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文學) : 제문(祭文), 위로와 치유의 서사

논문상세정보
' 문학(文學) : 제문(祭文), 위로와 치유의 서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mfort
  • confession
  • funeraloration
  • healing
  • reflection
  • repentance
  • resolutionofowing
  • revealing
  • 고백
  • 반성
  • 빚짐의해소
  • 심리치유
  • 쏟아내기
  • 제문
  • 참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94 0

0.0%

' 문학(文學) : 제문(祭文), 위로와 치유의 서사' 의 참고문헌

  • 힐링과 멘토의 시대, 어떻게 볼 것인가
    김찬호 녹색평론 129 : 3 ~ 4 [2013]
  • 회재선생 한글 제문고
    서원섭 어문논총 6 [1971]
  • 조선후기 제문 연구-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
    황수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5) : 403 ~ 428 [2006]
  • 제문가사 연구-규방가사 장르에 있어서
    김동규 여성문제연구소 8
  • 제문 형식의 미학적 가능성
    이승수 한국사상과 문화 [2002]
  • 일본정신의 기원
    가라타니 고진 이매진 [2008]
  • 사라지는 새벽별 같이, 여주이씨 이장명가 제문
    정경주 신지서원 [2013]
  • 박남수의 한글 <을미제문 >에 대하여
    김상홍 어문학연구 83 [1994]
  • 근암 최옥의 망실 제문 연구
    강석근 동학연구 (22집) : 1 ~ 21 [2007]
  • 관습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이영호 작문연구 (2) : 191 ~ 226 [2006]
  •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 英祖 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李恩英 한국한문학연구 (30) : 103 ~ 143 [2002]
  • 《견문록》소재 한글 제문의 글쓰기 방식과 갈래적 변주
    최윤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 : 413 ~ 438 [2008]
  •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박무영 한국한문학연구 (32) : 317 ~ 352 [2003]
  • 16世紀 士林派 祭文 연구
    李恩英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