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소설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서울

김미영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최근 한국소설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서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학
  • heterotopia
  • phantasmagoria
  • place-identity
  • seoul
  • spectacle
  • 서울
  • 스펙타클
  • 장소 정체성
  • 판타스마고리아
  • 헤테로토피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11 0

0.0%

' 최근 한국소설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서울' 의 참고문헌

  • 현대사회와 예술
    발터 벤야민 문학과 지성사 [1980]
  • 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서울' 형상 연구
    유성호 서울학연구 (23) : 195 ~ 226 [2004]
  •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데이비드 하비 한울 [1990]
  •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 새물결 [2005]
  • 종로:둥지로서의 여러 모습-한국 현대시에서의 ‘종로’ 읽기(1)
    권오만 서울학연구 13 : 11 ~ 61 [2001]
  • 일제하 한국 도시소설 연구
    김광식 부산대 [1994]
  • 아케이드 프로젝트2-보들레르의 파리
    발터 벤야민 새물결 [2008]
  • 스펙타클 사회
    기 드보르 현실문화연구 [1996]
  • 서울, 정념의 지도
    양윤의 현대소설연구 (52) : 45 ~ 78 [2013]
  • 새로움의 충격-모더니즘의 도전과 환상
    로버트 휴즈 미진사 [1995]
  • 변혁기의 러시아의 리얼리즘 문학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발터 벤야민 민음사 [1983]
  • 말과 사물
    미셸 푸코 민음사 [2012]
  • 도시의 정치경제학
    데이비드 하비 한울 [1996]
  • 도시의 불안과 여성하위주체
    오창은 현대소설연구 (52) : 79 ~ 109 [2013]
  • 도시 공간으로서의 서울과 소설 연구의 과제
    이동하 현대소설연구 (52) : 9 ~ 43 [2013]
  •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에드워드 소자 시각과 언어 [1997]
  • The Order of Things
    Foucault Routledge [2002]
  • The Foucault Reader
    Foucault Pantheon [1984]
  • 1950~1960년대 여성의 소비문화와 명동(明洞)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양장점과 미장원을 중심으로 -
    김미선 서울학연구 (46) : 59 ~ 10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