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에서 선거제도가 정당공천(무소속)에 미치는 영향

권영주 2014년
논문상세정보
' 지방선거에서 선거제도가 정당공천(무소속)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행정학
  • districtmagnitude
  • local election
  • non-partisancandidatesandelects
  • party nomination
  • rationalchoiceinstitutionalism
  • 무소속후보자/당선자
  • 선거구정수
  • 정당 공천
  • 지방선거
  • 합리적선택제도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214 0

0.0%

' 지방선거에서 선거제도가 정당공천(무소속)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한국자치행정학보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4년(2005-2008)간 한국자치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
    주상현 한국자치행정학보 23 (1) : 415 ~ 436 [2009]
  • 한국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23 (2)
    송광운 [2008]
  • 한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정당공천제 문제의 해결
    성기중 한국동북아논총 14 (1) : 253 ~ 284 [2009]
  •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최준영 한국정당학회보 11 (1) : 59 ~ 85 [2012]
  • 지방행정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KCI 등재논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승철 한국자치행정학보 27 (2) : 335 ~ 362 [2013]
  • 지방정치의 부패구조 개혁방안
    김성호 [2000]
  • 지방자치와 정당
    김순은 자치행정 (6) [2001]
  • 지방자치발전을 위한 정당참여의 방향
    이승종 한국지방자치학회정책토론회 [2009]
  • 지방자치론
    김병준 법문사 [2009]
  •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적 흡수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성공요인
    이현수 한국비교정부학보 17 (1) : 149 ~ 170 [2013]
  • 지방선거제도의 변화: 선거구제 변화와 비례대표제 후보 정당공천제
    고선규 civilzine 14 [2006]
  •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 쟁점과 지방자치 실현 방안
    권영주 선거관리 55 : 124 ~ 143 [2009]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 : 비교론적 시각에서 - 기초의원 선거의 정당공천과 정보제공 효과 -
    황아란 지방행정연구 24 (1) : 37 ~ 65 [2010]
  •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박재욱 국제정치연구 9 (1) : 336 ~ 359 [2006]
  •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찬반 논리와 대안 평가
    안철현 한국지방자치연구 12 (4) : 53 ~ 76 [2011]
  • 지방선거에 정당공천제를 배제해야 한다
    정세욱 지방자치 (2) [2001]
  • 지방선거에 있어서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주용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 (1) [2002]
  •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 지방의회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 (1) : 5 ~ 26 [2006]
  • 지방선거 정단공천제의 평가와 과제
    육동일 「위기의 정당공천제, 쟁점과 해법」한국지방자치학회 세미나 발표논문집 [2009]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총람(2010. 6. 2 시행)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0]
  • 정치개혁안
    강원택 국회정치개혁협의회 [2005]
  • 정치개혁안
  • 정당공천제 폐지 반대론에 대한 반론
    황주홍 「위기의 정당공천제, 쟁점과 해법」. 한국지방자치학회 세미나 발표논문집 [2009]
  • 정당공천유형과 후보의 본선경쟁력: 2006년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전용주 Oughtopia (오토피아) 25 (1) : 127 ~ 156 [2010]
  • 일본의 지방선거에 있어서 정당공천의 현상과 제도:왜 무소속이 많은가?
    권영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5 (1) : 39 ~ 61 [2013]
  • 여성 정치참여와 의회정치: 여성의 대표성과 참여를 중심으로
    서경교 2005년 춘계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5]
  • 민선4기 지방선거 결과 분석 및 정책적 함의 -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를 중심으로 -
    주용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 (1) : 29 ~ 51 [2007]
  • 미국의 지방정치 및 선거에 있어서 비정당주의 정치의 발전과 투표영향
    정원식 「광역경제 권과 지방정부의 역할」.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9]
  • 단기비이양식 투표제의 정당 공천전략과 성과 분석: 2006년 기초의원선거의 정당 실책을 중심으로
    황아란 한국행정학보 44 (1) : 231 ~ 250 [2010]
  • 기초지방의회선거와 정당공천제 도입효과 분석
    남창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 (4) : 307 ~ 330 [2009]
  • 기초의회의원의 정치적 태도와 정당공천에 관한 사례 연구
    최창수 지방행정연구 21 (4) : 179 ~ 199 [2007]
  • 기초의원선거와 중선거구제
    윤종빈 의정논총 5 (1) : 139 ~ 159 [2010]
  • 第7次 地方議員選擧分析과 地方選擧制度의 改革方案
    최봉기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5 (2) [2003]
  • 比較政治制度論
    建林正彦 有斐閣アルマ [2011]
  • 政党組織の比較研究:地方における政党の組織的基盤
    建林正彦 比較政党組織論研究会 [2012]
  • Why Parties?: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America
    Aldrich, John 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 Welfare and Capitalism in Postwar Japan
    Estébez-Abe, Margari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The Personal Vote: Constituency Service and Electoral Independence
    Cain, Bruce 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 Setting the Agenda: Responsible Party Government in the U. S. House of Representatives
    Cox Gary 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Congress: The Electoral Connection
    Mayhew, David R. . Yale University Press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