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과 TGT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체육과 TGT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affective domain
  • cooperative learning
  • tgtcooperativestrategies
  • tgt협동학습전략
  • 정의적 영역
  • 협동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994 2

0.0%

' 체육과 TGT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의 참고문헌

  • 박사
  • 협동학습이 체육 수업에 대한 태도와 성취에 미치는 효과
    강영수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2004]
  •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강홍숙 아동교육 15 (1) : 69 ~ 82 [2006]
  •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정문성 교육과학사 [2008]
  • 협동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에서 팀 리더의 유형에 따른 구성원의 참여 태도
    황의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협동학습모형이 체육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종환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 (1) : 91 ~ 103 [2004]
  • 협동학습모형이 중학생의 체육학습에 미치는 효과
    정종렬 한국교원대학교 [2006]
  •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의 학습태도에 대한 비교분석
    최만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9 (2) : 35 ~ 48 [2004]
  • 협동학습 수업전략이 심리반응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오경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협동학습 수업운영에 대한 교사 이야기
    민병도 한국체육학회지 48 (3) : 179 ~ 189 [2009]
  • 박사
  •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박상완 한국교원교육연구 31 (2) : 227 ~ 254 [2014]
  • 해외단기선교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성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 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협동학습모형 적용경험의 이해
    김재중 중등교육연구 61 (1) : 261 ~ 289 [2013]
  • 박사
  • 학교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교육: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최의창 체육과학연구 22 (2) : 2025 ~ 2041 [2011]
  • 박사
  • 박사
  • 초등체육에서의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참여 태도와 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구영 인천교육대학교 [2002]
  •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적용방안 연구
    이재용 한국교과교육학회지 2 (1) : 201 ~ 227 [1998]
  • 체육교육과정이론
    강신복 보경문화사 [1994]
  •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대원 교원교육 29 (4) : 19 ~ 46 [2013]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수행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김승재 한국체육학회지 46 (5) : 245 ~ 255 [2007]
  • 중학교 체육교사의 정의적 영역 수업방식 탐구
    권민정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 (3) : 45 ~ 64 [2006]
  • 정의적 발달을 위한 체육과 협동학습 적용 연구 : 협동게임 수업 전략의 측면에서
    서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 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최의창 한국체육학회지 48 (6) : 243 ~ 260 [2009]
  • 박사
  • 박사
  •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차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 인문적 체육교육
    최의창 무지개사 [2003]
  • 육상수업에 적용한 협동학습 모형의 효과
    김종환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21) : 129 ~ 139 [2004]
  • 수줍음 극복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 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최상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팀스포츠 학습모형의 개발
    이병준 제5회 2013 체육교육한마당 : 59 ~ 82 [2013]
  •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
    정문성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 독서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심경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국가 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 영역의 요소 비교 분석
    김지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 (1) : 129 ~ 140 [2003]
  •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체육교육 평가체제 연구
  • 과학 협동학습에서 중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집단구성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식
    주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10) : 1551 ~ 1566 [2012]
  •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협동학습모형의 효과
    제창욱 한국교원대학교 [2007]
  • ‘Psychometric Theory
    Nunnally, J. C. McGraw Hill [1978]
  • The effects of model similarity and model talk on self-efficacy and muscular endurance
    Gould, D.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 : 17 ~ 29 [1981]
  • Teaching affective qualities in physical education
    Heidorn, B. Strategies 3 : 16 ~ 21 [2010]
  • TG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만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Student´s voices in two alternativ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rogram
    Dyson, B. P.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4 : 394 ~ 407 [1995]
  • Student-centered physical education : Strategies for teaching social skills. Jouranl of Physical Education
    Mercier, R. Recreation & Dance 64 (5) : 60 ~ 65 [1993]
  • Six scales for assessing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Kenyon G. S. The Research Quarterly 39 : 566 ~ 574 [1968]
  • STAD 협동학습 방법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신동로 교육논집 21 : 1 ~ 22 [2001]
  • Perceived self-efficacy in con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Bandura, A. Educational Psychologist 28 (2) : 117 ~ 148 [1993]
  •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Metzler, M. Allyn and Bacon [2000]
  • Cooperative learn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Dunn, S. 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2 (1) : 21 ~ 26 [1991]
  •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lavin, R. E. Allyn and Bacon [1995]
  • Character, virtue and physical education
    Jones, C.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11 (2) : 139 ~ 151 [2005]
  • Affective teaching : Psychol-social aspects of physical education
    Tomme, P. JOPERD 6 : 66 ~ 69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