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유권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 및 이념적 특성

지병근 2014년
' 호남 유권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 및 이념적 특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정치학
  • 2012presidentialelection
  • 2012년제18대대통령선거
  • honam
  • ideological orientation
  • issueposition
  • party identification
  • regionalism
  • votingdecision
  • 이념
  • 이슈
  • 정당일체감
  • 지역주의
  • 투표
  • 호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59 2

0.0%

' 호남 유권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 및 이념적 특성'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박상훈 한국정치학회보 35 (2) : 113 ~ 134 [2001]
  • 한국의 선거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강원택 푸른길 [2004]
  •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박경미 한국정당학회보 11 (3) : 127 ~ 154 [2012]
  • 한국 지역주의의 지역별 특성과 변화 가능성: 대전,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욱 21세기정치학회보 14 (1) : 83 ~ 105 [2004]
  • 한국 지역주의의 변화
    김진하 현대정치연구 3 (2) : 89 ~ 114 [2010]
  • 한국 정당들의 복지정책: 당헌 및 강령 분석을 중심으로
    지병근 선거연구 2 (1) : 59 ~ 95 [2012]
  •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강원택 나남 [2010]
  • 한국 선거에서의 영호남 지역주의투표성향에 대한 분석― 1990년대 이후 국가레벨 선거를 중심으로
    김태완 로컬리티 인문학 (7) : 57 ~ 104 [2012]
  • 충청 지역주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특성
    김욱 정치·정보연구 10 (2) : 117 ~ 134 [2007]
  • 지역주의 논쟁 : 비판이론적 시각에 대한 비판
    조기숙 한국정치학회보 31 (2) : 203 ~ 232 [1997]
  • 지역본위투표와 합리적 선택 이론: 공간모형 분석
    문우진 한국과 국제정치 21 (3) : 151 ~ 186 [2005]
  •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최준영 한국정치학회보 39 (3) : 375 ~ 394 [2005]
  • 지역감정은 존재하는가
    최준영 현대정치연구 1 (1) : 199 ~ 222 [2008]
  • 지역감정과 지역갈등인식의 변화: 1988년과 2003년 비교
    정기선 한국사회학 39 (2) : 69 ~ 99 [2005]
  • 제18대 대선 후보자 10대 공약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정당위치와 유권자 정향
    이지호 현대정치연구 2 (1) : 123 ~ 149 [2009]
  • 이념투표의 영향력 분석: 이념의 구성, 측정 그리고 의미
    이갑윤 현대정치연구 1 (1) : 137 ~ 166 [2002]
  • 유권자들의 정책성향과 배경 변수의 관계
    송근원 의정연구 12 (1) : 159 ~ 194 [2006]
  • 영남 지역주의의 변화
    하세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 (1) : 161 ~ 192 [2005]
  • 부산∙광주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성향 비교연구: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전용주 한국정치학회보 42 (4) : 291 ~ 316 [2008]
  •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지병근 동아시아연구원 : 181 ~ 200 [2013]
  •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와 지역주의 지배담론:“3김 청산론”의 담론동맹과 그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중심으로
    박상훈 아세아연구 46 (2) : 241 ~ 270 [2003]
  • 민주화 이후 지역감정의 변화와 투표행태
    지병근 한국선거학회 하계학술회의 : 52 ~ 72 [2013]
  • Ideology and Voter Choice in Korea: An Empirical Test of the Viability of Three IdeologicalVoting Models
    지병근 한국정치학회보 40 (4) : 61 ~ 84 [2006]
  • 2012년 대통령선거 분석
    박찬욱 나남 : 17 ~ 49 [2013]
  • 2012년 국회의원선거 분석
    박원호 나남 : 35 ~ 62 [2012]
  • 17대 총선과 충청권 정치지형의 변화: 지역주의의 약화 및 변화를 중심으로
    김욱 정치·정보연구 7 (1) : 69 ~ 8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