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자치통감강목』 書法의 영향

김남일 2014년
' 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자치통감강목』 書法의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dongkuksaryak
  • dongkuktonggam
  • goryeosa
  • goryeosajeoryo
  • historiographicalmethodofzizhitongjiangangmu
  • samguksajeoryo
  • 三國史節要
  • 東國史略
  • 東國通鑑
  • 綱目書法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강목서법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동국사략
  • 동국통감
  • 삼국사절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63 0

0.0%

' 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자치통감강목』 書法의 영향' 의 참고문헌

  • 한국중세사학사 2
    정구복 경인문화사 [2002]
  • 한국중세사학사 1
    정구복 경인문화사 [2002]
  •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의 「凡例」와 화서학파의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의 「書法」 비교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22) : 5 ~ 67 [2010]
  • 조선초기 경연의 자치통감강목 강의
    오항녕 한국사상사학 9 [1997]
  • 조선전기사학사연구
    한영우 서울대출판부 [1981]
  • 조선시대 『資治通鑑』과 『資治通鑑綱目』의 간행과 유통에 관한 연구
    오정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정도전의 역사의식 -공양왕 3년의 상소ㆍ상서문을 중심으로-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15) : 89 ~ 129 [2007]
  • 자치통감전
    권중달 삼화 [2010]
  • 자치통감의 동전에 대하여
    권중달 中央大學校 文理大學報 38 [1979]
  • 자치통감강목
    朱熹 보경문화사 [1987]
  • 이승휴의 역사관과 역사서술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11) : 5 ~ 51 [2005]
  •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明統系·嚴簒逆·褒忠節 筆例와 기존 강목체 史書와의 비교-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28) : 107 ~ 165 [2013]
  • 안정복의 『자치통감강목』 書法 이해와 『동사강목』 마한정통론의 강목체 필법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26) : 227 ~ 278 [2012]
  • 신편한국사-26권 조선 초기의 문화Ⅰ
    정구복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성리학 역사서의 형성과 구조
    오항녕 한국실학연구 6 [2003]
  • 동국통감 연구
    유영옥 부산대 [2004]
  • 고려사의 연구
    변태섭 삼영사 [1982]
  • 고려사·고려사절요의 纂修凡例
    변태섭 한국사연구 46 [1984]
  •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김광철 한국중세사연구 (30) : 149 ~ 185 [2011]
  • 고려사 세가와 고려사절요의 일비교–천문관측 기사의 서술을 중심으로-
    김해영 경남사학 3 [1986]
  •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장동익 퇴계학과 유교문화 (46) : 269 ~ 303 [2010]
  • 韓國史學史硏究
    박걸순 于松趙東杰先生停年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7]
  • 資治通鑑과 資治通鑑綱目이 朝鮮 初期 歷史學에 미친 影響-世宗朝를 중심으로-
    김일환 弘益史學 5 [1993]
  • 權近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강문식 韓國學報 30 (4) [2004]
  • 朝鮮初期 高麗史改修에 관한 史學史的 검토
    오항녕 泰東古典硏究 16 [1999]
  • 朝鮮初期 實錄編纂體裁의 변화에 관한 史學史的 考察
    오항녕 韓國史學史學報 (1) : 43 ~ 67 [2000]
  • 朝鮮 世宗代 資治通鑑思政殿訓義와 資治通鑑綱目思政殿訓義의 編纂
    오항녕 泰東古典硏究 15 [1998]
  • 『동사강목』의 편찬 배경과 강목체 기년
    김남일 韓國史學史學報 (24) : 5 ~ 61 [2011]
  • 17세기 후반 正統論의 강화와 『資治通鑑節要』의 보급
    허태용 韓國史學史學報 (3) : 5 ~ 4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