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가사의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찰

논문상세정보
' 송강가사의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enter-periphery
  • discourse
  • gosansijo
  • songganggasa
  • space recognition
  • 고산시조
  • 공간인식
  • 담론
  • 송강가사
  • 중심부-주변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070 1

0.0%

' 송강가사의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찰' 의 참고문헌

  • 조선전기 사대부 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최상은 보고사 [2004]
  • 의미 치료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읽기 - 영원성에 대한 작품을 중심으로 -
    고영화 문학치료연구 15 : 73 ~ 93 [2010]
  • 송강평전
    박영주 고요아침 [2003]
  • 송강의 전후미인곡 연구
    서수생 한국시가연구 [1974]
  • 송강문학연구
    최태호 역락 [2000]
  • 송강문학 연구의 흐름과 방향
    박영주 한국시가문화연구 (33) : 107 ~ 183 [2014]
  • 송강가사
    김사엽 문호사 [1959]
  • 송강, 노계, 고산의 시가문학
    박성의 현암사 [1971]
  •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화
    담양문화원 편 담양문화원 [1991]
  • 송강 정철과 함께 걷는 관동별곡 8백리
    정 준 청동거울 [2013]
  • 송강 정철 문학의 재인식
    김진욱 역락 [2004]
  • 송강 정철 국문시가의 수사기교
    전일환 한국언어문학 45 : 247 ~ 276 [2000]
  • 송강 <관동별곡 > 독해의 새 시각 모색
    정무룡 한국시가연구 23 : 211 ~ 242 [2007]
  • 속미인곡의 네 가지 쟁점에 대하여
    김선기 어문연구 71 : 99 ~ 124 [2012]
  • 속미인곡의 내용분석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1982]
  • 담양의 가사기행
    김신중 담양문화원 [2009]
  • 고전시가의 이념과 현실, 그리고 공간과 장소 의식 탐색 -송강가사를 통한 가능성 모색-
    최상은 한국시가연구 34 : 5 ~ 34 [2013]
  • 고전시가와 문체의 시학-윤선도와 정철의 경우
    고정희 월인 [2004]
  • 강원지역의 역사와 발전의 잠재력: 역사지리적 접근
    옥한석 문화역사지리 (9) : 15 ~ 25 [1997]
  • 강원사 「고대의 강원지방」
  • 가사문학의 이념과 정서
    최상은 보고사 [2006]
  • 가사 장르의 담론 특성 연구
    조세형 서울대 [1998]
  • 가사 <관동별곡 >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성호경 국문학연구 (22) : 129 ~ 160 [2010]
  • 玉峯集 下
  • 棲霞堂遺稿 上·下
  • 松江集 上·下
    태학사 [1992]
  • 松江集
    한국고전번역원
  • 松江 鄭澈 詩歌의 美的 特質 硏究 : 작품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崔圭穗 이화여대 [1996]
  • 朝鮮時代 烽燧體制와 立地에 관한 연구: 강원도를 중심으로
    김경추 국토지리학회 35 : 273 ~ 282 [2001]
  • 星山의 息影亭과 星山別曲
    박준규 국어국문학 (95) : 5 ~ 24 [1985]
  • 星山別曲의 作者 考證
    강전섭 모산학보 4·5 : 31 ~ 65 [1993]
  • 文谷集 4
  • 孤山遺稿
    민족문화추진회
  • 國譯 松江集
  • ‘부재’를 중심으로 살펴 본 고산 시조의미학적 특질
    박상영 어문론총 (59) : 291 ~ 319 [2013]
  • <성산별곡 >의 세 가지 쟁점에 대하여
    김선기 고시가연구 5 : 87 ~ 104 [1998]
  • <關東別曲 >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성호경 고전문학연구 (37) : 71 ~ 10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