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aekje
  • humanbone
  • stableisotopeanalysis
  • stone-cistcoffin
  • subsistencepattern
  • three kingdoms period
  • 백제
  • 삼국시대
  • 생계경제
  • 석실묘
  • 안정동위원소분석
  • 인골자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78 0

0.0%

'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의 참고문헌

  • 풍납토성 경당지구 출토 동물 뼈에 대한 분석, 風納土城 Ⅵ
    김건수 [2005]
  • 풍납토성 197번지 일대 출토 동물유존체, 『風納土城 XIV: 풍납동 197번지(구 미래마을) 발굴조사 보고서 3
    이준정 [2012]
  •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신지영 한국고고학보 (70) : 84 ~ 109 [2009]
  •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이희경 한국고고학보 (75) : 98 ~ 125 [2010]
  • 완주 은하리 고분 출토 인골에 대하여, 遺蹟調査報告書 III: 完州隱下里 古墳群
    이준정 [2006]
  • 살아있는 백제사
    이도학 휴머니스트 [2003]
  •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扶餘 雙北里 602-10番地遺蹟
    이희경 [2010]
  •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출토 동물유존체, 扶餘 雙北里 602-10番地遺蹟
    김은영 [2010]
  •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扶餘 雙北里 280-5 遺蹟
    이희경 [2011]
  •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출토 동물유존체, 扶餘 雙北里 280-5 遺蹟
    김은영 [2011]
  • 부여 구아리 319 부여중앙성결교회 유적
    고은별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012]
  •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
    신지영 분석과학 26 (6) : 387 ~ 394 [2013]
  • 백제의 음식과 주거문화
    이재운 도서출판 주류성 [2005]
  • 발굴 현장에서 고인골 분석 연구실까지
    신지영 강다영 국립문화재연구소 : 190 ~ 226 [2012]
  • 대포패총출토 인골의 연대와 식성에 관해서
    김헌석 한국신석기연구 (20) : 89 ~ 111 [2010]
  • 농업의 고고학
    신지영 사회평론 [2012]
  • 농업의 고고학
    安承模 사회평론 [2013]
  • 농업의 고고학
    李俊貞 사회평론 [2013]
  • 농업의 고고학
    이현혜 사회평론 [2013]
  • 그들은 누구이고 무엇을 먹었나: 고대 인골의 친연관계・식생활 규명 연구, 1500해앞 16살 여성의 삶과 죽음: 창녕 송현동 15호분 순장인골의 복원연구 : 49 ~ 58
    지상현 [2009]
  • 경기도지역 원삼국-한성백제시대 저장 양상의 특징과 의미, 동아시아 식물고고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희경 [2011]
  • 飼育種 돼지의 韓半島 出現 時點 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 意味
    이준정 한국고고학보 (79) : 131 ~ 174 [2011]
  • 風納土城ⅩⅡ
    이준정 한성백제박물관・한신대학교박물관 [2011]
  • 風納土城 Ⅳ
    權五榮 [2004]
  • 百濟人의 食生活 試論-재료와 조리를 중심으로-
    金 起 燮 백제연구 37 : 1 ~ 20 [2003]
  • 極東先史古代の穀物 3
    安承模 熊本大學 [2008]
  • 扶餘 陵山里 東羅城 內·外部 百濟遺蹟
    김명진 忠淸文化財硏究院 [2006]
  • 宮南池 Ⅲ
    이준정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7]
  • 夢村土城
    金元龍 [1989]
  • 唐津 牛頭里遺蹟 II
    하대룡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2010]
  • 唐津 牛頭里遺蹟 I
    이준정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2009]
  • 作物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준정 한국상고사학보 73 (73) : 31 ~ 66 [2011]
  • 仁 舊葛里 遺蹟
    이경아 畿甸文化財硏究院 [2003]
  • Tracing the status-dependent dietary differences recorded in the bone and dentine collagen from the site of Imdang, Gyeongsan (Silla high-mound tomb period)
    Shin, J. Y 3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aeometry [2010]
  • Stable isotopic analysis of human skeletons from the Sunhung Mural Tomb, Yeonju, Korea: Implications for human die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Choy K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2013]
  • Stable isotope evidence for similarities in the types of marine foods used by Late Mesolithic humans at sites along the Atlantic Coast of Europe
    Richards, M. P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6 (6) : 717 ~ 722 [1999]
  • Modified Bone Density Fractionation Method for Palaeodietary Studies
    Ji Young Shin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32 (1) : 83 ~ 88 [2011]
  • Isotopic evidence of dietary variations and weaning practices in the Gaya cemetery at Yeanri, Gimhae, South Korea
    Choy K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42 : 74 ~ 84 [2010]
  • Isotopic evidence for diet in the Middle Chulmun period: a case study from the Tongsamdong shell midden, Korea
    Choy K Archaeological Anthropological Science 2 : 1 ~ 10 [2010]
  • Differentiating bone osteonal turnover rates by density fractionation; validation using the bomb 14C atmospheric pulse
    Shin, J. Y Radiocarbon 46 (2) : 853 ~ 861 [2004]
  • Diagenesis in bone and enamel apatite carbonate; the potential of density separation to assess the original composiiotn
    Shin, J. 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 1123 ~ 1130 [2012]
  • DNA 분석을 통한 백제 葬法의 연구-완주 은하리 고분 출토 인골의 예 -
    이준정 한국고고학보 (61) : 70 ~ 92 [2006]
  • Bone collagen quality indicators for palaeodietary and radiocarbon measurements
    van Klinken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6 (6) : 687 ~ 69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