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선시대 단군 전승의 변형과 확대, 그리고 역사화 과정

논문상세정보
' 고려~조선시대 단군 전승의 변형과 확대, 그리고 역사화 과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text
  • expansion
  • go-joseon
  • goryeo
  • joseon
  • tanguntransmission
  • 고려
  • 고조선
  • 단군전승
  • 맥락
  • 조선
  • 확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18 0

0.0%

' 고려~조선시대 단군 전승의 변형과 확대, 그리고 역사화 과정' 의 참고문헌

  • 林下筆記
  • 龍飛御天歌
  • 歷史輯略
  • 旅菴全書
  • 신라 최초의 고승들 : 원광. 안홍
    신종원 자장 [1998]
  • 삼국유사 기이편의 연구
    이강래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 삼국유사 기이편의 연구
    조경철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 부여·고구려 건국신화의 계통과 형성과정 - 『三國遺事』 북부여조 인용 ‘古記’에 대한 분석을 실마리로 하여 -
    박기범 동북아역사논총 (34) : 205 ~ 244 [2011]
  •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치-선포와 존재의 의미를 중심으로-
    李玟源 忠北史學: 鶴山金鎭鳳敎授停年紀念特輯號 11・12 [2000]
  • 대한제국 전반기 ‘國民義氣’의 고취와 국민교육
    구희진 한국사연구 (134) : 149 ~ 193 [2006]
  • 단군신화에 보이는 곰[熊]의 實體
    신종원 한국사연구 (118) : 1 ~ 34 [2002]
  • 단군신화에 보이는 樹木信仰
    신종원 韓國史學史學報 (8) : 5 ~ 22 [2003]
  •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삼신사상의 종교적 의미
    李恩奉 國學硏究 7 [2002]
  • 단군 그 이해와 자료
    徐永大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단군 그 이해와 자료
    崔柄憲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고려시대의 단군전승과 인식
    김성환 경인문화사 [2002]
  •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이성규 한국사시민강좌 32 [2003]
  • 고구려 사회의 檀君認識과 종교문화적 특징 -蘇塗文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조법종 韓國古代史硏究 21
  • 강화도의 塹城壇에 대하여
    徐永大 韓國史論 41・42 [1999]
  • 高麗時代의 硏究-特히 地理圖讖思想의 發展을 中心으로-
    李丙燾 乙酉文化社 [1954]
  • 高麗時代 平壤의 檀君 傳承
    金成煥 文化史學 10 [1998]
  • 高麗史
  • 高句麗 建國神話의 檢討
    金基興 韓國史硏究 113 [2001]
  • 韓末 檀君關係史書의 再檢討: 神檀實記・檀奇古史・桓檀古記를 중심으로
    趙仁成 國史館論叢 3 [1989]
  • 韓國思想 第13輯-韓國思想史의 主流 1-
    李丙燾 韓國思想硏究會 [1975]
  • 韓國古代史論叢 5: 1~3세기의 한국고대사회
    盧泰敦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3]
  • 韓國古代史論叢 1: 한국민족형성사
    李成珪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1]
  • 韓國古代史硏究
    李丙燾 博英社 [1976]
  • 韓國上古史의 諸問題
    金貞培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 靑鶴集
  •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崔柄憲 韓國史硏究 11 [1975]
  • 譯註 高麗史 第1(世家 1)
    金庠基 東亞大學校出版社 [1971]
  • 記言
  • 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오현수 대동문화연구 (79) : 147 ~ 182 [2012]
  • 筆苑雜記
  • 竹下集
  • 海東異蹟
  • 浩亭先生文集
  • 檀君에 關한 一考察
    李丙燾 新天地 2 (2) [1947]
  • 檀君說話와 토오테미즘
    金廷鶴 歷史學報 7 [1954]
  • 檀君神敎源流考 (1)~(10)
    李能和 東明 [1923]
  • 檀君崇拜의 歷史
    徐永大 정신문화연구 32 [1987]
  • 檀君古記의 理解方向
    金杜珍 韓國學論叢 5 [1982]
  • 標題音註東國史略
  • 梧溪日誌集
  • 桓檀古記의 檀君世紀와 단기고사・揆園史話
    조인성 단군학연구 2 [2000]
  • 東夷의 개념과 실체의 변천에 관한 연구
    奇修延 白山學報 42 [1993]
  • 東國歷代總目
  • 東國歷代史略
  • 東國通鑑
  • 東史簒要
  • 東史節要
  • 東史撮要
  • 東典考
  • 朝鮮歷代史略
  • 朝鮮後期歷史地理學硏究
    朴仁鎬 이회문화사 [1996]
  • 星湖僿說
    李瀷 [1740]
  • 旬五志
  • 新增東國輿地勝覽
  • 揆園史話와 桓檀古記
    趙仁成 韓國史市民講座 2 [1988]
  • 惠庵柳洪烈博士華甲紀念論叢
    金哲埈 華甲紀念事業委員會 [1971]
  • 息山先生別集
  • 帝王韻紀
  • 巫俗上으로 본 檀君神話-檀君神話의 形成을 中心으로
    金泰坤 史學硏究: 金良善敎授華甲紀念論叢 20 [1968]
  • 太祖實錄
  • 大東歷史
  • 大東韻府群玉
  • 大東遺事
  • 大東掌攷
  • 增補文獻備考
  • 地理志
  • 土俗信仰과 風水圖讖思想의 發達
    李恩奉 傳統과 思想 4 [1990]
  • 四夷 槪念을 통해 본 古代中國人의 世界觀
    金翰奎 釜山女子大學 論文集 10 [1981]
  • 名刹巡禮 1: 傳燈寺
    崔完秀 대원사 [1994]
  • 古朝鮮의 民族構成과 文化的 複合
    金貞培 白山學報 12 [1972]
  • 古朝鮮 位置比定에 관한 硏究史的 檢討(1)
    吳江原 白山學報 47 [1996]
  • 古代 中國人의 韓國觀-文獻批判的 接近-
    全海宗 韓國史學 6 [1985]
  • 元代 喇嘛敎의 高麗傳來
    李龍範 佛敎學報 2 [1964]
  • 修山集
  • 世宗實錄
  • 三國遺事와 道敎思想
    尹米吉 論文集-人文・社會系列篇 17 [1983]
  • 三國遺事 紀異篇古朝鮮條에 引用된 魏書에 대하여
    丁仲煥 大邱史學 12・13 [1977]
  • 三國遺事 古朝鮮條 인용 魏書 論
    朴大在 韓國史硏究 112 [2001]
  • 三國遺事
  • 三國史記와 古記
    李康來 龍鳳論叢 17・18 [1989]
  • 三國史記
  • 三國史節要
  • 『雲鶴先生事蹟』과 『靑鶴集』
    김성환 韓國史學史學報 (22) : 69 ~ 99 [2010]
  • 3세기 이전 中國史書에 나타난 韓國古代史像
    尹龍九 韓國古代史硏究 14 [1998]
  • 1910年代의 民族主義的 歷史敍述-李相龍・朴殷植・金敎獻・檀奇古史를 중심으로
    韓永愚 韓國文化 1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