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언어 세대와 주체의 재정립

' 이중 언어 세대와 주체의 재정립'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과학
  • alienation
  • alter ego
  • bilingualgeneration
  • fantasy
  • historicaltrauma
  • korean war
  • liberation
  • reconstrucionofself
  • repression
  • transversingfantasy
  • travelingamerica
  • 소외
  • 아메리카여행
  • 억압
  • 역사적 트라우마
  • 은신처
  • 이중언어세대
  • 주체의소멸
  • 주체의재건
  • 한국전쟁
  • 해방
  • 환상
  • 환상의횡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266 0

0.0%

' 이중 언어 세대와 주체의 재정립' 의 참고문헌

  • 흙의 자식들
  • 해방기 박인환 시의 정치적 아우라와 전향의 반향
    정우택 반교어문연구 (32) : 287 ~ 322 [2012]
  • 제국의 시선을 횡단하는 시쓰기 -박인환 시의 탈식민주의 -
    이기성 현대문학의 연구 (34) : 7 ~ 45 [2008]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J.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6]
  • 전후소설에서의 식민화된 주체와 언어적 타자
    한수영 인문연구 (52) : 1 ~ 34 [2007]
  •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전후세대의 이중언어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수영 대동문화연구 12 (58) : 257 ~ 301 [2007]
  • 전후세대 작가들의 언어적 상황과 정체성 혼란의 문제
    조윤정 현대소설연구 (37) : 229 ~ 258 [2008]
  • 전후모더니스트들의 언어적 정체성
    장인수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
  • 전후, 실존, 시민 표상-청년 모더니스트 박인환을 중심으로
    박연희 한국문학연구 (34) : 157 ~ 187 [2008]
  • 전후 비극적 전망의 시적 성취-박인환론
    박현수 국제어문 (37) : 127 ~ 162 [2006]
  •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 윤동주전집
    윤동주 문학과 지성사 [2004]
  • 우울의 빛
    강계숙 문학과 지성사 [2013]
  • 언어의 죽음
    데이비드 크리스털 이론과 실천 [2005]
  • 박인환의 미국 서부 기행과 아메리카니즘
    박연희 동악어문학 (59) : 137 ~ 182 [2012]
  • 박인환 전집
    맹문재 실천문학사 [2008]
  • 박인환 시의 탈식민주의 연구
    정영진 상허학보 15 : 263 ~ 282 [2005]
  •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박슬기 한국시학연구 (33) : 219 ~ 243 [2012]
  • 박인환 시에 나타난 언어적 불안과 부끄러움― 한국전쟁을 중심으로
    여태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2 (2) : 219 ~ 254 [2014]
  • 박인환
    이동하 문학세계사 [1993]
  • 마음의 사회학
    김홍중 문학동네 [2009]
  • 라캉의 주체-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브루스 핑크 도서출판b [2010]
  • 라캉과 정신의학
    브루스 핑크 민음사 [2002]
  •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대니 노부스 문학과지성사 [2013]
  • 단일 언어 사회를 향해
    서석배 한국문학연구 29 (29) : 185 ~ 219 [2005]
  • 김현전집 2
    김현 문학과 지성사 [1991]
  • 김현전집 14
    김현 문학과지성사 [1993]
  • 김종삼 시의 재고찰: 이중언어 세대의 ‘세계시민주의’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강계숙 한국학연구 (30) : 197 ~ 232 [2013]
  • 김수영은 왜 시작노트를 일본어로 썼을까
    강계숙 현대시 [2005]
  •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하여-
    강계숙 한국근대문학연구 27 (27) : 155 ~ 189 [2013]
  • 근대성의 구조
    이마무라 히토시 민음사 [1999]
  • ‘역사적 트라우마’ 개념의 재구성
    김종곤 시대와 철학 24 (4) : 37 ~ 64 [2013]
  • ‘불안’의 정동, 진리, 시대성 : 박인환 시의 새로운 이해
    강계숙 현대문학의 연구 (51) : 431 ~ 469 [2013]
  • How to Read 라캉
    슬라보예 지젝 웅진 지식하우스 [2007]
  • 1950년대 모더니즘의 묵시록적 우울 - 박인환의 시를 중심으로 -
    곽명숙 정신문화연구 32 (3) : 59 ~ 7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