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eumosinhwa
  • jeon-ginovel
  • jeondeungsinhwa
  • koreanclassicalnovels
  • mong-yurok
  • 금오신화
  • 몽유록
  • 전기소설
  • 전등신화
  • 한국고전소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7 0

0.0%

' 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남염부주지」의 패러디와 풍자- 남염부주의 모순적 형상을 중심으로 -
    엄태식 동남어문논집 1 (36) : 57 ~ 83 [2013]
  • ?金鰲新話?와 ?剪燈新話?의 志向과 구현화 원리
    정환국 고전문학연구 22 : 11 ~ 334 [2002]
  • 환상소설 삼해지 신기도
    한석수 제이앤씨 [2006]
  • 한중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
    이상익 삼영사 [1983]
  •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김현룡 일지사 [1976]
  • 한문필사본 위생전
    엄태식
  •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박희병 소명출판 [2005]
  •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박희병 돌베개 [1997]
  • 한국몽유소설연구
    신재홍 계명문화사 [1994]
  •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1
  • 한국 고소설 연구의 쟁점과 전망
    김경미 보고사 [2011]
  • 중국고전소설의 국내 출판본 정리 및 해제
    민관동 학고방 [2012]
  • 주생전의 창작 기층과 문학적 성격
    정민 한양어문연구 9 [1991]
  •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김정녀 보고사 [2005]
  • 조선 후기 전기소설의 향방
    윤재민 민족문학사연구 15 [1999]
  • 젼등신화 서강대본
    이재홍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11]
  • 젼등신화
    최용철 학고방 [2009]
  • 전등신화구해 역주
    정용수 푸른사상 [2003]
  • 전등삼종(상)
    최용철 소명출판 [2005]
  • 전등삼종 하
    최용철 소명출판 [2005]
  • 위경천전의 낭만적 비극성
    정민 한국학논집 23 [1994]
  • 운영전의 발생론적 고찰
    전용오 인문논총 10 [1996]
  • 역주 조선후기 세태소설선
    신해진 월인 [1999]
  • 박사
  • 애정전기소설의 서사 문법과 결말 구조
    엄태식 동양학 (53) : 1 ~ 28 [2013]
  • 설공찬전 국문본의 발견 경위와 의의
    이복규 고소설연구 3 [1997]
  • 새로 발굴한 주생전 위생전의 자료와 해석
    간호윤 박이정 [2008]
  • 삼한습유
    이승수 박이정 [2003]
  • 비교문학적 견지에서 본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박성의 문리논집 3 [1958]
  • 몽유록의 유형적 고찰
    신재홍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 매월당 김시습 연구
    정주동 신아사 [1965]
  •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심경호 홍익출판사 [2000]
  • 동아시아문학 속에서의 한국한문소설 연구
    박일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김지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 기재기이 연구
    소재영 [1990]
  • 금오신화해제
    최남선 계명 19 [1927]
  • 금오신화의 판본
    최용철 국학자료원 [2003]
  •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구성비교연구
    한영환 개문사 [1975]
  • 금오신화연구
    설중환 [2013]
  • 금오신화연구
    이대형 보고사 [2003]
  • 국문필사본 김영철전
    서인석 서인석
  • 국문본 <김영텰뎐 >의 이본적 위상과 특징
    서인석 국어국문학 (157) : 115 ~ 142 [2011]
  • 교주 증보 조선소설사
    김태준 한길사 [1990]
  •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전기소설
    장효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애정세태소설
    장효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7]
  •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몽유록
    장효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을 패러디의 관점에서 읽는 법―전기소설 『금오신화』와 『오유란전』을 중심으로
    정출헌 국제어문 (38) : 35 ~ 63 [2006]
  • 고전 소설과 삶의 문제
    신재홍 역락 [2012]
  • 고소설연구 7
    김승호 한국고소설학회 [1999]
  • 雲英傳 연구
    宋貞愛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7]
  •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신상필 고소설연구 (29) : 511 ~ 536 [2010]
  • 朝鮮 刊 『剪燈新話句解』 諸本 硏究(1) -異本 對比 및 系列化를 중심으로-
    김영진 어문논집 (65) : 287 ~ 314 [2012]
  • 夢遊錄의 現實對應 樣相과 그 意味 : 16C 후반-17C 전반 몽유록을 중심으로
    金貞女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 夢遊錄 연구
    金靜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78]
  • 剪燈新話의 享有와 그 底邊
    신상필 漢文敎育硏究 26 (1) : 543 ~ 565 [2006]
  • 「최생우진기」의 서사적 의미와 신광한의 현실 인식
    엄태식 민족문화 42 : 31 ~ 64 [2013]
  • 「용궁부연록」의 『전등신화』 수용 의미와금기의 소설적 형상화
    엄태식 어문론집 (59) : 147 ~ 175 [2014]
  • <흥낭전 >과 『剪燈新話』 소재 <金鳳釵記 > 연구
    조재현 고소설연구 (25) : 355 ~ 381 [2008]
  • <피생명몽록 > 연구-작자의 창작의도를 중심으로-
    지연숙 우리어문연구 23 (23) : 373 ~ 392 [2004]
  • <원회록 >과 『전등신화』 개작 소설
    엄태식 고소설연구 (35) : 205 ~ 237 [2013]
  • <원자실전 >의 전기소설적 성격과 의미
    김재웅 어문연구 53 : 63 ~ 91 [2007]
  • <용궁부연록 >의 환상 체험 연구
    임치균 정신문화연구 34 (3) : 7 ~ 26 [2011]
  • <삼해지(三海誌) >의 인물형상 연구-재자가인소설(才子佳人小說)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의숭 민족문학사연구 (34) : 180 ~ 205 [2007]
  • 19세기 서울의 사랑 절화기담, 포의교집
    김경미 여이연 [2003]
  • 박사
  • 16세기, 중국소설의 국내유입과 향유 양상
    윤세순 민족문학사연구 25 : 134 ~ 161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