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 용산 미군기지의 문화유산 가치와 도시발전 방향

논문상세정보
' 논문 : 용산 미군기지의 문화유산 가치와 도시발전 방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lonialmilitarybase
  • cultural heritage
  • spaceofsuccession
  • world heritage
  • 문화유산
  • 세계유산.yongsanmilitarybase
  • 식민군사기지
  • 용산미군기지
  • 천이의공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75 0

0.0%

' 논문 : 용산 미군기지의 문화유산 가치와 도시발전 방향' 의 참고문헌

  • 龍山考
    김용국 향토서울 34 : 1 ~ 43 [1976]
  • 한국 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
    손정목 일지사 [1994]
  • 택리지
    허경진 한양출판 [1996]
  • 조선후기 서울의 사회와 생활
    조성윤 서울학연구소 [1998]
  •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으로서 용산 재개발 지구의 근린 변화
    이선영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 (3) : 113 ~ 123 [2008]
  • 일제하 서울에서의 식민권력의 지배전략과 도시공간의 정치학
    김백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손정목 일지사 [1990]
  • 이태원: 공간과 삶
  • 용산지역개발 기본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
  • 용산의 잠재력: 서울의 글로벌 관문이 될 것인가 : 1 ~ 20
    김상일 [2008]
  • 용산기지의 역사자료와 유산가치
    김인수 2014년 6월 12일 제2차 이코포럼: 용산의 군사유적 자료집 ICOMOS-Korea [2014]
  • 용산기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신주백 서울학연구 (29) : 189 ~ 218 [2007]
  • 용산공원의 가치와 조성 효과에 관한 연구
  • 용산공원기획단
  • 용산 이전적지 현황
  • 용산 미군기지와 서울의 생태문화적 재생-용산‘생명의 숲’구상을 중심으로
    홍성태 ECO 10 (2) : 159 ~ 186 [2006]
  • 용산 미군기지에 일제 병영시설 132동 있다
  • 용산 미군기지 이전의 전망과 대응
    서재철 문화과학 37 : 287 ~ 295 [2004]
  • 용산 미군기지 이전과 그 활용 방안
    조명래 환경과 생명 10 : 206 ~ 217 [1996]
  • 신용산과 나남의 형성과정
    손정목 향토서울 36 : 29 ~ 79 [1979]
  • 세계화시대의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 (2) : 1 ~ 18 [2005]
  • 세계유산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경관 분석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 (1) : 1 ~ 17 [2013]
  • 서울 용산의 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김봉수 지리교육논집 45 : 26 ~ 44 [2001]
  • 박사
  • 서울 용산 지역의 도시화 과정에 관한 연구- 개항이후부터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한동수 도시설계 6 (4) : 21 ~ 36 [2005]
  • 서울 용산 지역의 가로망 변화에 관한 연구: 개항이후부터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황보영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 (2) : 841 ~ 844 [2004]
  • 서울 中心部의 日本人 市街地 擴散: 開化期에서 日帝强占 前半期까지(1885년~1929년)
    김종근 서울학연구 (20) : 181 ~ 234 [2003]
  • 보이는 용산 보이지 않는 용산
    양승우 마티 [2009]
  • 미국기지는 왜 용산에 있나
    정재정 내일을여는 역사 4 (겨울) : 20 ~ 28 [2001]
  • 러일전쟁 직후 서울의 식민도시화 과정-비교식민지도시사적 고찰-
    김백영 지방사와 지방문화 8 (2) : 77 ~ 143 [2005]
  • 도시경관 변화로 본 용산의 가치와 상징성
    남영우 2014년 6월 12일 제2차 이코포럼: 용산의 군사유적, 자료집, ICOMOSKorea [2014]
  • 대중교통수단이 서울시 발달에 미친 영향: 1899-1968
    이혜은 지리학 37 : 19 ~ 20 [1987]
  • 기성시가지내 군사시설의 이전에 관한 연구 - 용산기지 이전 평택기지건설사업을 중심으로 -
    강구황 도시행정학보 24 (4) : 315 ~ 343 [2011]
  • 군부대 문화재 조사보고서 -주한미군기지
  • 경성용산시가도
    윤형두 [1910]
  • 都心部 龍山軍移積地의 地域 象徵性을 고려한 都市建築 方向設定에 관한 연구
    김원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 (5) : 191 ~ 198 [2006]
  • 朝鮮初 漢江의 位相과 沿岸地域의 現況
    서성호 서울학연구 (23) : 1 ~ 26 [2004]
  • The meaning of landscape, Kulturgeografi, Aarhus
    Jackson, J. Denmark 88 : 47 ~ 50 [1964]
  • The city as Text: The Politics of Landscape Interpretation in the Kandyan Kingdom
    Duncan,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The Modern Urban Landscape
    Relph, 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 The Lie of the Land: Migrant Workers and the California Landscape
    Mitchell, 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s: Geographical Essays
    Meinig, D.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s: Geographical Essays
    Jackson, J.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 Landscape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Zukin, 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 Human Geography: An Essential Anthology
    Sauer, C. Blackwell Publishers Ltd. : 296 ~ 315 [1996]
  • Historical geography and the concept of landscape
    Williams, M.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15 (1) : 92 ~ 104 [1989]
  • A Social Geography of Greater Seoul
    Lee, Ki-Suk University of Minnesota [1977]
  • 1920년대 용산기지 내 주요 부대 및 군사건축물 현황 연구
    김천수 향토서울 85 : 285 ~ 337 [2013]
  • 18·19세기 서울 京江地域의 商業發達
    高東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 1882-1910년간 서울시장의 변동
    이헌창 대학사 : 366 ~ 36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