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부 독일문화 : 문화교육의 역사적 고찰 및 수업설계의 방향성 모색

' 4부 독일문화 : 문화교육의 역사적 고찰 및 수업설계의 방향성 모색'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remdsprachenunterricht
  • interkulturelleslerneninterkulturellekommunikationsfahigkeit
  • unterrichtsplan
  • 상호문화소통능력
  • 상호문화학습
  • 수업설계
  • 외국어수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1 0

0.0%

' 4부 독일문화 : 문화교육의 역사적 고찰 및 수업설계의 방향성 모색' 의 참고문헌

  • 한독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통해 본 기술의 문화적응문제 - 사용설명서를 중심으로 -
    최진철 독어교육 57 (57) : 289 ~ 316 [2013]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홈페이지
  • 한국대학에서의 상호문화 교육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문화적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김유리 독어교육 31 : 31 ~ 51 [2004]
  •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상황 비교와 시사점
    김순임 독어교육 52 (52) : 285 ~ 309 [2011]
  • 학습자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강의모형 연구와 전망
    유수연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32) : 23 ~ 43 [2013]
  • 하이네 수용과 상호문화적 성찰
    이광복 독어교육 28 : 2 ~ 58 [2003]
  • 이문화간 의사소통 이론에 관한 연구
    윤용선 국제지역연구 10 (2) : 161 ~ 192 [2006]
  • 이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구상
    김순임 독어교육 45 (45) : 7 ~ 34 [2009]
  • 이문화간 의사소통 교육 방안
    김미연 독일어문학 14 (3) : 355 ~ 377 [2006]
  • 이문화 훈련 구상에 관한 관점들
    정진성 독어교육 33 (33) : 355 ~ 383 [2005]
  • 외국문학 수용에 있어서 '상호문화적 이해'의 문제
    권오현 독어교육 16 : 315 ~ 348 [1998]
  • 예비 외국어 교사를 위한 개발 교과목 ‘문화 간 소통 교육’ 운영 결과 분석
    신형욱 독어교육 53 (53) : 89 ~ 114 [2012]
  • 영어권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교수 학습의 실제 - ‘상호문화능력 신장’과 ‘개인성장’을 중심으로 -
    이성희 한국어교육 21 (4) : 153 ~ 182 [2010]
  •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문학 소재의 비판적 고찰- ‘카인과 아벨’의 소재를 중심으로 -
    두행숙 독어교육 30 : 257 ~ 282 [2004]
  •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의 내용과 평가 -Autobiography of Intercultural Encounters를 중심으로-
    김옥선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8) : 5 ~ 29 [2011]
  • 상호문화 학습의 이론적 토대
    민춘기 독일언어문학 (21) : 127 ~ 147 [2003]
  • 상호문화 소통능력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구상 연구
    민춘기 독어교육 49 (49) : 65 ~ 87 [2010]
  • 상호 문화적?미디어적 능력- 독일문학 교육의 목표설정과 관련하여 -
    이광복 독어교육 24 : 3 ~ 74 [2002]
  • 문화와 외국어 교육- 고등학교 독일어교육을 중심으로 -
    권오현 독어교육 28 : 1 ~ 34 [2003]
  • 문화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김미연 독어교육 43 (43) : 7 ~ 31 [2008]
  • 문화간 소통을 위한 외국어 교육 - 교과목 개발 사례 -
    최영진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8) : 201 ~ 239 [2011]
  • 문화간 비즈니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가능성 연구
    하수권 독어교육 37 (37) : 89 ~ 114 [2006]
  • 문화간 경제의사소통구조 분석
    김미연 독어교육 29 : 217 ~ 240 [2004]
  • 문화 간 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토론수업의 구조화 방안 연구
    조용길 독어교육 56 (56) : 375 ~ 395 [2013]
  • 문학작품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
    김정용 독어교육 51 (51) : 7 ~ 29 [2011]
  • 독일어 수업에서의 이문화간 학습 - Stuttgarter-구상안을 중심으로
    김미승 독어교육 32 (32) : 29 ~ 57 [2005]
  • 간문화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외국어교육
    권오현 독어교육 14 : 5 ~ 24 [1996]
  • 간문화적 독어독문학에 있어서의 <상이성 Alterität > 개념 연구
    권오현 독어교육 12 : 299 ~ 320 [1994]
  • ‘화성인류학자’를 활용한 예비 한국어 교사의상호 문화 능력 교육 방안 -‘정의적 능력’을 중심으로-
    이성희 한국언어문화학 10 (2) : 225 ~ 246 [2013]
  • Zur Entwickl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in Werkstattbericht)
    유수연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30) : 81 ~ 101 [2012]
  • Zur Entwicklung der fremdsprachigen Lesekompetenz im Rahmen des Literaturunterrichts in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안은영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30) : 57 ~ 80 [2012]
  • Zum Erwerb interkultureller Kompetenz im Unterricht des Deutschen als Fremdsprache
    House, J. Zeitschrift für Interkulturellen Fremdsprachenunterricht 1 (3) [1996]
  • Tips for Teaching Culture: Practical Approaches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ntergerst, A. C. Pearson Longman [2011]
  • Thesen zum Interkulturellen Lernen im Fremdspachenunterricht. Frühjahrskonferenz zur Erforschung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Müller-Jacquier, B.-D. Handout für die Konferenz [1994]
  • The World's business cultures and how to unlock them
    Tomalin, B. Thorogood [2010]
  • Teaching Fore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Chaisri, K. Silpakorn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s, Humanities, and Arts 13 (1) : 179 ~ 196 [2013]
  • Teaching Culture: Perspectives iin Practice. Newbury House Teacher Development
    Moran, P. R. Heinle & Heinle Thonon Learning [2001]
  •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NSFLEP Allen Press, Inc [1999]
  • Sprachkompetenz - Sachkompetenz - Ihre Interdependenz und Bedeutung fü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홀거슈타이델레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6) : 125 ~ 151 [2010]
  • Politeness in Europe : 13 ~ 28
    House, J. [2005]
  • Politeness in East Asia : 176 ~ 207
  • Politeness Across Cultures : 106 ~ 127
    Brown, L. [2011]
  • Kulturvergleichende Psychologie
    Thomas, A. [1993]
  • Interkulturelles und kulturelles Lernen. Interne Arbeitspapiere des Fachgebiets Interkulturelle Didaktik
  • Interkulturelles Lernen im DaF-Unterricht in Korea
    현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6) : 275 ~ 297 [2010]
  • Interkulturelles Lernen
    Götz, K. Interkulturelles Training. Managementkonzepte, Bd. 8. 7. Auflage (19991) / Rainer Hampp Verlag [2010]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Modelle, Empirie, Evaluation
    Hu, A. Gunter Narr Verlag [2009]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7 ~ 25
    Hu, A. [2009]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49 ~ 68
    Witte, A. [2009]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31 ~ 48
    Mughan, T. [2009]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273 ~ 288
    Caspari, D. [2009]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199 ~ 214
  •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fremdsprachliches Lernen : 123 ~ 138
  • Eine Studie zu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interkulturellen Lernens im FSU
    김옥선 독일어문학 18 (2) : 263 ~ 281 [2010]
  •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 21 ~ 72
  •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 9 ~ 15
  •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 342 ~ 534
  •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e, D.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3]
  •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 237 ~ 270
  • Culture Learning in Language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Paige, R. M. CARLA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