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젠더 연구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젠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3사건진상조사보고서
  • genderissue
  • officialinvestigationreportaboutthejeju43incident
  • thejeju43incident
  • transitional justice
  • womenshistory
  • 이행기 정의
  • 제주 4
  • 젠더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2 0

0.0%

' 일반논문 :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젠더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전쟁과 히스테리의 전유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와 전후 가족질서를 중심으로
    허윤 여성문학연구 21 (21) : 93 ~ 124 [2009]
  • 한국전쟁과 젠더: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이임하 서해문집 [2004]
  •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함한희 역사비평 (91) : 22 ~ 52 [2010]
  •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김은경 아시아여성연구 45 (2) : 7 ~ 48 [2006]
  • 한국전쟁 사진에 나타난 여성
    김형곤 언론과학연구 11 (2) : 123 ~ 145 [2011]
  • 한국 무속에 나타난 여성체험
    김성례 한국여성학 7 [1991]
  • 제주4 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 제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4 3의 상대적 진실 : 김인근과 현신봉의 생애담을 중심으로
    박경열 통일인문학논총 47 [2009]
  • 제주 무속 : 폭력의 역사적 담론
    김성례 종교신학연구 4 (1) [1991]
  • 제주 4.3항쟁과 여성의 삶에 관한 연구
    이정숙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제주 4 3항쟁-저항과 아픔의 역사
    양정심 선인 [2008]
  • 제주 4 3과 여성경험: 폭력의 기억에서 생존의 연대로
    김성례 경인문화사 [2004]
  • 제주 4 3경험과 마을공동체의 변화
    김성례 한국인류학 34 [2001]
  • 제주 4 3 연구의 새로운 모색
    김동전 제주대 출판부 [2013]
  • 제주 4 3 연구의 새로운 모색
    허호준 제주대 출판부 [2013]
  • 이제사 말햄수다
    제주4 3연구소 한울 [1989]
  • 원혼의 통곡 : 역사적 담론으로서의 제주 무속
    김성례 제주도연구 6 [1989]
  • 배제된 기억-제주 4 3 항쟁의 역사
    양정심 4 3과 역사 6 [2006]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김성례 역사와 비평사 [1999]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오금숙 역사와 비평사 [1999]
  • 기억의 정치
    권귀숙 문학과 지성사 [2006]
  • 국가폭력의 성정치학 : 제주 4 3 학살을 중심으로
    김성례 흔적 2 [2001]
  • 구술된 경험읽기: 제주 4.3 관련 수형인 여성의 생애사
    유철인 한국문화인류학 37 (1) : 3 ~ 39 [2004]
  • Women in the Holocaust
    Langer, Lawrence Yale University Press [1998]
  • Women and the Holocaust : A Reconsideration of Research
    Ringelheim, Joan Signs 10 (4) [1985]
  • Visual Culture and the Holocaust
    Zelizer, Barbie Rutgers University Press [2001]
  • Turning Rape into Pornography : Postmodern Genocide
  • The Social Inheritance of the Holocaust: Gender, Culture and Memory
    Reading, Anna Palgrave Macmillan [2002]
  • The Rule of Law and Transitional Justice
  • The Oxford Handbook of Genocide Studies
    Joeden‐Forge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 The Homefront and Beyond
    Hartman, Susan Twayne Publishers [1982]
  • The Generation of Postmemory:Writing and Visual Culture after the Holocaust
    Hirsch, Marianne Colombia University Press [2012]
  • The American Woman: Her Changing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Roles, 1920-1970
    Chafe, Hen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 Seeking Truth after 50 Years: The Nation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f the Truth about the Jeju 4 3 Events
    Ki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itional Justice 3 [2009]
  • Reconciliation and Remembering : (how)Does it Work?
    Rigney, Ann Memory Studies 5 (3) [2012]
  • Preface to the Study of Women and the Holocaust
    Ringelheim, Joan Contemporary Jewry 17 [1996]
  • National Narrative, Traumatic Memory and Testimony: Reading Traces of the Cheju April Third Incident, South Korea, 1948
    Chang, Jieun New York University [2011]
  • Memorializing the Holocaust: Gender, Genocide, and Collective Memory
    Jacobs, Janet I. B. Tauris [2010]
  • Mass Rape: The War against Women in Bosnia Herzegovina
    Stiglmayer, Alexandr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4]
  • Jeju Women’s Lives in the Context of the Jeju April 3rd Uprising
    RimwhaHan,SoonheeKim Asian Women 17 [2003]
  • Gendercide: The Implications of Sex Selection
    Warren, Mary Rowman & Allanheld [1985]
  • Gender, Genocide, and Jewish Memory
    Horowitz, Sara Prooftexts 20 (1) [2000]
  • Gender and Memory
    Leydesdorff, Selma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 Gender and Genocide in Rwanda
    Jones, Adam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4 (1) [2002]
  • Gender and Catastrophe
    Lentin, Ronit Zed Books [1997]
  • Gender Based Violence : Genocide in Rwanda
    Oborune, Karina GRINVerlag [2010]
  • From Postmemory to Collective Cultural Memory
    Hirsch, Marianne Signs 28 (1) [2002]
  • Family Frames: Photography, Narrative, and Postmemory
    Hirsch, Mariann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Double Victims : Fictional Representations of Women in the Holocaust
    Copeland, Shauna Inquiry 4 [2003]
  • Does Feminism Need a Theory of Transitional Justice? An Introductory Essay
    Bell, Christin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itional Justice 1 [2007]
  • 5.18 항쟁 역사에서 여성의 주체화
    강현아 한국여성학 20 (2) : 5 ~ 40 [2004]
  • 4·3과 제주역사
    박찬식 도서출판 각 [2008]
  • 4 3은 말한다
    제민일보 4 3취재반 전예원 : 1 ~ 5 [1994]
  • 4 3에 관한 생애사로 엮은 제주 ‘호미’마을의 역사
    이정주 제주도연구 17 [2000]
  • 4 3 그리고 여성으로 살아가기
    박미선 제주작가 7 [2001]
  • 1950년대 한국영화의 여성 재현과 그 의미
    황혜진 대중서사연구 (18) : 7 ~ 3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