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다문화가족 지원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관계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다문화가족 지원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관계'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oreigner
  • legislativepolicy
  • multicultural-family
  • multiculturalism
  • social integration program
  • 다문화 가족
  • 다문화주의
  • 사회통합프로그램
  • 외국인
  • 입법정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57 0

0.0%

' 일반논문 : 다문화가족 지원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관계' 의 참고문헌

  •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12]
  • 헌법학
    한수웅 법문사 [2012]
  • 헌법학
    성낙인 법문사 [2008]
  •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법상 이주근로자와 그 가족의 기본권
    최경옥 공법학연구 12 (1) : 21 ~ 62 [2011]
  • 한국의 다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박경하 중앙사론 (33) : 87 ~ 124 [2011]
  • 한국과 서유럽의 이민자 시민통합정책 비교 연구
    이용승 국제정치연구 16 (1) : 143 ~ 162 [2013]
  • 한국 이민관련 정책의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이병하 의정연구 17 (1) : 71 ~ 104 [2011]
  •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발전 방안 연구
    박종대 문화정책논총 28 (1) : 35 ~ 63 [2014]
  • 출입국관리법상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 대한 정책적 소고
    김종세 법과정책연구 13 (2) : 599 ~ 618 [2013]
  • 제5공화국 헌법
    박일경 일명사 [1981]
  • 이주의 증가와 독일 이주민정책의 변화
    구춘권 국제.지역연구 21 (1) : 119 ~ 154 [2012]
  • 이주법제 정립을 위한 입법 이론적 고찰
    최윤철 일감법학 (26) : 263 ~ 303 [2013]
  •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에이거(A.Ager)와 스트랭(A.Strang)의 사회통합 분석틀 적용
    이성순 사회과학연구 24 (3) : 161 ~ 185 [2013]
  •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통합 법제연구
    김정순 [2009]
  • 사회통합의 의의 및 정책적 과제
    문형표 사회복지연구 123 : 57 ~ 77 [1994]
  •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 - 국내 체류외국인 정책 -
    김기하 저스티스 (106) : 218 ~ 237 [2008]
  •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개념 재고
    도회근 저스티스 134 (2) : 429 ~ 449 [2013]
  • 사회통합 내지 공존을 위한 다문화가족법제 모색
    송오식 법학논총 33 (1) : 31 ~ 68 [2013]
  • 독일의 이주정책과 사회통합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정재각 한독사회과학논총 21 (3) : 79 ~ 106 [2011]
  •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사회통합 거버넌스
    강휘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 (4) : 291 ~ 316 [2010]
  • 덴마크, 독일 그리고 한국의 사회통합프로그램 비교 연구
    김이천 독일언어문학 (57) : 159 ~ 185 [2012]
  • 다문화주의의 헌법적 수용에 관한 연구
    최윤철 공법연구 41 (2) : 1 ~ 31 [2012]
  • 다문화주의와 사회통합 - 캐나다와 호주를 중심으로 -
    박진경 한국정책학회보 21 (2) : 123 ~ 152 [2012]
  •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 -다문화법제의 기본개념 분석-
    서윤호 일감법학 (23) : 283 ~ 321 [2012]
  • 다문화주의에서 시민통합으로: 네덜란드의 이민자 통합정책
    설동훈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 (1) : 207 ~ 238 [2013]
  • 다문화시대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방향에 대한 일고찰: 네덜란드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아 인간.환경.미래 (10) : 149 ~ 178 [2013]
  •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규범인식
    김종세 법학연구 (45) : 1 ~ 21 [2012]
  • 다문화사회와 자유권적 기본권
    류시조 헌법학연구 16 (2) : 71 ~ 103 [2010]
  •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입법적 대응 - 입법원칙을 바탕으로 -
    최윤철 저스티스 134 (2) : 273 ~ 297 [2013]
  •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김영란 한국사회 14 (1) : 3 ~ 30 [2013]
  • 다문화가족 지원에 관한 법체계 개선 방안 연구
    정상우 법학논총 26 (1) : 483 ~ 510 [2009]
  • 다문화 사회의 법제와 인권 패러다임
    송영현 법학연구 24 (1) : 43 ~ 77 [2013]
  • 다문화 가족의 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제 소고
    이승우 가족법연구 23 (3) : 215 ~ 238 [2009]
  • 국제이주여성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최봉경 서울대학교 법학 51 (2) : 131 ~ 162 [2010]
  • 국민국가 속에서 국민의 자격-독일제국 성립부터 2차 대전의 패전까지-
    권형진 일감법학 (26) : 165 ~ 201 [2013]
  • 결혼 이민자를 위한 관련법의 비판적 고찰
    김영선 동아법학 (52) : 107 ~ 141 [2011]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개선 방안 : 독일 ‘통합과정’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박혜숙 인문학연구 (44) : 263 ~ 309 [2012]
  • Multicultural Citizenship
    Kymlicka, Will Oxford [1996]
  • Migrationsverwaltungsrecht
    Thym, Daniel Tübingen [2010]
  • Integration durch Recht
    Stadler, Max Hohenheimer Tage zum Ausländerrecht : 31 ~ 45 [2011]
  • Homogenens Volk, Über Homogenitätspostulate und Integration
    Lübbe-Wolff, Gertrude Hohenheimer Tage zum Ausländerrecht : 19 ~ 30 [2011]
  • Assimilation und Integration – eine Begriffsanalyse aus der Perspektive der Rechtswissenschaft
    Schneider, Katja ZAR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