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중심으로 한 <북찬가(北竄歌)>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

논문상세정보
' 공간을 중심으로 한 <북찬가(北竄歌)>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bukchanga(北竄歌)&gt
  • exile
  • exilegasa
  • leekwang-myong(李匡明)
  • political nature
  • social nature
  • space
  • 공간
  • 북찬가(北竄歌)
  • 사회성
  • 유배
  • 유배가사
  • 이광명(李匡明)
  • 정치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98 0

0.0%

' 공간을 중심으로 한 <북찬가(北竄歌)>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 의 참고문헌

  • 李匡贊의 시문비평에 대한 고찰
    박용만 고전문학연구 (28) : 411 ~ 440 [2005]
  •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임기중 아세아문화사 [2005]
  •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최재남 보고사 [2012]
  • 중세 여행체험과 문학교육
    김종철 2012 : 11 ~ 35 [2012]
  • 중세 여행 체험과 문학교육
    염은열 월인 : 89 ~ 116 [2012]
  • 중세 여행 체험과 문학교육
    이승복 월인 : 293 ~ 326 [2012]
  • 조선시대 유배가사의 흐름과 경향성 -특히 후기 유배가사의 특징적 면모에 주목하여-
    최현재 한국시가연구 33 : 63 ~ 93 [2012]
  • 조선 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
    최상은 보고사 [2004]
  • 정치적 행위로서의 글쓰기, <죽창곡 >과 감군의 정서
    최홍원 어문학 124 (124) : 231 ~ 257 [2014]
  • 장소와 장소상실
    Relph, Edward 논형 [2005]
  • 장소론
    Maruta, Hajime 심산출판사 [2011]
  • 인간의 조건
    Arent, H. 한길사 [1996]
  • 인간과 공간
    Bollnow, Otto Friedrich 에코리브르 [2011]
  • 이진유 家系 유배가사 연구
    노경순 반교어문연구 (31) : 101 ~ 127 [2011]
  • 박사
  • 우리말철학사전 3
    장회익 지식산업사 : 65 ~ 96 [2003]
  •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 >과 <북찬가 >를 중심으로
    정흥모 국어문학 45 (1) : 107 ~ 128 [2008]
  •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Stephen, Kern 휴머니스트 [2004]
  • 사고의 용어 사전
    Nakayama, Gen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9]
  • 민족문학의 논리
    최원식 창작과 비평사 [1982]
  • 공간적 사유
    Crang, Mike 에코리브로 [2013]
  • 공간의 생산
    Lefebvre, Henri 에코리브로 [2011]
  •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하용삼 소명출판 : 78 ~ 110 [2013]
  • 공간과 장소
    Tuan, Yi-fu 대윤 [2005]
  • 공간, 장소, 경계
    Schroer, Markus 에코리브르 [2010]
  • 박사
  •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최상은 태학사 : 285 ~ 305 [2003]
  • 朝鮮 後期 流配 經驗의 詩的 形象化 -梅山 李夏鎭의 「雲陽錄」을 中心으로-
    윤재환 漢文學報 19 : 321 ~ 349 [2008]
  • 「북관곡(北關曲)」의 서술태도와 소통기반
    안혜진 우리어문연구 (31) : 121 ~ 159 [2008]
  • Man in the landscape
    Shepard, Paul Ballantines Books [1967]
  • <북찬가(北竄歌) >의 주제 의식과 ‘효’의 의미
    김명준 Journal of korean Culture 22 : 93 ~ 11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