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전반기 한국 자유주의의 형성과 굴절

' 20세기 전반기 한국 자유주의의 형성과 굴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ulturalism
  • economicliberalism
  • freedom of speech
  • gaebyukmagazine
  • individualism
  • liberalism
  • new liberalism
  • socialism
  • thenewculturemovement
  • 『개벽』
  • 개인주의
  • 경제적자유주의
  • 문화주의
  • 사회주의
  • 신문화운동
  • 신자유주의
  • 언론의 자유
  • 자유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89 1

0.0%

' 20세기 전반기 한국 자유주의의 형성과 굴절' 의 참고문헌

  • 「현중국의 구사상 구문학의 개혁으로부터 신동양문화의 수립에 他山의 石으로 현중국의 신문학건설운동을 이야기함」, 개벽 30호
    북여동곡
  • 「자유주의와 중산계급」, 개벽 66호
  • 「자유론」, 태극학보 3호
  • 「일본의 문명관」, 대한학회월보 8호
  • 「우리의 사상혁명과 과학적 태도」, 개벽 43호
  • 「법률전선에서의 우리의 최소 요구- 변호사대회의 제안해설」, 동광 29호
  • 「급변하여 가는 신구사상의 충돌」, 개벽 1호
  • 「국민자존성의 배양」, 대한협회회보 9호
  • 「국가의 근본의와 민중의 자유」, 동광 29호
  • 「개인과 사회」 동광 9호; 「자유에 대한 일고」, 동광 10호
  • 「가족제도의 측면관」, 개벽 3호
  • 「非刷新이면 文明을 不可致오 비문명이면 인류를 不可保라」, 대한자강회월보 10호
  • 「開闢의 創刊을 聞하고」 개벽 창간호
  • 「自由聲」, 대한협회회보 10호
  • 「東西의 文化를 批判하야 우리의 文化運動을 論함」, 개벽29호
    北旅東谷
  • 「抛棄自由者爲世界之罪人」, ꠓ대한자강회월보ꠗ 6호
  • 「個人主義의 略義」, 개벽 2호
  • 「人民自由의 한계」, 西友 2호 1907
    玉東奎 [1907]
  • 혜성
  • 한국정치의 이념과 사상
    문지영 후마니타스 [2009]
  • 한국에서의 자유주의와 자유주의 연구: 문제와 대안적 시각의 모색
    문지영 한국정치학회보 38 (2) : 73 ~ 94 [2004]
  • 한국근대정치사상연구-민족주의우파의 실력양성운동론
    박찬승 역사비평사 [1991]
  • 한국 자유주의의 기원
    이나미 책세상 [2001]
  • 타이쇼민본주의 재평가 ―요시노 사쿠조와 신자유주의를 중심으로―
    한정선 동양사학연구 (87) : 221 ~ 249 [2004]
  •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7: 자유주의
    루돌프 피어하우스 푸른역사 [2014]
  • 자치론과 식민지 자유주의
    강정민 한국철학논집 (16) : 9 ~ 39 [2005]
  • 자유주의의 부흥
    홍양명 삼천리 8 (12) [1936]
  • 자유인과 노예
    허영호 신민 (8) [1925]
  • 자유의 옹호-자유주의비판에 대하야-
    李軒求 신천지 22 (3) [1948]
  • 자유ㆍ평등ㆍ박애와 근대 한국
    김효전 헌법학연구 15 (2) : 229 ~ 262 [2009]
  • 자유, 자유주의, 자유주의자
    김병덕 신천지 [1948]
  • 이성이 설 곳 없는 계몽
    강의화 신서원 [2007]
  • 우리 사회의 亂波
    塘南人 學之光 (17) [1918]
  • 언론집회자유에 관한 각국헌법의 비교연구
    辛泰嶽 학지광 (27) [1926]
  • 언론과 사상의 자유
    함석훈 민주조선 1 (1) [1947]
  • 신천지
  • 신중국사
    페어뱅크 존 F 까치 [2005]
  • 신민
  • 식민지에서의 ‘개인’, ‘사회’, ‘민족’의 관념과 자유주의:안창호의 정치적 민족주의와 이광수의 문화적 민족주의
    장동진 한국철학논집 (16) : 41 ~ 70 [2005]
  • 식민지시기 조선의 자유주의와 이광수
    박찬승 한국사학 17 [1999]
  • 서구 인권 사상의 수용과 전개: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정용화 한국정치학회보 37 (2) : 67 ~ 86 [2003]
  • 새 自由主義의 이념 - 독재와 착취 없는 건국을 위하여 -
    吳基永 신천지 [1948]
  • 사상빈곤의 조선현실과 신자유주의론
    辛寧滿 신천지 [1948]
  • 사상개혁론
    송진우 學之光 (5) [1915]
  • 번역어 성립사정
    야나부 아키라 일빛 [1982]
  • 민주주의의 한국적 수용
    안외순 책세상 [2002]
  • 민주조선
  • 민족의 자유
    金東錫 신천지 1 [1946]
  • 미국의 자유를 이땅에도
    이종모 신천지 (22) [1948]
  • 문예부흥과 종교개혁의 사적 가치를 논하여 조선당면의 풍기문제에급함
    현상윤 청춘 12
  • 동광
  • 근대초기 자유주의의 수용과 발전-유길준과 윤치호를 중심으로
    김도형 한국사학 17 [1999]
  • 근대적 공간으로서의 한국 자유주의-한국 자유주의 연구 서설
    권희영 한국사학 17 [1999]
  • 근대적 개인의 형성과 민족: 일제하 한국자유주의의 두 유형
    정용화 한국정치학회보 40 (1) : 5 ~ 24 [2006]
  • 근대 한국의 자유민권 관념 ― 당시의 신문잡지의 논설분석을 중심으로 ―
    김효전 공법연구 37 (4) : 167 ~ 192 [2009]
  • 근대 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변용
    박주원 소명출판 [2004]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구한말의 개혁, 독립투사 서재필
    이정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개벽
  • 갑을 자유문답
    友古生 대한유학생회학보 (1) [1907]
  • 가토 히로유키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번역양상에 관한 일고찰―인권신설과 강자의 권리경쟁론을 중심으로
    김도형 대동문화연구 1 (57) : 171 ~ 201 [2007]
  • 自由主义与近代中国
    阎润魚 新星出版社 [2007]
  • 胡适派学人群与现代中国自由主义
    章淸 上海古籍出版社 [2004]
  • 經濟自由主義小考
    朴和世 신민 43 [1928]
  • 民国时代中国的新自由主义指向胡适派与研究系自由主义比较研究
    姜明喜 民国研究 24 [2013]
  • 學之光
  • 中国近代のリベラリズム
    水羽信男 東方書店 [2007]
  • 中国思潮评论自由主义诸问题
    章淸 上海古籍出版社 [2012]
  • リベラリズムの中国
    楊貞德 有志舍 [2011]
  • 『개벽』연구
    최수일 소명출판 [2008]
  • ST 1925, 「자유권과 생존권」, 개벽 56호(DBHT). 개벽 2호 <논설 > 「세계삼대문제의 파급과 조선인의 각오여하」
  • <我會 本領 > 12월 통상회 대한협회회보 9호
  • 1920년대 초반 식민지조선의 자유주의와 문화주의 담론의 인간관·민족관
    윤상현 역사문제연구 18 (1) : 283 ~ 315 [2014]
  •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정미량 지식산업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