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홍석주의 藝術論에 대한 일고찰

尹鍾一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연천 홍석주의 藝術論에 대한 일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아시아(동양) 철학, 사상
  • dasan jeong yak-yong
  • mun-yi-jae-do-ron
  • theoryofthearts
  • thestudyofancientdocuments
  • yeoncheonhongseok-joo
  • 고증학
  • 다산 정약용
  • 문이재도론
  • 연천홍석주
  • 예술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1 0

0.0%

' 연천 홍석주의 藝術論에 대한 일고찰' 의 참고문헌

  •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韓永愚 [1983]
  • 홍석주의 춘추관
    김철범 한문학보 1 [1999]
  • 홍석주의 시론 연구
    정대림 국문학연구 (22) : 7 ~ 43 [2010]
  • 홍석주의 노자 - 訂老, 기호 주자학자의 노자 읽기
    김학목 예문서원 [2001]
  •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임종욱 한국문학연구 (21) : 207 ~ 228 [1999]
  • 홍석주 교유시의 한 측면-김소행에게 준 시문을 중심으로
    박종욱 국어국문학 124 [1999]
  • 홍석주 고문의 예술적 특징
    김철범 한국한문학연구 22 [1998]
  •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송재소 돌베개 [2005]
  •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정석종 한길사 [1994]
  • 조선후기 문학이론 연구
    금동현 보고사 [2002]
  • 조선후기 문예이론에 있어 形과 神의 문제
    정우봉 고전비평 연구 1 [1997]
  •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沈慶昊 일지사 [1999]
  •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황정연 신구문화사 [2012]
  •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강명관 소명출판 [1999]
  • 조선 후기 궁중화원 연구, 상
    강관식 돌베개 [2001]
  • 정조의 성왕론과 경장정책에 관한 연구
    박현모 서울대 [1999]
  • 정조와 영조의 나라
    박광용 푸른 역사 [1998]
  •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
    박무영 태학사 [2002]
  • 연천 홍석주의 연행과 그 의미
    김새미오 동방한문학 (30) : 317 ~ 340 [2006]
  • 연천 홍석주의 실학사상에 대한 연구-실용주의적 학문관을 중심으로
    李尙鏞 서지학연구 16 [1998]
  • 연천 홍석주의 서지관계 저술에 관한 연구
    李尙鏞 연세대 [1994]
  • 연천 홍석주의 교유시에 대하여
    강석중 한국한시연구 (19) : 5 ~ 30 [2011]
  •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김새미오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32 : 9 ~ 35 [2011]
  • 연천 홍석주의 고문작법론 연구
    김성진 한국문학논총 11 [1998]
  • 연천 홍석주의 고문론
    金喆凡 한문학문학연구 12 [1989]
  • 연암체의 성립과 정조의 문체반정
    김혈조 韓國漢文學硏究 6 [1982]
  • 실사구시의 한국학
    임형택 창작과비평사 [2000]
  • 산수화下, 한국의 미 12
    안휘준 중앙일보·계간미술 [1982]
  • 단원 김홍도
    오주석 솔출판사 [2006]
  • 단원 김홍도
    유홍준 역사비평 (가을) [1993]
  • 다시 찾는 우리 역사
    한영우 경세원 [1997]
  • 규장각 연구 : 정조대의 정국과 관련하여
    설석규 대구사학 29 [1986]
  • 개혁과 갈등의 시대-정조와 19세기
    유봉학 신구문화사 [2009]
  • 鶴岡散筆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디지털영인본
  • 韓國의 歷史像
    李佑成 창작과비평사 [1982]
  • 韓國中世社會解體期의 諸問題(정치⋅사상편)
    近代史硏究會 한울 [1987]
  • 茶山의 政治經濟思想
    성대경 창작과비평사 [1990]
  • 茶山丁若鏞藝術論의 근대성 검토-繪畫와 繪畫觀을 중심으로
    윤종일 한국사상과 문화 34 (34) : 173 ~ 216 [2006]
  • 與猶堂全書補遺 二
    茶山學會 경인문화사 [1974]
  • 與猶堂全書
    경인문화사
  • 漢詩四家의 淸代詩受容硏究
    李庚秀 태학사 [1995]
  • 淵泉集Ⅰ
    민족문화추진회 [2002]
  • 淵泉洪奭周의 文學觀-性情⋅天機論을 中心으로
    崔信浩 東洋學 13 [1983]
  • 淵泉洪奭周의 學問精神과 古文論
    鄭珉 韓國學論集 16 [1989]
  • 淵泉全書
    旿晟社 [1984]
  • 淵泉 洪奭周의 학문성향과 <대학 >해석의 특징
    최석기 漢文學報 15 (1) : 39 ~ 82 [2006]
  • 淵泉 洪奭周의 家門的 문학환경과 문학성향
    허권수 漢文學報 15 (1) : 3 ~ 38 [2006]
  • 淵泉 洪奭周의 <記里經 >과 地理의식
    김철범 漢文學報 15 (1) : 83 ~ 103 [2006]
  • 洪奭周의 ‘原詩’에 대하여
    鄭大林 漢文學論集 10 [1992]
  • 正祖의 文體政策再考
    김우정 漢文學論集 16 [1998]
  • 正祖의 抄啓文臣敎育과 文體政策
    鄭玉子 奎章閣 6 [1982]
  • 朝鮮後期經學思想硏究
    金文植 일조각 [1996]
  • 恭齋 尹斗緖의 學問과 繪畵
    李乃沃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4]
  • 弘齋全書
  • 尙書연구서를 중심으로 본 정약용과 홍석주의 정치사상 비교
    金文植 한국사론 20 [1988]
  • 丁茶山硏究의 現況
    金興圭 민음사 [1985]
  • 19세기 전반 京畿學人의 經學思想과 經世論 : 成海應·洪奭周·丁若鏞을 중심으로
    金文植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 19세기 詩論 硏究
    鄭雨峰 고려대대학원 [1992]
  • 19世紀 古文家의 文學論에 대한 연구 : 洪奭周·金邁淳·洪吉周를 중심으로
    金喆凡 성균관대 [1993]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기 문학이론 연구
    금동현 고려대학교 [2002]
  •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박은순 한양대출판부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