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 어휘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

' 고대국어 어휘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어, 방언, 속어
  • samguk yusa
  • thepublishedbooks
  • 『samguksagi』
  • 간행본
  • 교감본
  • 삼국사기
  • 삼국유사
  • 영인본
  • 이표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4 0

0.0%

' 고대국어 어휘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 의 참고문헌

  • 金英培先生回甲紀念論叢
    都守熙 慶雲出版社 : 219 ~ 229 [1991]
  • 파른본 『三國遺事』의 書誌 연구
    남권희 동방학지 (162) : 59 ~ 105 [2013]
  • 지명ㆍ왕명과 차자 표기
    도수희 구결연구 (13) : 245 ~ 288 [2004]
  • 역주삼국사기1, 감교원문편
    정구복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 박사
  • 새로 발견된 古板本 三國史記에 대하여-書誌學的 側面에서 그考證을 중심으로-
    千惠鳳 大東文化硏究 15 : 125 ~ 182 [1982]
  • 삼국유사의 교감과 색인
    河廷龍 韓國傳統文化硏究 12 : 141 ~ 160 [1997]
  •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연구
    김주원 서울大 [1981]
  • 문제자의 변별과 그 처리-三國史記·地理志에서-
    이강로 東方學志 91 : 65 ~ 97 [1996]
  • 국어학논문집
    강헌규 공주대출판부 [2000]
  • 고대 한국어 차자표기 용자 사전
    이은규 제이앤씨 [2006]
  • 고대 국어 자료 오류의 비정
    이장희 지명학 8 : 113 ~ 137 [2002]
  • 고구려어 연구
    최남희 도서출판 박이정 [2005]
  • 고구려, 백제 마을 벼슬 이름의 길잡이 연구- 삼국사기 ‘직관고’를 바탕으로-
    이강로 한글 232 : 5 ~ 34 [1996]
  • 點校 三國遺事󰡕:부록-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三國遺事 木板本
    최광식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 韓國古代史硏究
    李丙燾 螢雪出版社 [1976]
  • 韓國 古代漢字音의 硏究 - <其一, 漢字 借用의 方法과 그 傾向 >-
    兪昌均 東洋文化 9 : 21 ~ 80 [1969]
  • 鄕歌解讀法硏究
    金完鎭 서울大 出版部 [1982]
  • 譯註 三國遺事
    姜仁求 韓國精神文化硏究院, 以會文化社 [2002]
  • 譯註 三國史記-勘校 原文篇
    鄭求福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 百濟語 硏究와 관련된 諸問題
    李基文 百濟硏究 國際學術大會 : 136 ~ 139 [1982]
  • 百濟地名語 ‘己·只’에 대하여
    김주원 民族文化論叢 2·3 : 93 ~ 113 [1982]
  • 特異한 音讀字 및 訓讀字에 대한 硏究
    金完鎭 東洋學 15 : 1 ~ 17 [1985]
  • 泥山本 三國遺事의 書誌的 考察
    남권희 書誌學硏究 5·6 : 205 ~ 234 [1990]
  • 校勘 三國遺事
    李東歡 民族文化推進會 [1973]
  • 新羅의 一部軍制가 地名에 미친 影響에 對하여 -十停과 地名과의 關係-
    李娟子 國文學硏究 5 (蕙苑邊德珍先生 還曆紀念特輯) : 357 ~ 378 [1976]
  • 新羅에서의 漢文字 定着 過程과 佛敎 受容
    朱甫暾 嶺南學 (창간) : 191 ~ 224 [2001]
  • 新羅時代의 表記法體系에 관한 試論
    李崇寧 塔出版社 [1982]
  • 對校三國遺事卷一
    三國遺事硏究會 韓國傳統文化硏究 (創刊-3) : 8 ~ 10 [1985]
  • 地名硏究의 必要
    李熙昇 한글 1 (2) : 46 ~ 49 [1932]
  • 國語學論文集, 姜憲圭敎授 華甲紀念論文集
    姜憲圭 공주대학교 출판부 : 281 ~ 289 [2000]
  • 國語史와 借字表記, 素谷南豊鉉先生回甲紀念論叢
    閔賢植 太學社 : 455 ~ 478 [1995]
  • 國語 語彙史 硏究
    李基文 東亞出版社 [1991]
  • 古代固有名詞 借用表記 硏究
    千素英 高麗大學校 [1987]
  • 厭髑(異次頓)의 해독 문제
    도수희 國語學 32 : 1 ~ 20 [1998]
  • 原本 三國史記
    이강래 한길사 [1998]
  • 加羅史硏究
    丁仲煥 혜안 [2000]
  •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
    河廷龍 先史와 古代 11 : 163 ~ 174 [1997]
  • 三國遺事의 校勘學的 硏究 : 諸板本의 對校를 중심으로
    柳富鉉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3]
  • 三國遺事의 刊行과 流通
    金相鉉 韓國史硏究 38 : 1 ~ 26 [1982]
  • 三國遺事校勘硏究
    河廷龍 新書苑 [1997]
  • 三國遺事 硏究 上
    柳鐸一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4]
  • 三國遺事 : 晩松文庫本 附石南本 學山本
  • 三國遺事
    國學資料院 문성제책사 [2002]
  • 三國遺事
    리상호 고전연구실: 신서원 [1990]
  • 三國史記의 地名考
    金亨奎 震檀學報 16 : 171 ~ 181 [1949]
  • 三國史記調査報告書
    千惠鳳 [1981]
  • 三國史記校勘에 관한 一考
    柳富鉉 書誌學硏究 14 : 75 ~ 98 [1994]
  • 三國史記’(권44~50) 文字異同에 대한 一考
    柳富鉉 新羅文化 十二 [1995]
  • 三國史記 版本 硏究, 삼국사기 정덕본 간행의 역사적 의미
    남권희 6회 신라학 국제학술대회 : 113 ~ 144 [2012]
  • 三國史記 原文篇
    李丙燾 乙酉文化社 [1977]
  • 三國史記 原典硏究 : 借字表記體系的 檢討
    姜炅求 學硏文化社 [1997]
  • 『三國遺事』의 國語學的 宿題
    김무림 어문논집 47 : 31 ~ 62 [2003]
  • [三國史記] 地理志에 기재된 삼국 지명 분포의 역사적 배경 - 漢山州, 熊川州, 尙州를 중심으로 -
    이부오 지명학 14 : 151 ~ 186 [2008]
  • <삼국사기 > 지리지의 지명 표기 용자례
    이은규 한국말글학 19 : 291 ~ 404 [2002]
  • <王曆 >에 대한 書誌學的 考察-諸板本의 對校를 中心으로-
    柳富鉉 書誌學硏究 8 : 363 ~ 374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