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기 관료의 불교계 네트워크

' 고려시기 관료의 불교계 네트워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ddhist temple
  • buddhistmonks
  • governmentofficials
  • network
  • networkwiththebuddhistcircle
  • secularsociety
  • thebuddhistcircle
  • wondang
  • 관료
  • 네트워크
  • 불교계
  • 불교계와의네트워크
  • 사원
  • 세속사회
  • 승려
  • 원당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67 0

0.0%

' 고려시기 관료의 불교계 네트워크' 의 참고문헌

  • 歷代高僧碑文(高麗篇 1‧2‧3‧4)
    李智冠 伽山佛敎文化硏究院 [1997]
  • 歷代高僧碑文(朝鮮篇)
    李智冠 伽山佛敎文化硏究院 [1998]
  • 한국의 중세문명과 사회사상
    허흥식 한국학술정보 [2013]
  • 최해와 역주 『拙藁千百』
    채상식 혜안 [2013]
  • 이색의 삶과 생각
    이익주 일조각 [2013]
  • 이규보의 불교인식과 시
    주호찬 보고사 [2006]
  • 이규보의 불교관에 관한 一考察
    박윤진 史叢 53 [2001]
  • 이규보 연보
    김용선 일조각 [2013]
  • 생활인 이규보
    김용선 일조각 [2013]
  • 사회적 네트워크와 공간(이태진교수정년기념논총1)
    채웅석 태학사 [2009]
  • 목은 이색과 불교 승려의 시문(詩文) 교유
    남동신 역사와 현실 (62) : 111 ~ 157 [2006]
  • 고려시대 불교계와 불교문화
    황인규 국학자료원 [2011]
  • 고려금석문연구
    김용선 일조각 [2004]
  • 高麗末 朝鮮初 白羊寺의 重創과 經濟問題
    李炳熙 韓國史硏究 99‧100 [1997]
  • 高麗時期 寺院의 술 生産과 消費
    이병희 역사와 세계 44 : 227 ~ 269 [2013]
  • 高麗時代 승려의 血族間 師承과 그 意味
    박윤진 한국사연구 (142) : 69 ~ 103 [2008]
  • 高麗時代 寺院寶의 設置와 運營
    韓基汶 歷史敎育論集 13‧14 [1990]
  • 高麗後期 寺院經濟 硏究
    李炳熙 景仁文化社 [2008]
  • 高麗寺院의 構造와 機能
    韓基汶 民族社 [1998]
  • 高麗墓誌銘集成
    金龍善 翰林大出版部 [2012]
  • 高麗史節要
  • 高麗史
    [1990]
  • 陽村集
  • 陶隱集
  • 稼亭集
  • 益齋亂藁
  • 牧隱詩藁
  • 牧隱文藁
  • 東文選
  • 東國李相國集
  • 李穡의 18人 結契로 본 高麗 靑少年의 集團行態
    許興植 정신문화연구 21 (1) [1998]
  • 惠諶의 大禪師 告身에 대한 檢討-高麗 僧政體系의 理解를 중심으로-
    張東翼 韓國史硏究 34 [1981]
  • 安東權氏의 사례를 통해 본 高麗社會의 一斷面 ―‘成化譜’를 참고로 하여―
    박용운 역사교육 (94) : 35 ~ 86 [2005]
  • 七長寺慧炤國師碑銘을 통해 본 鼎賢의 生涯와 思想
    남동신 한국중세사연구 30 (30) : 483 ~ 517 [2011]
  • 『목은시고(牧隱詩藁)』를 통해서 본 이색의 인간관계망 - 우왕 3년(1377) ~ 우왕 9년(1383)을 중심으로 -
    채웅석 역사와 현실 (62) : 75 ~ 11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