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불교적 상징과 마한사회

논문상세정보
'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불교적 상징과 마한사회'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aekje
  • mahan
  • palmette-lotuspatterns
  • sinchonrigiltbronzecrown
  • 마한
  • 백제
  • 신촌리금동관
  • 연화문
  • 팔메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9 0

0.0%

'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불교적 상징과 마한사회' 의 참고문헌

  • 羅州潘南面新村里九號墳發掘照査記錄-主として小川敬吉氏手記の紹介
    有光敎一 朝鮮學報 (94) [1980]
  • 羅州潘南面古墳の發掘照査, In 昭和十三年度古墳照査報告
  • 羅州潘南面の寶冠
    梅原末治 朝鮮學報 (14) [1959]
  • 황금의 나라 신라
    이한상 김영사 [2004]
  • 한성에서 웅진으로
    임영진 충청남도역사문화원·국립공주박물관 [2006]
  • 한국고대사회에서 의기(儀器)와 위세품(威勢品)이 보여주는 상징성
    노중국 계명사학 21 [2010]
  •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 동향
    양기석 서경문화사 [2007]
  • 정토사상의 근원과 동아시아의 전개- 인도·중국·한국의 아미타와 미륵 불비상(佛碑像)을 중심으로
    이경화 불교미술사학 15 : 7 ~ 37 [2013]
  •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이한상 서경문화사 [2009]
  • 익산 입점리고분 발굴조사보고서
  • 웅진 사비시기 백제의 영역,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김영심 서경문화사 [2003]
  • 우리나라 전통무늬 4, 금속공예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
    성낙준 무돌 [2000]
  •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연문화사 [2007]
  • 역사속의 전라도
    이해준 다지리 [1999]
  •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Ⅱ-고구려편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복암리고분군
  • 백제의 지방통치에 관한 몇 가지 재검토-木簡, 銘文瓦 등의 문자자료를 통하여-
    김영심 한국고대사연구 (48) : 235 ~ 269 [2007]
  • 백제의 지방통치
    강봉룡 학연문화사 [1998]
  • 백제의 왕・후호제와 금동관 부장자의 실체 -歸葬을 중심으로-
    노중국 한국고대사연구 (70) : 317 ~ 347 [2013]
  • 백제 무령왕과 왕비 관의 형태와 도상
    이송란 무령왕릉 학술대회 [2006]
  •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이남석 선사와 고대 (26) : 215 ~ 244 [2007]
  • 문화재대관-국보 금속공예
  • 문헌을 통해서 본 馬韓의 始末
    박찬규 백제학보 (3) [2010]
  • 묘제를 통해 본 마한의 지역성과 변천 과정
    임영진 백제학보 (3) [2010]
  • 마한사연구
    충남대 백제연구소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8]
  • 마한, 숨쉬는 기록
  • 나주지역 고대사회의 성격
    이종선 나주시·목포대 박물관 [1999]
  • 나주 신촌리 출토 관·관모 일고
    신대곤 고대연구 5 [1997]
  • 나주 신촌리 9호분
  • 나주 복암리 3호분
  • 나주 반남 고분군
  • 금동관을 통해 본 백제 4-5세기 지방통치
    이훈 공주대 [2010]
  • 고흥 길두리고분 출토 金銅冠과 백제의 王·侯制
    문안식 한국상고사학보 55 (55) : 33 ~ 52 [2007]
  • 고대 동아시아상의 백제 금속공예
  •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권오영 돌베개 [2005]
  • 고구려 미술의 팔메트(palmette) 문양 고찰
    제송희 미술사연구 (24) : 7 ~ 37 [2010]
  • 고고자료를 통해서 본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상호작용
    박천수 한국고대사연구 27 : 53 ~ 110 [2002]
  • 가야(伽倻)의 관모(冠帽)에 대하여-성주 가암동 파괴고분 출토 금동관을 중심으로
    김기웅 문화재 [1979]
  • 金銅冠을 통해 본 百濟의 地方統治와 對外交流
    이훈 금동관을 통해 본 백제와 영산강 학술대회 [2012]
  • 金銅冠으로 본 羅州 新村里9號墳 乙棺의 年代
    박보현 백제연구 (28) [1998]
  • 西方淨土的敎學詮釋
    陳敏齡 中華佛學學報 上 (13) [2000]
  • 菊水町史 江田船山古墳編 26
  • 百濟의 冠帽 · 冠飾과 地方統治體制
    이남석 韓國史學報 (33) : 443 ~ 478 [2008]
  • 百濟의 冠
  • 百濟 冠 象徵體系의 變遷樣相
    이귀영 백제문화 1 (46) : 67 ~ 101 [2012]
  • 湖南西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地方
    서현주 백제연구 (55) : 113 ~ 144 [2012]
  • 榮山江流域 馬韓諸國의 推移와 百濟
    이도학 백제문화 1 (49) : 109 ~ 128 [2013]
  • The Indian Roots of Pure Land Buddhism: Insights from the oldest Chinese versions of the larger Sukhavativyuha
    Jan Nattier Pacific Worl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3 (5) [2003]
  • The Dharma Breeze
    Nobuo Haneda Maida Center of Buddhism [2007]
  • Floral Motifs and Vine Scrolls in Chinese Art of the Late Fifth to Early Sixth Centuries A.D
    Susan Bush Artibus Asiae 38 (1) [1976]
  •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의 불교적 요소와 그 연원
    김진순 미술사학연구 258 (258) : 37 ~ 7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