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계몽기 국어교육 내 언어문화교육의 양상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근대계몽기 국어교육 내 언어문화교육의 양상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subject
  • korean education
  • korean textbook
  • language-culture
  • linguisticactivity
  • modernenlightenment
  • theconsciousnessofkoreanlanguage
  • 교과
  • 국어교과서
  • 국어교육
  • 국어의식
  • 근대 계몽기
  • 언어 문화
  • 언어활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31 0

0.0%

' 근대계몽기 국어교육 내 언어문화교육의 양상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성사범학교와 은사
    김창제 삼천리 (신년) : 17 ~ 20 [1932]
  • 한말 개화기 초등용 교과서 분석
    서재복 교육종합연구 3 (2) : 35 ~ 39 [2005]
  • 한국국어교육전사(상)
    박붕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 중세 문헌에 드러난 언어인식과 국어교육의 전사(前史) — 영·정조 실록과 《사소절》을 중심으로
    조희정 국어교육학연구 (46) : 183 ~ 214 [2013]
  • 조선어 독본과 국어문화
    강진호 제이앤씨 [2011]
  • 전통지식인이 바라본 근대계몽기의 교육과 문학-海鶴 李沂를 중심으로-
    정충권 문학교육학 (39) : 33 ~ 59 [2012]
  • 전통 교육과 '국어' 교과서의 형성 - 『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강진호 상허학보 41 : 95 ~ 126 [2014]
  • 이솝우화의 수용과 개화기 교과서
    김태준 한국학보 7 (3) : 107 ~ 135 [1981]
  • 언어교육과 문화인식
    김대행 한국언어문화학 5 (1) : 1 ~ 62 [2008]
  • 애국계몽기의 국어 의식
    이상혁 어문논집 41 (1) : 105 ~ 139 [2000]
  • 아동의 발견과 아동문학의 기원
    김화선 문학교육학 (39) : 115 ~ 137 [2012]
  • 보통교육의 관점에서 본 교육과정
    김복영 교육과정연구 14 : 142 ~ 155 [1996]
  • 문학교육과 문화론
    우한용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도강
  • 대한제국 정책사 자료집 Ⅳ-교육-
    박지태(편) 선인문화사 [1999]
  • 근현대 국어교과서 자료의 소개와 활용 방안
    김혜정 한국어학 59 : 75 ~ 112 [2013]
  • 근대적 텍스트의 구조적 특성과 함의
    김혜정 국어교육 (113) : 203 ~ 232 [2004]
  • 근대의 책 읽기
    천정환 푸른역사 [2004]
  •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한문맥과 근대 일본
  • 근대국어학 형성기의 언어의식 연구
    양근용 인천대학교 [2010]
  • 근대교육기에 있어서의 초등국어 교육의 연구
    조문제 논문집 2 : 63 ~ 102 [1969]
  • 근대계몽기의 어문 정책(1)
    허재영 한민족문화연구 14 : 55 ~ 81 [2004]
  • 근대계몽기의 어문 정책
    허재영 국어교육연구 10 : 97 ~ 149 [2002]
  • 근대계몽기의 어문 문제와 어문 운동의 흐름
    허재영 국어교육연구 11 : 457 ~ 490 [2003]
  • 근대계몽기 학교 교육 내 문학교육의 특징
    조희정 문학교육학 (39) : 79 ~ 114 [2012]
  • 근대계몽기 초기 교육에 나타난 아동의 형상
    조희정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 : 139 ~ 169 [2007]
  • 근대계몽기 여성교육용 독본과 가치 혼재 양상
    박선영 한국문예비평연구 (42) : 447 ~ 472 [2013]
  • 근대계몽기 어문교육 연구의 특성
    조희정 국어교육연구 11 : 411 ~ 455 [2003]
  • 근대계몽기 어문교육 연구의 개념 및 범주
    조희정 선청어문 30 : 285 ~ 310 [2002]
  • 근대계몽기 신문에 나타난 어문교육의 양상
    윤금선 국어교육연구 11 : 323 ~ 368 [2003]
  • 근대계몽기 문학과 문학교육
    정호웅 문학교육학 (39) : 9 ~ 32 [2012]
  • 근대계몽기 독본, 수신 교과서의 우화 텍스트의 변화 양상
    김경남 우리말글 55 : 243 ~ 266 [2012]
  • 근대계몽기 단형서사문학과 우언
    윤승준 동양학 (38) : 1 ~ 28 [2005]
  • 근대계몽기 국어교과의 성립 과정 연구
    허재영 중등교육연구 53 (1) : 127 ~ 164 [2005]
  • 근대계몽기 作文 敎材에 대한 연구 -『實地應用作文法』과 『文章指南』을 중심으로-
    정우봉 漢文敎育硏究 28 (1) : 151 ~ 181 [2007]
  • 근대계몽기 ‘국어교과 독본류’의 문체 연구 - 학습자와의 상관 관계를 중심으로 -
    이상혁 민족문화연구 (60) : 445 ~ 473 [2013]
  • 근대 초기의 독서론
    김종철 독서연구 10 : 77 ~ 100 [2003]
  • 근대 초기 서양문학 수용의 세 국면과 문학교육
    배수찬 문학교육학 (39) : 61 ~ 77 [2012]
  •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김찬기 민족문화연구 (58) : 621 ~ 647 [2013]
  • 근대 이후 국어과 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검토
    김혜정 국어교육연구 13 : 403 ~ 437 [2004]
  • 근대 국어 의식 형성의 보편성과 특수성 - 언어와 국민 사이의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
    조태린 한국언어문화 (39) : 81 ~ 108 [2009]
  • 근대 계몽기의 교과론과 교육학, 교수법 자료 연구
    허재영 한국민족문화 (45) : 205 ~ 235 [2012]
  • 근대 계몽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화법 교육 연구
    허재영 어문학 (120) : 85 ~ 109 [2013]
  • 근대 계몽기 어문 교과의 형성에 관한 연구 - 근대 계몽기 학술 잡지를 중심으로 -
    조희정 국어교육학연구 (16) [2003]
  • 근대 계몽기 독본류 교과서의 교재 연구 — 역사 인물 텍스트를 중심으로 —
    허재영 동방학 (24) : 239 ~ 263 [2012]
  • 근대 계몽기 국어 교과서 내적 구성 원리 탐색
    김혜정 국어교육연구 11 : 283 ~ 322 [2003]
  •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허재영 한민족문화연구 (36) : 397 ~ 420 [2011]
  • 근대 계몽기 교과서의 생산과 흐름-『新訂尋常小學』(1896)의 경우-
    구자황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65) : 501 ~ 538 [2013]
  • 국어라는 사상: 근대 일본의 언어 인식
    이연숙 소명출판 [2006]
  • 국어교육학 사전
  • 국어교육100년사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국어과에서의 쓰기교육 변천 연구- 근대계몽기로부터 건국기까지의 쓰기교육 -
    허재영 어문론총 (42) : 99 ~ 134 [2005]
  • 국어과에서의 독서교육 발달 과정 연구: 근대계몽기에서 건국기까지
    허재영 정신문화연구 28 (3) : 61 ~ 98 [2005]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5] [2012]
  • 국어과 교수 학습 이론 변천사
    허재영 어문론총 (44) : 67 ~ 100 [2006]
  • 국어과 교과서와 근대적 주체의 형성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강진호 국제어문 (58) : 9 ~ 41 [2013]
  •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김성수 한국근대문학연구 (22) : 169 ~ 204 [2010]
  • 교육학용어사전
  • 교육과정기 이전의 작문 교재 변천사
    허재영 한국어학 32 : 241 ~ 264 [2006]
  • 개화기부터 미군정기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괄적 고찰
    김혜정 국어교육연구 10 : 211 ~ 241 [2002]
  • 개화기 교과서 신찬초등소학연구-학부편찬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민영 아시아문화연구 32 : 99 ~ 129 [2013]
  • 갑오개혁기 학부 편찬 교과서 편찬자가 활용한 문헌 고증 Ⅱ: 국민소학독본과 신정심상소학을 중심으로
    박승배 교육과정연구 31 (3) : 77 ~ 94 [2013]
  • 갑오개혁 전후 교육정책 전개과정 연구
    金京美 연세대학교 [1999]
  • 開化期 國語科 敎育의 硏究
    趙文濟 한양대학교 [1984]
  •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이병근 한국문화 (32) : 1 ~ 33 [2003]
  • 近代 移行期 韓國에서의 自國語 認識
    장윤희 한국학연구 (30) : 49 ~ 92 [2013]
  • 樵牧必知 上
    鄭崙秀 [1909]
  • 最新初等小學 2권. 4권
    鄭寅琥 [1908]
  • 普通敎育은 國民의 義務
    朴聖欽 西友 9 : 5 ~ 6 [1907]
  • 普通敎育學
    學部 編纂 韓國政府印刷局印刷 [1909]
  • 普通學校 學徒用 國語讀本 2권. 3권
  • 新訂尋常小學 1권. 2권
  • 新纂初等小學 2권. 3권. 5권. 6권.
    玄采 [1909]
  • 幼年必讀 3권
    玄采 [1907]
  • 婦幼獨習 下
    姜華錫 [1908]
  • 國民小學讀本
  • 初等小學 2권. 3권. 4권. 5권. 6권. 7권. 8권
  • ‘국가’와 ‘수신’, 1890년대 독본의 두 가지 양상 - ≪국민소학독본≫과 ≪신정심상소학≫을 중심으로
    송명진 한국언어문화 (39) : 31 ~ 5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