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의 주역학周易學과 『주역석의周易釋義』

' 퇴계 이황의 주역학周易學과 『주역석의周易釋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engyi(程?)
  • theannotationofthezhuxisyixueqimeng(啓蒙傳疑)
  • thekoreanannotationofthebookofchanges(周易釋義)
  • theoriginalmeaningofthebookofchanges(周易本義)
  • toegye(退溪)
  • yihwang(李滉)
  • zhu xi(朱熹)
  • 계몽전의
  • 구결口訣
  • 상수학
  • 석의釋義
  • 언해諺解
  • 의리학
  • 이황
  • 정이
  • 주역석의
  • 주희
  • 퇴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05 0

0.0%

' 퇴계 이황의 주역학周易學과 『주역석의周易釋義』' 의 참고문헌

  • 林隱 程復心과 退溪 李滉의 太極說 비교 연구
    주광호 퇴계학보 (134) : 5 ~ 43 [2013]
  • 李退溪與朱熹易哲學比較硏究
    임영희 북경대 [1999]
  • 李退溪 啓蒙傳疑 硏究
    柳南相 近世儒學與退溪學國際學術會議論文集 4 [1979]
  • 李滉의 啓蒙傳疑와 象數易學
    엄연석 한국사상과 문화 11 [2001]
  • 한국역학의 논리
    윤종빈 문경출판사 [2007]
  • 퇴계의 자연인식과 도덕적 지향
    嚴連錫 퇴계학보 111 : 45 ~ 106 [2002]
  • 퇴계의 역학사상에서 象數와 義理의 가역적 전환문제
    엄연석 퇴계학과 유교문화 (49) : 199 ~ 243 [2011]
  • 퇴계의 역학관(4) ―變占論을 중심으로
    김익수 論文集 12 [1989]
  • 퇴계의 역학관(3) ―明蓍策論을 중심으로
    김익수 한국사상과 문화 16 [2002]
  • 퇴계의 역학관(2) ―卦畫의 원리를 중심으로
    김익수 동양철학연구 14 [1994]
  • 퇴계의 역학관(1) ―圖書論을 중심으로
    김익수 퇴계학연구 3 [1989]
  • 퇴계의 「啓蒙傳疑」에 관한 연구 : 「주역질의」와 관련하여
    崔廷準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 퇴계역학 초론
    여소강 한국의 철학 26 [1998]
  • 퇴계 역학을 또 논함
    여소강 퇴계학보 107 [2000]
  • 퇴계 역학사상 체계와 새로운 연구방향
    엄연석 퇴계학논집 (3) : 61 ~ 107 [2008]
  • 퇴계 성리학의 역철학적 조명
    김학권 주역연구 6 [2001]
  • 주자의 역학계몽과 이퇴계의 성리학
    티모시 S. 회란 퇴계학보 19 [1978]
  •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이선경 한국철학논집 (35) : 275 ~ 308 [2012]
  • 조선중기 경학사상 연구
    이영호 경인문화사 [2004]
  • 조선중기 경서언해의 성립과 그 의미
    이영호 양명학 (32) : 281 ~ 301 [2012]
  • 조선조 구결문과 언해문의 성격 연구
    여찬영 국문학연구 11 [1988]
  •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김무봉 동악어문학 (58) : 5 ~ 50 [2012]
  • 조선 왕들의 경서류 언해에 대한 인식과 활용
    이기대 코기토 74 : 191 ~ 221 [2013]
  • 이황의 역학 연구
    김학권 주역연구 4 [1999]
  •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
    이영경 우리말글 57 : 29 ~ 53 [2013]
  • 경서류 언해의 번역학적 연구 : 동일 원문의 이역을 중심으로
    여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 陶山全書
  • 退溪의 理氣觀과 易學
    劉長林 退溪學報 85 [1995]
  • 退溪의 經書釋義에 대한 考察
    이충구 퇴계학연구 6 [1992]
  • 退溪의 經典認識
    김경천 퇴계학보 110 [2001]
  • 退溪의 <周易釋義 >에 對한 繼承發展을 爲한 思想史的 硏究(1)
    金益洙 한국사상과 문화 35 (35) : 153 ~ 212 [2006]
  • 退溪와 芝山의 『周易』 解釋
    김인철 퇴계학과 유교문화 (36) : 5 ~ 30 [2005]
  • 退溪까지의 易學史槪觀
    이윤희 퇴계학 [1995]
  • 退溪理發說의 易學的이해
    송인창 철학논총 26 [2001]
  • 退溪學文獻全集
  • 退溪全書
    國譯 退溪學硏究院 [2001]
  • 退溪 李滉의 <啓蒙傳疑 >에 대한 體系的 硏究
    서근식 온지논총 (31) : 193 ~ 220 [2012]
  • 經書 諺解 연구
    李忠九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0]
  • 朱熹與李滉的易學思想比較硏究
    張立文 退溪學報 43 [1984]
  • 朱子와 退溪의 易學思想 硏究
    金益洙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7]
  • 朝鮮時代 易學 圖象의 歷史에 관한 연구
    유권종 동양철학연구 (52) : 179 ~ 220 [2007]
  • 易學과 退溪의 천명사상 ―자연과 인간에 대한 敬
    곽신환 퇴계학논총 (창간) [1995]
  • 易學啓蒙
    朱熹 民族文化文庫 [1989]
  • 山崎闇齋의 易學과 李退溪의 啓蒙傳疑
    田尻裕一郞 한국의 철학 23 [1995]
  • 啓蒙傳疑
    李滉 成均館大大東文化硏究院 [1985]
  • 周易에 대한 退溪의 義理的 觀點
    정병석 퇴계학보 (115) : 93 ~ 124 [2004]
  • 周易釋疑
  • 周易諺解의 과정과 특징
    이충구 동양철학연구 14 [1994]
  • 17세기 간행 사서언해에 대한 종합적 연구
    옥영정 서지학연구 (32) : 361 ~ 386 [2005]
  • 16세기 經書諺解의 思想史的考察
    김항수 규장각 10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