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니 접속문의 서법 체계에 대한 연구

강계림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으니 접속문의 서법 체계에 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언어학
  • conjunctive sentences
  • connectivesuffix-uni
  • irrealis
  • jointmarking
  • languagetopology
  • mood
  • realis
  • 공동표지
  • 서법
  • 서상법
  • 서실법
  • 연결어미-으니
  • 유형론
  • 접속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88 1

0.0%

' -으니 접속문의 서법 체계에 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회상문의 인칭제약과 책임성
    김영희 국어학 10 : 37 ~ 80 [1981]
  •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윤평현 박이정 [2005]
  •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임동훈 國語學 (59) : 3 ~ 44 [2010]
  • 현대국어 양태범주 연구
    장경희 탑출판사 [1985]
  • 현대국어 선어말어미 {더}의 의미에 대하여 - 마침법의 경우
    최동주 어학연구 30 (1) [1994]
  • 박사
  • 한국어의 양태(modality) 표현: 언어 유형론의 관점에서
    이기갑 담화 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고영근 태학사 [2004]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임동훈 한국어 의미학 26 : 211 ~ 249 [2008]
  •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이희자 한국문화사 [2001]
  • 한국어 접속문에 나타나는 ‘-었-’의 생략 현상의 환경과 해석: ‘-고’, ‘-지만’, ‘-으니’ 접속문을 중심으로
    손혜옥 國語學 15 (58) : 157 ~ 200 [2010]
  • 한국어 연결어미 표현론
    장광군 월인 [1999]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박재연 태학사 [2006]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두산동아 [1999]
  • 중세국어구문연구
    이현희 신구문화사 [1994]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71]
  • 우리말 형태론-말본론-
    김석득 탑출판사 [1992]
  • 연결어미와 양태 :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박재연 한국어 의미학 30 : 119 ~ 141 [2009]
  • 연결 어미 ‘-더니’ 연구
    송재영 國語學 17 (53) : 177 ~ 198 [2008]
  •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유형론적 관점에서
    송재목 국어학 32 : 135 ~ 169 [1998]
  • 시제, 상, 양태
    박진호 國語學 28 (60) : 289 ~ 322 [2011]
  • 수정증보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 출판원 [1996]
  • 선어말어미 { - 더 - } 의 통시적 변화
    최동주 언어학 (19) : 375 ~ 409 [1996]
  •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 302 ~ 358 [1989]
  • 국어의 통합형 접속어미
    백낙천 월인 [2003]
  •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이은경 태학사 [2000]
  • 국어 접속 어미의 의미 구조
    장경희 한글 277 : 151 ~ 174 [1995]
  • 국어 연결어미의 쓰임, ‘-고, -어서, -니까, -다가’의 의미·통사적 특징
    남기심 서광 학술 자료사 [1994]
  • 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 -회상 형태소 ‘더’를 중심으로-
    김차균 한글 169 : 45 ~ 116 [1980]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변화에 관한 연구
    崔東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 국어 문법의 연구
    서정수 한국문화사 : 231 ~ 265 [1990]
  • 국어 문법의 심층Ⅰ
    임홍빈 태학사 : 271 ~ 338 [1998]
  • 국어 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남기심 탑출판사 [1978]
  • 過去 時制를 나타내는 ‘-었더-’에 대하여
    朴載蓮 어문연구(語文硏究) 31 (133) : 85 ~ 109 [2003]
  • 國語 活用語尾의 形態와 意味
    徐泰龍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 ‘더’의 의미에 대한 관견
    유동석 관악어문연구 6 : 205 ~ 226 [1981]
  •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네’, ‘-더라’, ‘-더니’, ‘-길래’ 등을 중심으로-
    임채훈 이중언어학 (37) : 199 ~ 234 [2008]
  • ‘-더니’와 ‘-었더니’: 선어말어미 ‘-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송재목 國語學 3 (60) : 33 ~ 67 [2011]
  • ‘-더니’와 ‘-었더니’
    송재목 국제고려학 11 : 215 ~ 235 [2007]
  • {더}의 의미 기능에 관한 연구
    정문수 논문집 2 : 5 ~ 32 [1983]
  •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Mithun, 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 The Philosophy of Grammar
    Jespersen, O. George Allen & Unwin LTD [1924]
  • Retrospection in Korean
    손호민 어학연구 11 (1) [1974]
  • Mood and Modality
    Palmer, F. 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 Modality in Amele and other Papuan languages
    Roberts, J. R. Journal of linguistics 26 : 363 ~ 401 [1990]
  • Functionalism and Grammar
    Givón, T. John Benjamins [1995]
  • Functional syntax and universal grammar
    Foley, W. 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 Aspect
    Comrie, B.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허웅 샘문화사 [1995]
  • -더라/의 쓰임과 의미
    신현숙 논문집11 : 113 ~ 123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