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화를 통한 한국 문화의 이해

오세정 2014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신화를 통한 한국 문화의 이해'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186 0

0.0%

' 한국 신화를 통한 한국 문화의 이해'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창세신화
    김헌선 길벗 : 1 ~ 506 [1994]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최정순 인문연구 (63) : 53 ~ 90 [2011]
  • 한국신화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과 의미
    오세정 韓國古典硏究 0 (16) : 67 ~ 96 [2007]
  • 한국설화문학에 나타난 가족윤리 -단군설화를 중심으로
    서경요 한글판 <유교문화연구 > 1 (14) : 123 ~ 135 [2009]
  • 한국무가집 1
    김태곤 집문당 : 1 ~ 391 [1971]
  • 한국 창조신화와 그리스 창조신화에 있어서자연-신-인간의 문제
    김윤애 비교민속학 (30) : 171 ~ 201 [2005]
  • 조선신가유편
    손진태 박이정 : 1 ~ 383 [2012]
  • 조선무속의 연구,上
    아카마쓰 지죠 동문선 : 1 ~ 505 [1991]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현용준 각 : 1 ~ 859 [1980]
  • 신화학 입문
    왕 빈 금란 : 1 ~ 232 [1980]
  • 신화를 통해 살펴본 신과 인간과 대자연의 신성한 관계 -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창조적 신화 해석을 토대로 -
    이호창 동유럽발칸연구 26 : 81 ~ 110 [2011]
  • 성스러움의 의미
    루돌프 오토 분도 : 1 ~ 278 [1991]
  • 상상력의 세계사
    루시앵 보이아 동문선 : 1 ~ 289 [2000]
  • 삼국유사
    일연 [1512]
  • 문학과 신화
    미르치아 엘리아데 예림 : 320 ~ 336 [1998]
  • 목은의 사상과 한국유학의 세 흐름
    이기동 한국사상과 문화 (25) : 193 ~ 216 [2004]
  • 동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신화 활용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 중. 일의 창세. 건국신화 비교를 중심으로-
    양민정 국제지역연구 11 (4) : 147 ~ 170 [2008]
  • 동서사상에 있어서의 인간과 신-인간의 자기이해와 신에 대한 관념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이상익 국학연구 3 : 1 ~ 46 [1990]
  • 동국이상국집
  • 다문화사회와 구비문학 교육 -구전신화에 내재된 초국가적 원리를 중심으로-
    최원오 어문학 (106) : 131 ~ 147 [2009]
  • 구비문학개설
    장덕순 일조각 : 1 ~ 319 [1992]
  • Primitive Culture, vol.2
    Edward B. Tylor Harper : 1 ~ 539 [1958]
  • <창세가 >의 원형적 상상력의 구조와 의미체계
    오세정 구비문학연구 (20) : 347 ~ 384 [2005]
  •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윤여탁 한국문화사 : 191 ~ 20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