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 이광수의 『춘향』과 조선 국민문학의 기획

' 논문 : 이광수의 『춘향』과 조선 국민문학의 기획'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unhyang
  • dong-a ilbo
  • heo-saeng
  • jaesaeng(reincarnation)
  • leegwang-soo
  • parody
  • programfornationalliterature
  • traditionsofnarrative
  • 「춘향」
  • 『동아일보』
  • 서사적전통
  • 이광수
  • 재생
  • 조선국민문학의기획
  • 패러디
  • 허생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89 0

0.0%

' 논문 : 이광수의 『춘향』과 조선 국민문학의 기획' 의 참고문헌

  • 「재생」에 나타난 「장한몽」의 구조
    서여진 춘원연구학보 5 [2012]
  • 흥부전 연구
    조동일 집문당 [1991]
  • 한국의 근대소설과 신문소설
    김영민 소명출판 [2006]
  • 한국문학의 현단계
    최원식 창작과비평 [1982]
  • 한국 신문소설사 1880~1970
    서광운 해돋이 [1993]
  •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
    최태원 소명출판 [2003]
  • 판소리 개작소설 옥중화의 근대성
    권순긍 반교어문연구 2 [1990]
  • 춘향전의 현대적 분석
    김태준 판소리연구 3 (1) [1992]
  • 춘향전 전집
    박이정 [2004]
  • 춘향전 비교연구
    김동욱 삼영사 [1983]
  • 춘향예술의 양식분화와 세계성
    정병헌 공연문화연구 6 [2003]
  • 증보 조선소설사
    김태준 한길사 [1990]
  • 조선문단
    [1924]
  • 조광
    [1942]
  • 자기희생의 구조 - 이광수의 『재생』과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 -
    서영채 민족문화연구 (58) : 207 ~ 242 [2013]
  • 일제하 문화적 민족주의
    Robinson, Michael 나남 [1990]
  • 이광수전집
    삼중당 [1979]
  •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와『오도답파여행』
    최주한 민족문학사연구 55 (55) : 33 ~ 63 [2014]
  •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김윤식 [1999]
  • 이광수 초기문학론의 구조와 와세다 미사학(美辭學)*
    김재영 한국문학연구 35 (35) : 383 ~ 416 [2008]
  • 이광수 역사소설의 장르의식 형성 과정
    서은혜 춘원연구학보 6 [2013]
  • 역사 속의 비극적 개인과 계몽 의식- 춘원 이광수의 1920년대 역사소설 논고 -
    박상준 우리말글 28 : 205 ~ 231 [2003]
  • 안자산 국학론 선집
    최원식 현대실학사 [1996]
  • 상상의 공동체
    Anderson, Benedict 나남 [2002]
  • 삼천리
  • 동아일보
    [1937]
  • 대한매일신보
    [1907]
  • 김동인 전집 16
    김동인 조선일보사 [1988]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Ong, Walter J 문예출판사 [2003]
  • 교주 춘향전
    조윤제 을유문화사 [1973]
  • 고본 춘향전
    신문관 [1913]
  • 경판방각소설 「춘향전」과 필사본 「남원고사」의 독자층에 대한 연구
    이창헌 보고사 [2004]
  • 朝鮮だより
    島村抱月 早稲田文学 (143) [1917]
  • 實學 수용과 1960년대 民族文學論의 전개
    김주현 어문연구(語文硏究) 34 (4) : 331 ~ 354 [2006]
  • 『고본 춘향전』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소설의 위상 변화
    강진모 연세대 [2003]
  • 1920년대전반동아일보계열의 정치운동구상과 ‘민족적중심세력’론
    윤덕영 역사문제연구 14 (2) : 9 ~ 49 [2010]
  •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권보드래 동악어문학 54 (54) : 5 ~ 43 [2010]
  •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허민 반교어문연구 31 (31) : 187 ~ 214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