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테르나크의 《안전 통행증》에 구현된 리얼리즘 시학

논문상세정보
' 파스테르나크의 《안전 통행증》에 구현된 리얼리즘 시학'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인도-유럽계문학
  • autobiographism
  • mayakovskii
  • pasternak
  • realism
  • safe-conduct
  • 리얼리즘
  • 마야콥스키
  • 안전통행증
  • 자전적성향
  • 파스테르나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92 0

0.0%

' 파스테르나크의 《안전 통행증》에 구현된 리얼리즘 시학' 의 참고문헌

  • 플로베르와 부르주아
    진인혜 한국프랑스학논집 53 : 295 ~ 312 [2006]
  • 푸쉬낀의 전통에 비추어 본 파스테르나크의 <스펙토르스끼 > - 개인과 국가의 대립 테마를 중심으로 -
    임혜영 노어노문학 17 (3) : 331 ~ 353 [2005]
  • 페테르부르크
    안드레이, 벨르이 문학과 지성사 [2006]
  • 파스테르나크와 큐비즘
    임혜영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17) : 235 ~ 272 [2004]
  • 파스테르나크와 여성 해방의 테마: 『이야기』에 나타난 푸쉬킨과 도스토예프스키 전통의 수용과 변형을 중심으로
    임혜영 슬라브학보 28 (2) : 167 ~ 198 [2013]
  • 예술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를 중심으로
    김영란 외국문학연구 (51) : 97 ~ 130 [2013]
  • 안드레이 벨르이의 <뻬쩨르부르그 >와 루돌프 슈타이너의 신지학적 색채 원근법
    박영은 노어노문학 17 (1) : 253 ~ 290 [2005]
  • 시인의 죽음: 푸슈킨과 마야콥스키
    김진영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42) : 33 ~ 62 [2013]
  • 스펙토르스키/ 이야기
    파스테르나크, 보리스 지식을 만드는지식 [2013]
  • 비평가 뿌쉬낀과 『 동시대인 』지
    심성보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9 (1) [2001]
  • 미스쩨리야 부프
    마야꼬프스끼, B. 열린책들 [1993]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현대편
    하우저, 아놀드 창작과 비평사 [1974]
  • 문학 속의 언어학
    야콥슨, 로만 문학과 지성사 [1989]
  • 마야꼬프스끼 선집
    마야꼬프스끼, B. 열린책들 [2009]
  • 러시아의 혁명 시인 마야콥스키
  • 극장의 부활
    백용식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10 [2001]
  • “Достоевский, Б. Л. Пастернак и В. Т. Шаламов” //Ф. М. Достоевский и русские писатели XX века
  • Соч. в 2 т. Т.2
  • Собр. соч. в 5 т
  • Прецедентные основы стихотворения пастернака « Смерть поэта »
  • Письма о любви, дружбе, творчестве. К 150-летию Леонида Осиповича Пастернака
  • От Пушкина к Пастернаку
  • Леонид Пастернак. Его российско-немецкая история
  • Как читать «Доктора Живаго»?. Всерос. о-во инвалидов, Газ. "Рус. инвалид"
  • Застой как культурная форма
  • Борис Пастернак. Материалы для биографии
  • Борис Пастернак
  • Анализ стихотворения Маяковского «Юбилейное»
  • А.С.Пушкин, П.А.Плетнев, Н.А.Некрасов, И.И.Панаев - Современник 1836-1866
  • Scotland and the Slavs
    Barnes Christopher. Astra Press [1993]
  • Pasternak & European Modernism
    Gifford, Henry Forum for modern language studies 26 (4) [1990]
  •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