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동화시(童話詩) 연구

논문상세정보
' 일제 강점기 동화시(童話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학사, 평론
  • fairytalepoems
  • hybridgenre
  • juvenilemovement
  • re-narration
  • schemata
  • 귀글
  • 동화시
  • 셰마타
  • 소년운동
  • 재화
  • 혼종장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9 0

0.0%

' 일제 강점기 동화시(童話詩)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동시—-동시의 갈래
    제해만 아동문학평론 (11) [1986]
  •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이재철 일지사 [1978]
  •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조동일 집문당 [1992]
  •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소년」(1908)에서 「어린이」(1923)까지 -
    원종찬 동북아 문화연구 1 (15) : 73 ~ 97 [2008]
  • 한국 동시사 연구
    신현득 단국대학교 [2002]
  •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최남선의 공적을 중심으로
    신현득 국문학논집 17 [2000]
  • 한국 근대 아동문단의 민담 수집과 아동문학의 장르 인식
    박혜숙 동화와 번역 (16) : 189 ~ 213 [2008]
  • 한국 근대 아동극 장르의 용어와 개념 고찰
    임지연 아동청소년문학연구 5 [2009]
  • 최남선 전집
    최남선 현암사 : 10 ~ [1974]
  • 중외일보
  • 조선지광
  • 조선전래동화집
    박영만 대동인쇄소 [1948]
  • 조선전래동화대집
    신원기 보고사 [2009]
  • 조선일보
    [1934]
  • 조선문예
  • 조선동화집
    권혁래 집문당 [2003]
  • 전북 지역 아동문학연구
    최명표 청동거울 [2010]
  • 전래동화, 근대아동문학으로 편입된 옛이야기—방정환을 중심으로
    염희경 창비어린이 [2004]
  • 잃어버린 댕기
  • 일제하 시대・중외・중앙・조선중앙일보에 관한 연구—창간 배경과 과정, 자본과운영, 편집진의 구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박용규 언론과 정보 2 [1996]
  • 일제하 민간지 기자집단의 사회적 특성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직업의식과 직업적 특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용규 서울대학교 [1994]
  •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 -한국적 특성에 관한 고찰-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연구 (20) : 69 ~ 100 [2011]
  • 일제강점기 창작동요의 발전과정—윤석중 동요집을 중심으로
    김제곤 아동문학평론 34 (3) [2009]
  • 일제 강점기 한국 창작동요 연구
    정진헌 건국대학교 [2013]
  • 일제 강점기 일간지를 통해 본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박경수 한국문학논총 (37) : 201 ~ 241 [2004]
  •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 동화 앤솔러지의 탄생과 번역의 상상력(1)-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소년운동 그룹의 번역을 중심으로-
    염희경 문학교육학 (39) : 211 ~ 249 [2012]
  • 이솝우화집
    조동화 샘터사 [1977]
  • 음악과시
  • 육당이 이 땅에 오신 지 백주년
    김윤식 동명사 [1990]
  • 우리 옛이야기,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 - 1920년대 『조선동화대집』을 중심으로
    최윤정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7 (1) : 287 ~ 314 [2013]
  • 옛이야기 들려주기
    서정오 보리 [2002]
  • 어린이와 한평생
    윤석중 범양사 [1985]
  •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2
    페리노들먼 시공주니어 [2005]
  • 어린이
  • 암흑기의 아동문학—주로 「아이생활」을 중심으로
    김 경 아동문학평론 (10) [1985]
  • 아이생활
  • 아이들 보이
  • 아동문학프리즘
    박영기 청동거울 [2011]
  • 아동문학의 未開地—동화시・시조・동시극・그림동화
    이석현 아동문학평론 (34) [2009]
  • 아동문학개론
    이재철 서문당 [1998]
  • 심의린 『조선동화대집』 의 특징과 문학사적 위상
    김미영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8) : 79 ~ 109 [2011]
  • 신소년
  • 식민지시기 ‘동화회(童話會)’ 연구 -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
    조은숙 민족문화연구 (45) : 225 ~ 264 [2006]
  • 시론
    김준오 삼지원 [1982]
  • 설강동요집
  • 서양 동화의 流入과 1920년대 한국 동화의 成立
    박혜숙 어문연구(語文硏究) 33 (1) : 173 ~ 192 [2005]
  • 새별
  • 사해공론
  • 사상월보
  • 붉은져고리
  • 불별
  • 박두언의 사회운동과 문학운동
    최명표 한국지역문학연구 1 [2012]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동광
    [1931]
  • 다시 읽는 한국 시인
    유종호 문학동네 [2002]
  • 노양근 동화선집
    최명표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과정 연구
    최윤정 동화와 번역 (25) : 275 ~ 299 [2013]
  • 국어교육론의 문화론적 지평
    최인자 소명출판 [2001]
  • 계급문학, 그 중심에 서서
    김봉희 한국학술정보 [2009]
  • 경남지역 계급주의 시문학 연구
    박태일 어문학 80 : 291 ~ 327 [2003]
  • 개벽
  • 雪崗 金泰午 童謠 硏究
    권혁준 한국아동문학연구 (20) : 25 ~ 68 [2011]
  •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권혁준 한국아동문학연구 (22) : 5 ~ 60 [2012]
  • 『시문독본』의 편찬 과정과 1910년대 최남선의 출판 활동
    임상석 상허학보 25 : 33 ~ 53 [2009]
  • 『별나라』와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의미
    류덕제 국어교육연구 (46) : 305 ~ 334 [2010]
  • 1920년대 동요운동의 전개양상
    이동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5 (4) : 73 ~ 94 [2011]
  • 1920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 비평 연구 : 소년문예운동 방향전환론의 전개와 비평사적 의미
    임성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3 [2008]
  • 1920년대 『별나라』의 위상 - 남북한 주류의 아동문학사 인식 비판 -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연구 (23) : 65 ~ 104 [2012]
  • 1910년대 아동매체에 구현된 아동상 연구—번안동화를 중심으로
    정혜원 한국아동문학연구 15 [2008]
  • 1910년대 아동 신문『붉은 져고리』 연구 - 수록 동요를 중심으로
    진선희 한국아동문학연구 (22) : 123 ~ 16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