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정약용의 형법사상에 반영된 德과 禮治의 문제의식 -『欽欽新書』 연구사의 분석 및 문제제기-

' 일반논문 : 정약용의 형법사상에 반영된 德과 禮治의 문제의식 -『欽欽新書』 연구사의 분석 및 문제제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ewbookoncriminallaw
  • brotherlylove
  • fidelity
  • filialduty
  • heumheumsinseo
  • loveforchildren
  • loyalty
  • psychologicalevidence
  • py?nd?ng
  • rule of law
  • ruleofdeok
  • ruleofye
  • 孝弟
  • 孝弟慈
  • 德治
  • 心證
  • 忠孝烈
  • 欽欽新書
  • 法治
  • 辨等
  • 禮治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98 0

0.0%

' 일반논문 : 정약용의 형법사상에 반영된 德과 禮治의 문제의식 -『欽欽新書』 연구사의 분석 및 문제제기-' 의 참고문헌

  • 論語古今註 1-5
    丁若鏞 사암 [2010]
  • 論語
  • 흠흠신서의 편찬과 그 이본의 비교
    유재복 서지학연구 7 [1991]
  • 흠흠신서의 법학사적 해부
    심희기 사회과학연구 5 [1985]
  • 흠흠신서 연구(1):경사요의의 분석
    권연웅 경북사학 19 [1996]
  • 한국유학사상대계:법사상편
    권연웅 한국국학진흥원 [2008]
  • 한국유학사상대계:법사상편
    조윤선 한국국학진흥원 [2008]
  • 진실의 수사학―《欽欽新書》와 公案小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소현 중국문학 69 : 107 ~ 132 [2011]
  •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김문식 일조각 [1996]
  • 조선후기 ‘위핍률(威逼律)’의 적용과 다산 정약용의 대민관(對民觀)
    김호 역사와 현실 (87) : 541 ~ 575 [2013]
  • 조선시대의 법문화
    조지만 법교육연구 3 (1) : 135 ~ 163 [2008]
  • 조선시대 지배층의 재판규범과 관습 - 흠흠신서와 목민심서를 소재로 한 검증 -
    심희기 법조 61 (2) : 5 ~ 36 [2012]
  • 조선시대 法典 편찬과 刑事政策의 변화
    심재우 진단학보 (96) : 243 ~ 264 [2003]
  • 조선 후기 판례집•사례집의 유형과 『 흠흠신서󰡕의 자료 가치
    심재우 다산학 (20) : 41 ~ 76 [2012]
  • 조선 후기 강상綱常의 강조와 다산 정약용의 정情•리理•법法 『흠흠신서欽欽新書』에 나타난 법과 도덕의 긴장
    김호 다산학 20 (20) : 7 ~ 39 [2012]
  • 정약용의 형법사상에 나타난 공공성:흠흠신서를 중심으로
    김봉진 ‘조선왕조 공공성 연구’, 한중연 기획 학술대회 제2차 발표문 [2013]
  •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김호 책문 [2014]
  • 정다산 법사상의 현대적 의의 - 『흠흠신서欽欽新書』를 중심으로
    진희권 한국학논집 (47) : 91 ~ 126 [2012]
  • 유교의 예치 이념과 조선
    최진덕 청계 [2007]
  • 역주 茶山孟子要義
    丁若鏞 현대실학사 [1994]
  • 역주 牧民心書 1-6
    丁若鏞 창작과비평사 [1981]
  • 역주 欽欽新書 1-3
    丁若鏞 현대실학사 [1999]
  •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김호 국학연구 (19) : 665 ~ 698 [2011]
  • 신주무원록
    김호 사계절 [2003]
  • 법서의 출판과 보급으로 본 조선사회의 법적 성격
    정긍식 서울대학교 법학 48 (4) : 88 ~ 123 [2007]
  • 법률 속의 이야기, 이야기 속의 법률 - 『欽欽新書』와 중국 판례
    박소현 대동문화연구 (77) : 413 ~ 450 [2012]
  • 다산정약용 연구
    이봉규 사람의 무늬 [2012]
  • 다산 정약용의 정치 철학: {대학공의} 읽기
    김선경 한국사상사학 (26) : 303 ~ 342 [2006]
  • 다산 정약용의 祭禮考定 연구
    유권종 공자학 8 [2001]
  • 다산 정약용의 太學之道
    김문식 다산학 (8) : 129 ~ 160 [2006]
  • 다산 예론(禮論)의 실천적 함의
    박종천 한국실학연구 13 : 39 ~ 76 [2007]
  • 국역 다산시문집
    민족문화추진회 솔 출판사 [1996]
  • 고례(古禮) 중심의 예교(禮敎) 사상과 그 경학적 토대에 대한 고찰 -다산의 상의절요(喪儀節要)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동우 한국실학연구 (13) : 77 ~ 131 [2007]
  • 荀子
  • 茶山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최진덕 한중연 [1998]
  • 茶山 禮學의 硏究 : 『儀禮』 「喪服」과 『喪禮四箋』 「喪期別」의 比較를 中心으로
    張東宇 연세대학교 [1998]
  • 茶山 禮學의 性格과 哲學的 含意: 禮訟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장동우 한국사상사학 11 [1998]
  • 茶山 禮學에서 ‘親’과 ‘尊’의 問題- 議親과 王位繼承에 관련된 두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장동우 퇴계학보 112 : 163 ~ 194 [2002]
  • 茶山 禮學 硏究 : 喪儀說을 중심으로
    劉權鐘 고려대학교 [1991]
  • 經世遺表1-4
    丁若鏞 [1989]
  • 朱子語類 전8권
    朱熹 中華書局 [1983]
  • 星湖學派의 禮學과 茶山禮學의 定位- 『家禮』이해를 중심으로 -
    전성건 한국실학연구 (24) : 147 ~ 193 [2012]
  • 定本與猶堂全書
    다산학술문화재단 사암출판사 [2013]
  • 孟子
  • 國朝典禮考 에 나타난 茶山丁若鏞의 禮論
    박종천 한국사상사학 16 : 117 ~ 158 [2001]
  • 四書章句集註
    朱熹 中華書局 [1983]
  • 丁若鏞 철학에서 ‘孝弟’ 관념이 갖는 公的 의미
    백민정 한국실학연구 (23) : 252 ~ 316 [2012]
  • 『欽欽新書』의 一考察 - 茶山의 過誤殺 해석을 중심으로 -
    김호 조선시대사학보 (54) : 233 ~ 267 [2010]
  • [사례가식四禮家式] 연구
    전성건 다산학 (19) : 55 ~ 84 [2011]
  • <흠흠신서 > 다시 읽기: 정약용의 법문화론적 법인식과 그 한계
    박홍규 민주법학 (51) : 263 ~ 291 [2013]
  • 18세기 형사사법제도 개혁
    심희기 한국문화 20 [1997]
  • 18세기 동아시아의 性(gender) 정치학― 『欽欽新書』의 배우자 살해사건을 중심으로
    박소현 대동문화연구 (82) : 301 ~ 334 [2013]
  • 17세기 禮訟에 대한 丁若鏞의 哲學的 分析:正體傳重辨을 중심으로
    이봉규 공자학 2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