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회과 통합논리의 모색

안영식 2014년
' 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회과 통합논리의 모색'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discordanceoftwosourceofintegrativethinking
  • integrationlogic
  • integrativethinking
  • payingnoattentiononcognitivedomainsofintegrativethinking
  • retardationofindependentknowledgeformationattitude
  • supremescholarlyidentity
  • teleologyfallacy
  • uncertaintyofthetargetability
  • 목적론적오류
  • 목표능력의불명확성
  • 우월적학문적정체성
  • 주체적지식형성태도의지체
  • 통합논리
  • 통합적 사고
  • 통합적사고두원천의정합성부재
  • 통합적사고의인지적측면에대한고려부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412 0

0.0%

' 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회과 통합논리의 모색' 의 참고문헌

  • 현대의 사회과교육
    차경수 학문사 [1996]
  • 현대 사회학
    Giddens, A. 을유문화사 [2004]
  • 해방후 국사교과의 사회과화 문제와 국사과 설정의 시말
    조미영 서울대학교 [2003]
  • 한국의 근대사상
    신채호(1908) 삼성출판사 [1988]
  • 한국의 교원양성체계의 수립과 국사교육의 신구성 :1945~1954
    박진동 서울대학교 [2004]
  • 한국근대 지리교육의 교육사조적 이해, 지리
    남상준 환경교육 1 (1) : 3 ~ 28 [1993]
  • 한국교육학의 탐색
    이돈희 고려원 : 34 ~ 54 [1985]
  • 한국교육학의 논리와 운동
    이종각 문음사 [1990]
  •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및 발전적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박은종 공주대학교 [2007]
  • 박사
  • 통합지향적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구성
    김재형 사회과교육연구 5 : 3 ~ 14 [1998]
  •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덕주 교육과정연구 16 (2) : 185 ~ 204 [1998]
  •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 원리와 실제
    강운선 사회과교육 34 : 463 ~ 488 [2001]
  • 통합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에 관한 일고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 (10) : 61 ~ 80 [2005]
  •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박선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 (2) : 273 ~ 285 [2004]
  • 통섭적 사회과교육 실천 방안 탐색 - 2012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을 중심으로
    허수미 사회과교육연구 19 (3) : 79 ~ 95 [2012]
  • 탈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삶 읽기 : 바로 여기 교실에서
    조혜정 또하나의 문화 [1995]
  •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 요목의 특징
    홍웅선 한국교육 19 [1992]
  • 초중등학교 각과 교수요목집(1)
    군정청 [1946]
  •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 방안으로서 반성적 교수 모형 개발 : 3 ~ 45
    이종원 [1998]
  •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강상배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22 : 7 ~ 23 [1993]
  • 초등 사회과 교육학의 탐색
    한면희 초등교육연구 9 (1) : 37 ~ 61 [1995]
  • 초, 중학교 사회과의 통합적 접근
    정세구 한국교육 12 (2) : 73 ~ 92 [1985]
  • 지식의 구조와 교과
    이홍우 교육과학사 [2004]
  • 지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기능의 상세화
    강창숙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 (3) : 579 ~ 591 [2004]
  • 지리교육학의 이해
    서태열 한울아카데미 [2005]
  • 지리 교과의 통합교육적 접근방안
    강경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 (1) : 51 ~ 66 [2001]
  • 중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리적 통합
    조성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 (2) : 287 ~ 301 [2004]
  • 중등 사회과 '사회문제'내용의 적정화에 대한 연구
    박인옥 시민교육연구 37 (4) : 41 ~ 72 [2005]
  •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김영석 사회과교육연구 12 (2) : 19 ~ 36 [2005]
  • 제 7차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 지리
    류재명 환경교육 5 (2) : 1 ~ 28 [1997]
  •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방안
    최병모 사회과교육학연구 4 : 1 ~ 36 [2000]
  •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의 문제점과 지리교과의 방향
    이기석 대한지리학회지 26 (3) : 242 ~ 252 [1991]
  • 제 3세계의 문화종속:현황의 조명과 자주적 극복
    Hamelink, C. J. 성균관대학 출판부 [1988]
  • 제 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의 중학교사회과 공민교육과정의 변천고찰
    서재천 시민교육연구 11 (1) : 91 ~ 107 [1987]
  • 장지연의 자강사상
    구자혁 춘천교육대학논문집 23 : 123 ~ 141 [1983]
  •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유추의활용 가능석 탐색
    김명숙 역사교육 83 : 1 ~ 33 [2002]
  •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제
    송춘영 형설출판사 [1999]
  • 신채호의 역사인식과 민족주의
    박동국 민족사상 6 (1) : 97 ~ 134 [2012]
  •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과의 진화에 대한 반성과 전망
    설규주 시민교육연구 41 (2) : 129 ~ 164 [2009]
  • 사회과학방법론:실재론적 접근
    Sayer, A. 한울아카데미 [1999]
  • 사회과의 분화와 통합의 형태 및 방식에 관한 연구
    강용옥 시민교육연구 9 (1) : 1 ~ 15 [1985]
  • 사회과에서의 통합교육과정
    박은아 녹우연구논집 36 : 107 ~ 129 [1996]
  •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권오정 교육과학사 [2003]
  • 사회과교육의 통합적 구성과 교수-학습 설계
    전숙자 교육과학사 [2002]
  • 사회과교육의 이해
    Barr, R. 서원 [1993]
  • 사회과교육의 도전과 전망
    차경수 동문사 [2012]
  • 사회과교육과 내용학으로서의 사회학
    윤덕중 시민교육연구 18 (1) : 167 ~ 184 [1994]
  •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최용규 교육과학사 [2009]
  • 사회과 학습 목표로서 ‘시민성 원리’와 내용구성 방법으로서 ‘통합성 원리’에 대한 사적 고찰
    이진석 시민교육연구 20 (1) : 173 ~ 191 [1995]
  • 사회과 통합의 의미와 지리교육의 목표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영민 교과교육학연구 5 (1) : 143 ~ 156 [2001]
  • 사회과 통합의 문제점과 국사교육의위기
    김한종 역사비평 49 : 219 ~ 240 [1999]
  • 사회과 통합문제와 역사,지리,일반사회의 관계
    김왕근 제4회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학술대회 자료집 : 31 ~ 44 [2009]
  • 사회과 통합교육과정 연구
    박은아 이화여자대학교 [1996]
  • 사회과 통합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
    차조일 시민교육연구 27 : 125 ~ 148 [1998]
  • 사회과 통합 논의와 역사교육
    양정현 역사교육 61 : 185 ~ 199 [1997]
  • 사회과 탐구과정 중심의 통합에 관한 연구
    한면희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29 (2) : 51 ~ 67 [1996]
  • 사회과 역사와 지리 내용의 간학문적인통합 방안
    민윤 사회과교육연구 6 : 281 ~ 304 [1999]
  • 사회과 문제중심 교육과정 설계 논리의 구안
    허수미 사회과교육연구 16 (2) : 109 ~ 128 [2009]
  • 사회과 내용의 통합 수준과 구성 방안
    박선미 사회과교육 42 (2) : 29 ~ 51 [2003]
  • 사회과 교육의 통합적 접근
    한면희 사회교육 20 : 18 ~ 46 [1987]
  •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화 방안
    이병환 사회과교육 41 (1) : 145 ~ 166 [2002]
  •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강대현 [2002]
  • 사회과 교수, 학습법
    정문성 교육과학사 [2008]
  • 사회과 간학문적 단원구성 원리와 실행
    이종일 사회과교육 45 (2) : 5 ~ 24 [2006]
  • 박은식의 민족교육사상
    노승윤 양서원 [1999]
  • 박은식과 신채호 사상의 비교연구
    배용일 경인문화사 [2002]
  • 미군정기 사회생활과(Social Studies)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鄭朱玹 이화여자대학교 [1993]
  • 도전받는 사회과
    강우철 사회과교육 24 : 11 ~ 22 [1991]
  • 단재 신채호 교육관 고찰
    이지중 교육사상연구 21 (2) : 73 ~ 100 [2007]
  • 국사 교과과정의 변천과 그 문제점
    김종철 역사교육 61 : 145 ~ 165 [1997]
  • 과정중심 사회과교육
    이종일 교육과학사 [2001]
  • 고등학교 사회과 통합 모형의 탐색
    한상윤 사회과교육연구 3 : 65 ~ 85 [1996]
  • 고등학교 공통사회의 완전 통합 단원 구성 연구 : 121 ~ 213
    차경수 [1997]
  • 敎育課程의 統合的 接近에 관한 硏究
    金在福 동국대학교 [1984]
  • Theory of Knowledge and Problems of Education
    Champlin, J. 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69]
  • The fifty-seve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Dressel, P. 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25 ~ [1958]
  • The Social Studies in secondary education
    Dunn, A. W. [1916]
  • The Interdisciplinary Imperative for citizenship Education.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Wraga, W. G. summer 21 (3) : 201 ~ 231 [1993]
  • Ten ways to integrate curriculum
    Fogarty, R. A. Educational Leadership 49 (2) : 61 ~ 65 [1991]
  • Teaching the Social Stuides
    Oliver, D. W. International Textbook Co [1970]
  •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10th ed
    Parker. W. C. Merrill/ Prentice-Hall [1997]
  • Social Studi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Zevin, J. Longman [1992]
  • Secondary Social Studies: Introduction, Curriculum, Evaluation
    Nelson, J. L. Prentice-Hall. Inc [1980]
  •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chwab, J. J. The University of Chicao Press [1978]
  •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Overview of a study of sixteen high school departments
    Newmann, F. M.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XIX (4) : 410 ~ 433 [1991]
  •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The call to adventure
    Drake, S. M. Association for Supervf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3]
  • Objectives of the social studies
    Engle, S. H. New Challenges in the Social Studies [1965]
  • Model competency-based social studies program
  • Interdisciplinary studies :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Meeth, L. R. Change 10 : 6 ~ 9 [1978]
  •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Jacobs, H. H.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9]
  •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Taba, H. Harcourt, Brace & World, Inc [1962]
  •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gram, J. B. Pergamon Press [1979]
  • Assuring quality for the Social Studies in our schools
    Hanna. P.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dford Junior University : 100 ~ 122 [1987]
  •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 cognitive and social growth
    Woolever, R. M.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88]
  • 21세기에 대비하는 사회과 교육의과제
    한면희 사회과교육 28 : 3 ~ 25 [1995]
  • 21세기 전망과 한국사회과 교육의 지향과 과제
    차경수 사회과교육 15 (1) : 1 ~ 8 [1991]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7 [2011]
  •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통합사회과의 미래
    진시원 시민교육연구 40 (2) : 223 ~ 24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