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3rdcurriculum
  • governmentdesignatedtextbooksystem
  • korean history textbook
  • nationalism
  • patriotism
  • 국가주의
  • 국사 교과서
  • 국정제
  • 애국심
  • 제3차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46 2

0.0%

'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의 참고문헌

  • 현대일본의 애국주의 -전후공간과 탈냉전공간의 애국심론-
    장인성 일어일문학연구 84 (2) : 37 ~ 71 [2013]
  • 한국사학계의 ‘민족’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임지현 역사비평 (26) [1994]
  • 한국사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양정현 역사비평사 [2003]
  • 학교교육을 통한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보급
    김한종 역사문제연구 15 [2005]
  • 지구화 시대의 애국심
    조계원 민족연구 (40) : 21 ~ 44 [2009]
  • 중학교 국사 교사용 지도서
    국사편찬위원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79]
  • 중학교 국사
    문교부 한국교과서주식회사 [1974]
  •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연구와 개발, 60년의 역사: 교과교육학적 분석
    권오현 사회과교육연구 12 (1) : 19 ~ 42 [2005]
  • 중·고등학교용 시련과 극복
    문교부 동아서적주식회사 [1972]
  • 중·고등학교용 국정국사교과서의 분석적 고찰
    이원순 역사교육 16 [1974]
  • 이 시대 국가주의와 시민적 자율성
    홍윤기 시민과 세계 [2002]
  • 역사를 바꾸는 역사정책
    안병우 역사비평사 [2013]
  •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김한종 책과함께 [2013]
  • 애국심의 대상, 요소, 현실성에 관한 숙고
    원준호 한국정치학회보 37 (3) : 49 ~ 70 [2003]
  • 애국심과 민주주의가 결합된 민주시민교육- 애국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
    심성보 초등도덕교육 (34) : 253 ~ 290 [2010]
  • 애국심과 도덕교육
    최문성 초등도덕교육 (22) : 227 ~ 272 [2006]
  • 아직도 민족주의인가-우리시대 애국심의 지성사
    곽준혁 한길사 [2012]
  • 스피노자와 애국심
    공진성 한국정치학회보 45 (4) : 29 ~ 48 [2011]
  •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고영진 지식산업사 [2008]
  • 사회통합의 다원적 가치와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가주의,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세계시민주의를 중심으로
    장용석 한국사회학 46 (5) : 289 ~ 322 [2012]
  • 사회과에서 국가의식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곽한영 사회과교육 46 (2) : 23 ~ 49 [2007]
  •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김육훈 역사교육연구 (18) : 197 ~ 237 [2013]
  •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임지현 소나무 [1999]
  • 민족주의, 애국심, 세계시민주의-테일러(C. Taylor)의 견해를 중심으로
    김정현 철학논총 73 (3) : 57 ~ 88 [2013]
  • 민족주의 없는 애국심과 비지배 평화원칙
    곽준혁 아세아연구 46 (4) : 311 ~ 340 [2003]
  • 메이지 일본에 있어서의 ‘애국심’론의 형성과 전개
    이즈하라 마사오 한국문화 (41) : 59 ~ 72 [2008]
  • 리처드 로티의 미국적 애국심에 대한 검토 :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함축을 고려하며
    김정현 코기토 74 : 7 ~ 41 [2013]
  • 루소에 있어서의 애국심과 시민의식: 민주주의를 위한 공적의지의 두 가지 조건
    박의경 한국정치학회보 39 (5) : 133 ~ 151 [2005]
  • 독일에서 애국주의 개념과 변천: 애국주의 패러독스를 극복하는 헤겔의 인륜적 애국심과 현재의 유쾌한 애국심을 중심으로
    장준호 한독사회과학논총 22 (2) : 85 ~ 106 [2012]
  •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이병희 역사교육 (91) : 73 ~ 97 [2004]
  •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황병주 역사문제연구 15 [2005]
  • 국가교과서 편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류승렬 역사교육 76 [2000]
  • 공화주의
    Maurizio Viroli 인간사랑 [2006]
  •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속 ‘시민’재해석
    구경남 역사교육연구 (15) : 201 ~ 232 [2012]
  • 愛國心をめぐて
    高橋磌一 歷史地理敎育 75 [1962]
  • 3차 교육과정기(1974∼1981) 중등 국사과의 독립 배경과 국사교육 내용의 특성
    차미희 韓國史學報 (25) : 391 ~ 432 [2006]
  • 21세기 역사학길잡이
    함동주 경인문화사 [2008]
  • 20세기 韓國 國家主義의 起源
    박찬승 한국사연구 117 [2002]
  • 1950년대 엘리트 지식인들의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담론
    윤상현 한국근현대사연구 (66) : 223 ~ 257 [2013]
  • (고등학교)국사
    국사편찬위원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