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변용과 생활민속의 타자성 연구

논문상세정보
'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변용과 생활민속의 타자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ultural identity
  • ethnic identity
  • ethnicreturnmigration
  • homeland
  • korean-chinese(chosonjok)
  • tradition
  • 고향
  • 문화적 정체성
  • 민속문화
  • 전통
  • 종족성
  • 중국조선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04 0

0.0%

'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변용과 생활민속의 타자성 연구' 의 참고문헌

  •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삶과 의식
    최병우 한중인문학연구 (37) : 107 ~ 128 [2012]
  •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김현선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7) : 231 ~ 264 [2010]
  • 한국 체류 조선족노동자의 희망체류기간결정요인 분석
    박우 재외한인연구 (30) : 163 ~ 183 [2013]
  • 한국 내 조선족 청년들의 사회문화적응력 향상을 위한 요구 분석
    김영경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5 : 169 ~ 197 [2008]
  • 박사
  • 초국가적 상상력과 ‘옌볜거리’의 재현
    문재원 한국민족문화 (47) : 397 ~ 427 [2013]
  • 중화인민공화국 동북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역사적 정체성
    박선영 고구려발해연구 29 : 477 ~ 503 [2007]
  • 중국동포(Chinese-Korean) 집단적 거주지에 나타난 지역사회에 대한 중국동 포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로 한국사회복지학 63 (3) : 133 ~ 156 [2011]
  • 중국 조선족 풍속과 한국인 풍속의 상이성 및 그 력사 문화적 원인에 대한 연구
    허휘훈 강원도민속학회지 19 [2005]
  • 중국 조선족 정체성의 결정요인: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박정군 동북아연구 26 (1) : 149 ~ 174 [2011]
  • 중국 조선족 민족통혼 연구
    강해순 가족법연구 26 (2) : 263 ~ 284 [2012]
  • 조선족의 일본 이주와 에스닉 커뮤니티; 초국가화와 주변의 심화사이의 실천
    권향숙 역사문화연구 (44) : 3 ~ 34 [2012]
  • 재한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ethnicity)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종구 산업노동연구 16 (1) : 343 ~ 375 [2010]
  • 재중동포의 상업 활동과 정체성 형성-가리봉동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이민주 연세대학교 [2007]
  • 재중동포 사회의 차이와 소통의 문화정치: 한국 내 조선족 커뮤니티의 구성과 교류
    이정은 민주주의와 인권 11 (3) : 213 ~ 247 [2011]
  • 이주민이 경험하는 민속문화 소통의 현주소와 전망
    이옥희 남도민속연구 (23) : 269 ~ 295 [2011]
  • 연변 조선족자치주 안동촌 주생활의 생태민속학적 접근-그들의 고향 경북과 다른 환경에 대한 적응과정-
    배영동 비교민속학 (41) : 71 ~ 96 [2010]
  • 세계화 시대 조선족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 키워드
    박광성 미드리 (6) [2011]
  • 서울시 거주 중국 조선족의 사회·공간적 연결망: 기술적 분석을 중심으로
    안재섭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 (4) : 215 ~ 223 [2009]
  •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구성 『조선일보』의 조선족 담론 분석
    양은경 한국방송학보 24 (5) : 194 ~ 237 [2010]
  • 민족과 국민사이에서: 한국 체류 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유명기 한국문화인류학 35 (1) : 73 ~ 100 [2002]
  • 동북의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 -민족문화예술교육의 협력-
    임영상 백산학보 (94) : 195 ~ 238 [2012]
  • 국가와 종족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조선족의 종족정체성: 대련시 조선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은 비교문화연구 16 (2) : 151 ~ 193 [2010]
  • “中華民族多元一體”로 보는 중국조선족의 정체성 문제
    박명희 신아세아 17 (3) : 56 ~ 86 [2010]
  • Wörterbuch der Soziologie, Aufl.4
    Hillmann, Karl-Heinz Kröner [1994]
  • Volkskunde
  • Volkskultur in der technischen Welt
  • 1990년대 이후 조선족 문학에 나타난 이중정체성의 갈등 탐구 ‐한국사회와의 교류를 주제로 한 작품에 주목하여-
    박경주 문학치료연구 18 : 185 ~ 21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