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 :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위생, 도시, 환경공학
  • endemicindex
  • importantspecies
  • rareindex
  • specificindex
  • 주요종
  • 특산율
  • 특이율
  • 희귀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9 0

0.0%

' 연구논문 :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의 참고문헌

  • 희양산 봉암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군락구조 특성
    이호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 (3) : 382 ~ 393 [2012]
  •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임양재 한국식물학회지 23 (3-4) : 69 ~ 83 [1980]
  •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 206 ~ [2005]
  • 한국전통사찰의 지형특성에 관한 연구
    심창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 (1) : 11 ~ 18 [2001]
  • 한국식물도해도감2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 547 ~ [2008]
  •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이유미 식물분류학회지 41 (1) : 87 ~ 101 [2011]
  •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산림청국립수목원 : 332 ~ [2009]
  • 토함산 불국사의 생태가치평가
    최송현 한국도시환경학회지 8 (1) : 67 ~ 80 [2008]
  •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고성철 식물분류학회지 43 (2) : 146 ~ 160 [2013]
  • 창원시 환경보전 계획 : 535 ~
    창원시 [2007]
  •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권재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 (5) : 529 ~ 543 [2013]
  • 지리산 쌍계사 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홍순형 교사교육연구 11 : 403 ~ 421 [1985]
  • 제주도의 상록양치식물 자생지 환경특성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방광자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 (3) : 64 ~ 72 [2004]
  •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환경부 : 76 ~ [2006]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제천, 문경) : 1 ~ 53
    환경부 [2006]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영월, 평창)
    환경부 [2010]
  •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창원, 김해) : 57 ~ 79
    환경부 [1998]
  •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전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
    이영경 한국조경학회지 34 (5) : 84 ~ 99 [2006]
  •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김철환 환경생물 18 (1) : 163 ~ 198 [2000]
  • 원색대한식물도감(상)
    이창복 향문사 : 914 ~ [2003]
  •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아카데미서적 : 624 ~ [1996]
  • 원색 대한식물도감(하)
    이창복 향문사 : 910 ~ [2003]
  • 운달산의 식물상 : 89 ~ 96
    민웅기 [2001]
  •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김한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3) : 389 ~ 403 [2011]
  • 용문산 상원사계곡 식물군집구조 분석
    김종엽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 (5) : 758 ~ 769 [2012]
  •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식생구조 분석
    이경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2) : 173 ~ 183 [2008]
  •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리 연구
    이경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 (2) : 208 ~ 219 [2009]
  •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박수현 일조각 : 575 ~ [2009]
  •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오현경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 (5) : 375 ~ 382 [2007]
  • 석남사지역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백재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 (4) : 68 ~ 76 [2000]
  •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 : 168 ~ [2012]
  •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
    이영노 교학사 : 885 ~ [2006]
  •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이영노 교학사 : 974 ~ [2006]
  •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유주한 한국조경학회지 38 (1) : 119 ~ 128 [2010]
  • 사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 287 ~
    산림청 [2012]
  •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 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
    김봉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 (2) : 135 ~ 142 [2009]
  • 백덕산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 20 ~ 44
    민웅기 [2002]
  •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오현경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 : 447 ~ 469 [2011]
  • 국립공원내 전통사찰의 자원 가치 평가
    이영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 (4) : 37 ~ 45 [2002]
  •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 534 ~ [2007]
  • 공덕산(경북 문경) 관속식물의 분포
    정규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 (4) : 270 ~ 280 [2008]
  • 계룡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과 환경지수 분석
    오현경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 : 479 ~ 489 [2011]
  • 경주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
    윤정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 (2) : 170 ~ 195 [2013]
  •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유주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 (5) : 17 ~ 35 [2011]
  •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강현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 (5) : 787 ~ 800 [2012]
  • 경상남도 사천시의 식물생태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오현경 환경영향평가 21 (4) : 509 ~ 523 [2012]
  • 가시박 군락지의 잡초발생특성 및 분포
    문병철 Weed&Turfgrass Science 28 (2) : 117 ~ 125 [2008]
  • 朝鮮後期 四佛山佛畵 畵派의 硏究
    김경미 미술사학연구 236 : 1 ~ 19 [2002]
  • http:www.seongjusa.com
  • http://beopheungsa.org
  • Vegetation Structur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t the Beomeosa(Temple) Valley in Kumjungsan, Busan
    김정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 : 581 ~ 589 [2011]
  • Study o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Shrine Forest of Miwhang-sa, Korea
    이성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 : 540 ~ 561 [2011]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Melchior, Hans BandII. Gebruder Borntraeger : 666 ~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