理想追求運動
    朴濟均 大邱史學 50 [1995]
  • 五四時期의 文學意識 變化
    金榮九 中國學報 [1993]
  • 五四時期의 反傳統思想 -- 􋺷新靑年􋺸을 中心으로
    金貞和 忠北大學校 論文集 29 [1985]
  • 五四新文化運動時期 王統照 小說 속의 知識人形象 硏究
    金尙源 중국문학연구 16 [1998]
  • 五四 近代性과 社會進化論
    鄭晋培 인문과학 74 [1996]
  • 五ㆍ四運動의 解剖 - 中國 革命의 原點
    李聖根 李聖根 知性 [1972]
  • 五ㆍ四運動의 性格에 대하여 -- 運動主體와 樣態를 中心으로 --
    曺焄 (成大)史林 [1978]
  • 五ㆍ四運動의 思想史
    丸山松幸 일월서각 [1983]
  • 五ㆍ四運動과 中國新文學
    白禎喜 (국민대)中國學論叢 1 [1985]
  • 五ㆍ四運動期 陳獨秀 思想의 變化 - 李大釗와 비교하여
    李玠奭 서울대 동양사학과논집 2 [1978]
  • 五ㆍ四運動期 前後 中國知識人의 反基督敎論爭
    吳在環 歷史學報 111 [1986]
  • 五ㆍ四時期의 新靑年 雜誌
    高厚源 (계명대)中國學誌 1 [1983]
  • 中國의 近代 내쇼널리즘 形成에 미친 韓國의 役割」1
    李聖根 明大論文集 7 [1974]
  • 中國의 近代 내쇼널리즘 形成에 미친 韓國의 役割 2
    李聖根 明大論文集 8 [1975]
  • 中國의 新文學 운동 초기의 新劇 운동
    金恒壽 (서울대)文理大學報 15 [1969]
  • 中國의 思想啓蒙運動에 있어서 ‘科學’의 意味 分析 - 五四時期를 중심으로-
    강명희 韓世大學校 敎授論叢 13 [1998]
  • 中國에서의 自由主義의 實驗 - 胡適의 思想과 活動
    민두기 지식산업사 [1996]
  • 中國近現代 文學史에 있어서의 改革과 革命
    金學主 中國學報 [1993]
  • 中國社會思想史: 유교사상, 유교적 사회와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宋榮培 한길사 [1986]
  • 中國現代文學의 思想的先驅 - 革命軍과 警世鍾 -
    張基槿 東亞文化 8 [1968]
  • 中國現代文學論
    許世旭 文學藝術社 [1982]
  • 中國現代文學史
    金時俊 지식산업사 [2009]
  • 中國現代文學史
    許世旭 法文社 [1999]
  • 中國現代政治思想史
    체스타 탄 지식산업사 [1977]
  • 中國現代大學文化硏究
    白永瑞 一潮閣 [1994]
  • 中國新文學의 傳統硏究
    李充陽 中國文學 12 [1984]
  • 中國新文學運動의 遠因 및 近因考
    全寅初 (연대)人文科學 35 [1976]
  • 中國新文學運動의 發端과 進展
    徐義永 (전남대)人文科學硏究 10 [1980]
  • 中國新文學運動의 反對派에 대하여
    徐義永 中國人文科學 3 [1984]
  • 中國新文化運動期의 儒敎 -- 吳虞의 論說을 중심으로
    咸洪根 梨大史苑 22ㆍ23 [1988]
  • 中國文學史
    車相轅 東國文化社 [1958]
  • 中國學生의 五四運動
    金成植 새벽 7 (4) [1960]
  • 中國土着資本의 발전에 관한 一考察
    曺焄 (成大)史林 6 [1990]
  • 中國國民革命의 分析的 硏究
    閔斗基 지식산업사 [1985]
  • 中國共産黨史
    金俊燁 文明社 [1958]
  • 中國共産黨 北京支部의 創立과 初期活動
    林相範 東洋史學硏究 [1990]
  • 中國 新文學運動에 관한 연구 - 梁建植의 중국 신문학운동의 수용을 위한 시론(1)
    成賢子 開新語文硏究 15 [1998]
  • 中國 新文學運動 初期의 􋺷紅樓夢􋺸評價에 관한 考察
    高政喜 (고려대)中國語文論叢 4 [1991]
  • 中國 新文學上의 魯迅과 胡適 比較硏究
    朴雲錫 中國語文學 29 [1997]
  • 中國 新文化運動의 展開
    曹秉漢 (서울문리대)형성 2 (2) [1968]
  • 中國 ‘近代’ 小說論과 五四期 小說論의 關係 樣相에 관한 試論
    沈亨哲 東亞文化 35 [1997]
  • 中國 5ㆍ4期(1915-1919) 個人主義思想 硏究
    申聖旭 東方學誌 29 [1981]
  • 中共學界의 五ㆍ四運動史 硏究에 대한 小考
    曺焄 (成大)史林 [1987]
  • 三ㆍ一運動에 대한 中國의 反響
    李龍範 三ㆍ一運動 50주년기념논문집 [1969]
  • ‘臨時約法’體制下의 段祺瑞軍閥政權
    朴埈洙 東洋史學硏究 53 [1996]
  • ‘民’에서 ‘국민’으로 -- 5ㆍ4運動期 北京地域을 中心으로
    林相範 中國現代史硏究 [1996]
  • ‘新文學運動’ 시기의 언문일치론에 대한 검토
    全炯俊 中國語文學誌 4 [1997]
  • 5ㆍ4전후의 상해 사회와 사회운동
    김태승 中國現代史硏究 7 [1999]
  • 5ㆍ4의 미래는 무엇일까
    백영서 中國現代文學 16 [1999]
  • 5ㆍ4운동연구서설:중국민중의 반제국주의투쟁
    狹間直樹 한울 [1985]
  • 5ㆍ4운동기의 毛澤東의 사상과 활동
    金鍾圓 釜大史學 14 [1990]
  • 5ㆍ4운동과 ‘신여성’
    윤혜영 中國現代史硏究 7 [1999]
  • 5ㆍ4운동 전후의 경제 변화
    강명희 中國現代史硏究 7 [1999]
  • 5ㆍ4운동 : 근대 중국의 지식혁명
    周策縱 광민사 [1980]
  • 5ㆍ4시기의 사상과 근대역사이론
    김수영 中國現代史硏究 7 [1999]
  • 5ㆍ4를 초월한 근대 주체 - 루쉰과 女媧
    유세종 中國現代文學 17 [1999]
  • 5ㆍ4는 반전통주의인가
    백원담 中國現代文學 16 [1999]
  • 5ㆍ4기 전후 陳獨秀의 國際主義와 民族主義
    金秀英 中國現代史硏究 2 [1996]
  • 5ㆍ4運動의 歷史的 性格
    閔斗基 東洋史學硏究 4 [1970]
  • 5ㆍ4運動에 있어서의 學生의 役割 - 5ㆍ4北京示威에서 6ㆍ3上海 3罷鬪爭까지-
    金鐘云 동서사학 [1995]
  • 5ㆍ4運動과 國民革命의 出發
    林相範 亞細亞硏究 96 [1996]
  • 5ㆍ4運動時期까지 陳獨秀의 삶과 思想 -- 近代的 個人觀의 出現
    林相範 東洋史學硏究 64 [1998]
  • 5ㆍ4運動 以前의 孫文의 革命思想과 行動
    申延澈 (成大)人文科學 11 [1982]
  • 5ㆍ4期의 ‘孔敎’運動과 儒敎批判
    金鍾圓 (釜山大)人文論叢 35 [1989]
  • 5ㆍ4新文化運動期 陳獨秀 思想의 一考察
    金鐘云 (圓光大學院)論文集 9 [1992]
  • 5ㆍ4 新文化運動時期의 思想分化 一硏究 - ‘문제와 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金鐘云 동서사학 [1997]
  • 5.4전후기 계몽주의와 근대개혁론 - 魯迅을 중심으로
    劉世鍾 中國現代文學 11 [1996]
  • 3ㆍ1운동이 중국 5ㆍ4운동에 미친 영향
    장세윤 순국 (3) [1998]
  • 20세기 초반 中國知識人의 이념적 分岐와 실천문제
    李炳柱 中蘇硏究 48 [1990]
  • 1919년 5~6월에 베이징인의 대사(大事)와 세고(細故): ‘공간’·‘생활’·‘사건’
    임상범 역사학보 (213) : 331 ~ 371 [2012]
  • 1919年 南北平和會義와 段祺瑞軍閥의 對應
    朴埈洙 中國學報 33 (1) [1993]
  • 1918年 中日軍事協定의 締結과 그 影響
    朴埈洙 宋甲鎬敎授停退任記念論文集 [1993]
  • 1918年 中日軍事協定과 段祺瑞軍閥의 대응 - ‘參戰軍’ 설치문제를 중심으로-
    朴埈洙 민족교육연구 3 [1985]
  • (신편)中國文學史
    金學主 汎學圖書 [1975]
  • '五ㆍ四’ 新文化運動과 女性의 發見
    趙璟姬 中國語文論叢 12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