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대일관계 속의 皮物

논문상세정보
' 조선후기 대일관계 속의 皮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skinsjoseonjapandiplomatradetongsinsadiplomaticgiftsheosagumu
  • 구무(求貿)
  • 무역
  • 문위행(問慰行)
  • 예단(禮單)
  • 외교
  • 일본
  • 조선
  • 통신사(通信使)
  • 피물(皮物)
  • 회사(回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79 0

0.0%

' 조선후기 대일관계 속의 皮物' 의 참고문헌

  • 度支別貿貢物作等魚鱗
  • 李朝貢納制の硏究
    田川孝三 東洋文庫 [1964]
  • 盧尙樞日記
  •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조효순 일지사 [1950]
  • 조선후기서울상업발달사연구
    고동환 지식산업사 [1998]
  •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 연구
    고승희 국학자료원 [1987]
  • 조선후기 통제와 교류의 장소, 부산 왜관
    김동철 한일관계사연구 (37) : 3 ~ 36 [2010]
  • 조선후기 일본과의 매[鷹] 교역과 그 의미
    이승민 한일관계사연구 (45) : 171 ~ 206 [2013]
  • 조선후기 왜관 통제책과 동래 지역민의 대응
    양흥숙 역사와 세계 37 : 105 ~ 148 [2010]
  •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 육군을 중심으로 -
    김강식 역사와 세계 37 : 1 ~ 36 [2010]
  • 조선후기 대일무역
    정성일 신서원 [2000]
  • 조선후기 貢人연구
    김동철 한국연구원 [1993]
  • 조선후기 對馬島와의 말[馬] 교역과 그 의미
    이승민 사학연구 (107) : 229 ~ 269 [2012]
  •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이승민 한일관계사연구 (36) : 67 ~ 109 [2010]
  • 조선통신사
    이원식 민음사 [1991]
  • 조선조 모피 사치에 관한 연구
    최경순 경일대학교 논문집 16 [1999]
  • 조선전기의 상의원
    송수환 경희사학 21
  • 조선전기의 물가변동-미곡 이외의 상품을 중심으로-
    이정수 국사관논총 68 [1996]
  •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푸른역사 [2003]
  • 조선왕조재정사연구 Ⅲ
    김옥근 일조각 [1988]
  • 조선왕조재정사연구
    김옥근 일조각 [1984]
  • 조선시대 초상화 1~3
    국립중앙박물관 그라픽네트 [2007]
  • 조선시대 생활사 3-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정긍식 역사비평사 [2006]
  • 조선시대 복식금제의 동인과 양상에 관한 연구
    이선재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30 [1990]
  • 조선시대 모직물에 관한 고찰
    박순지 복식 28 [1996]
  • 조선상업사
    홍희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9]
  • 조선 후기 왜관 개시무역과 동래상인
    김동철 민족문화 21 [1998]
  • 일본근세의 쇄국과 개국
    山口啓二 혜안 [2001]
  • 일본과의 무역
    정성일 한국사 33 [1997]
  • 인조-숙종조의 왜인 구청관행과 결제방식
    정경주 무역평론 (창간) [1994]
  • 우리 옷과 장신구
    이경자 그라픽네트 [2003]
  • 외교와 경제 : 조선후기 통신사외교와 경제시스템?通信使 禮單을 통해서 본 朝日外交의 특징과 그 변화?
    김덕진 한일관계사연구 (26) : 181 ~ 231 [2007]
  • 역사 속 외교 선물과명품의 세계
    윤재운 두산동아 [2007]
  • 역사 속 외교 선물과 명품의 세계
    정성일 두산동아 [2007]
  • 숙종대 대일정책의 전개와 그 성과
    김태훈 한국사론 47 [2002]
  • 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방한모 명칭에 관한 연구
    강순제 복식 58 (7) : 133 ~ 150 [2008]
  • 리조전반기의 가죽공납과 그 폐해에 대하여
    한선흥 력사과학 146 [1993]
  •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
    김덕진 푸른역사 [2008]
  • 근세한일관계사연구
    三宅英利 이론과 실천 [1991]
  • 근세 朝日통교와 非定例 差倭의 조선도해
    윤유숙 史叢 (70) : 119 ~ 153 [2010]
  • 국역 왜인구청등록(Ⅰ)
    김동철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4]
  • 개성상인연구
    강만길 한국사연구 8 [1972]
  • 갖옷에 관한 연구
    정복남 복식 23 [1994]
  • 鶴峰集
  • 韓國・朝鮮社會文化史と東アジア
    平木實 學術出版會 [2011]
  • 關西邑誌
  • 邊例集要
  • 通航一覽
  • 通信使謄錄
  • 近世日朝關係史の硏究
    三宅英利 文獻出版 [1986]
  •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硏究
    田代和生 創文社 [1981]
  • 輿地圖書
  • 象胥紀聞
    小田幾五郞 이회문화사 [1979]
  • 葛庵集
  • 萬機要覽
  • 經國大典
    [1985]
  • 經世遺表
  • 秋江集
  • 看羊錄
  • 眉巖日記
  • 皮革の歷史と民俗
    のびしょうじ 解放出版社 [2009]
  • 生類憐みの世界
    根崎光男 同成社 [2006]
  • 漢陽歌
  • 漢京識略
  • 海槎日記
  • 江戶繪畵入門-驚くべき奇才たちの時代
    湯原公浩 平凡社 [2011]
  • 江戶時代人と動物
    塚本學 日本エディタ-スク-ル [1995]
  • 江戶時代: 鎖國の構造
    信夫淸三郞 新地書房 [1987]
  • 毛皮と皮革の文明史
    下山晃 ミネルヴァ書房 [2005]
  • 毛皮と人間の歴史
    西村三郞 紀伊國屋書店 [2003]
  • 歲船恒式出來謄錄
  • 朝鮮王朝實錄
    [1970]
  • 朝鮮時代 成均館의 國王 下賜品 考察
    장재천 한국사상과 문화 36 (36) : 423 ~ 470 [2007]
  • 朝鮮後期 對日貿易의 展開過程과 그 性格에 관한 연구 : 1790년대-1870년대를 중심으로
    鄭成一 전남대학교 [1991]
  • 會田家文書 『大切御書附』にみる江戸城本丸御殿の室内意匠について
    小粥祐子 學苑 796 [2007]
  • 春官志
  • 星湖僿說
  • 明代東北アジアの貂皮貿易
    河內良弘 東洋史硏究 30 [1971]
  • 日朝交易と對馬藩
    田代和生 創文社 [2007]
  • 新補受敎輯錄
  • 文化信使記錄 五拾三, 朝鮮王より之別幅幷兩使自分獻上物諸御役人樣江之音物仕立箱臺寸法等之覺
    국사편찬위원회대마도종가문서기록류,등록번호 1042
  • 承政院日記
  • 戊午燕行錄
  • 德川社會からの展望-發展・構造・國際關係-
    田代和生 同文館 [1989]
  • 徳川吉宗
    笠谷和比古 筑摩書房 [1995]
  • 尙方定例
  • 大典會通
  • 增正交隣志
  • 國朝寶鑑
  • 唐船輸出入品數量一覽 1637~1833年-復元 唐船貨物改帳・歸帆荷物買渡帳-
    永積洋子 創文社 [1987]
  • 受敎輯錄
  • 北關邑誌
  • 北方から來た交易民
    佐々木史郞 日本放送出版協會 [1996]
  • 典客使日記
  • 元祿期倭館請負屋と御免物貿易
    田代和生 史學 (77) [2008]
  • 備邊司謄錄
  • 倭人求請謄錄
  • 交隣提醒
    雨森芳洲 국학자료원 [2001]
  • 五洲衍文長箋散稿
  • アジアのなかの日本史Ⅰ-アジアと日本
    塚田孝 東京大學出版會 [1992]
  • なぜ朝鮮通信使は廢止されたか-朝鮮史料を中心に-
    糟谷憲一 歷史評論 (355) [1979]
  • 『分類紀事大綱』Ⅱ(활자본)
    국사편찬위원회 [2007]
  • 19세기 우피무역과 동래상인
    김동철 한국문화연구 6 [1993]
  • 18세기 중반 『탁지정례』류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최주희 역사와 현실 (81) [2001]
  • 18세기 전반 권이진의 대외인식
    김문식 도산학보 4 : 137 ~ 146 [1995]
  • 18·19세기 동래 왜관 수출화의 제작과 유통: 虎圖와 鷹圖를 중심으로
    박성희 美術史論壇 (31) : 79 ~ 102 [2010]
  • 17~18세기 對日 외교·교역과 매[鷹]
    김경미 역사와 세계 34 : 95 ~ 136 [2008]
  • 16세기 조선과 野人 사이의 모피 교역의 전개
    김순남 한국사연구 (152) : 71 ~ 108 [2011]
  • 16세기 국가재정과 공납제 운영
    박도식 국사관논총 80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