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논문상세정보
'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ogistic regression
  • parental right
  • secondchildbirthplan
  • work-familylifereconciliation
  • working mother
  • 로지스틱 회귀분석
  • 부모권
  • 일-가정 양립
  • 취업모
  • 후속출산계획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31 3

0.0%

'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 참고문헌

  • 한글 SPSS WIN 14.0 통계분석 및 해설
    김호정 허전 삼영사 [2008]
  • 한국에 몰려오는 저출산 후폭풍
    조선일보 2014. 3. 7 [2014]
  •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손승영 가족과 문화 17 (2) : 285 ~ 316 [2005]
  •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조복희 대한가정학회지 32 (5) : 97 ~ 108 [1994]
  • 출산율 1.4명 목표 정부 기업 힘을 합쳐라
    MK뉴스 2014. 3. 26 [2014]
  •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이성용 한국인구학 32 (1) : 51 ~ 70 [2009]
  • 박사
  • 제도적 모성에 대한 갈등과 협상으로서의 저출산
    신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이삼식 [2005]
  •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 분석
    차경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 (2) : 137 ~ 148 [2005]
  • 자녀출산시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규범에 관한 질적 연구
    우원규 한국사회학회 2012 후기사회학대회 자료 : 201 ~ 214 [2012]
  • 일하는 여성을 위한 생애주기별 경력유지 지원방안 발표
    관계부처합동 보도자료(2014. 2. 4) [2014]
  • 인구전환기의 한국사회 가치관 및 가족변화의 대응방안
    김승권 [2005]
  •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2006]
  •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이정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Beck, U 새물결 [1986]
  • 양성평등과 여성참여정책
    박영미 양지훈 광주 전남행정학회보 8 : 189 ~ 206 [2001]
  •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김종훈 아동학회지 34 (1) : 87 ~ 102 [2013]
  • 서울시 추가자녀 출산계획에 미치는 가구 특성의 요인분석
    신혜원 서울도시연구 10 (2) : 33 ~ 47 [2009]
  • 사회적 지원, 일-가족 양립 정책 및 부부특성이 후속출산의도및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경로탐색
    고광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 (4) : 35 ~ 51 [2014]
  • 부부특성 및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효과: 모의 취업과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임현주 유아교육연구 33 (2) : 121 ~ 144 [2013]
  • 부부관계특성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은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 (4) : 199 ~ 217 [2014]
  • 보육서비스가 기혼여성의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용복 한국가족복지학 9 (2) : 95 ~ 113 [2004]
  • 모의 후속출산계획에서 한자녀 취업모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차이와 부모됨이 미치는 영향
    이진화 육아정책연구 6 (1) : 125 ~ 141 [2012]
  •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부모의 자녀관과 부부특성을 중심으로
    정영혜 인간발달연구 20 (2) : 185 ~ 203 [2013]
  •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박수미 한국인구학 31 (1) : 55 ~ 73 [2008]
  •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정은희 보건사회연구 33 (1) : 5 ~ 34 [2013]
  • 계획 자녀수의 분석
    민세진 여성경제연구 10 (1) : 1 ~ 17 [2013]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연보
    통계청 [2009]
  • 가족변화에 대응한 출산 육아지원 방안 연구: 출산의 고령화를 중심으로
    이정원 [2013]
  • 가정경제
    Brayant, W.K 한울아카데미 [1993]
  • The effect of delaying motherhood on the second childbirth in Europe
    Bratti. M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5 : 291 ~ 321 [2012]
  • The effect of child care and part time opportunities on participation and fertility decisions in Italy
    Del Boca, D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5 : 549 ~ 573 [2002]
  • The Impact of Child Care on Fertility in Urban Thailand
    Richter, K Demography 31 (4) : 651 ~ 662 [1994]
  • Pathways to a Third Child in Sweden
    Berinde, D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15 : 349 ~ 378 [1999]
  • Maternity Leave in Turbulent Times: Effects on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Fertility in Russia, 1985-2000
    Gerber, T. P Social Force 90 (4) : 1297 ~ 1322 [2012]
  • Job bust, baby bust?: Evidence from Spain
    Ahn, Namkee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4 : 505 ~ 521 [2001]
  • Fertility, Employment, and Child-Care Costs
    Blau, D.B Demography 26 (2) : 287 ~ 299 [1989]
  •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 An Econometric Analysis
    Gauthier, A. H. Population Studies 51 : 296 ~ 306 [1997]
  • Explanations of the fertility crisis in modern societies: A search for commonalities
    Caldwell, J.C Population Studies 57 : 241 ~ 263 [2003]
  • Economic Well-being and Fertility in France: Nuits, 1744-1792
    Hadelshi, H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63 (2) : 489 ~ 505 [2003]
  • Comment: A Gender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Low Fertility in Post-Transitional Societies
    Presser, H.B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7 : 177 ~ 183 [2001]
  • Childrearing and Fertility
    Rindfuss, R.R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2 : 258 ~ 289 [1996]
  • 2014년 아이돌봄지원사업안내
  • 2013년 출생 사망통계(잠정)
    통계청(2014. 2. 27) [2014]
  •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가구조사 보고
    서문희 [2012]
  •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박찬화 한국생활과학회지 21 (1) : 95 ~ 11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