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 :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floweringplant
  • folkpaintings
  • garden
  • plant
  • 민화
  • 정원식물
  • 화훼식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7 0

0.0%

' 연구논문 :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민화도록(韓國民畵圖錄)Ⓘ
  • 한국 전통 조경 식재 :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 30 ~ 31
    이선 [2006]
  • 조선왕조실록
  • 박사
  •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 : 옛 그림 및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옥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 조선시대 전통회화와 민화에 나타난 식물류 및 모란도의 색채와 조형분석
    박혜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에 관한 연구 : 조경 식물을 중심으로
    이승훈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1]
  • 조선 후기 상류주택 사의당(四宜堂)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신상섭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 (2) : 19 ~ 27 [2011]
  • 조선 궁중 繪畫 : 조선 왕실 그림
    궁중 유물 전시관 자료 4집 [1996]
  • 조경 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 연구
    배상선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 (8) : 281 ~ 313 [1989]
  • 우리 꽃문화 답사기
    이상희 도서출판 넥서스 [1999]
  • 양화소록
    강희안 눌와출판사 [1999]
  •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
  • 민화와 장식병풍
  • 단원 김홍도
  • 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알마출판사 [2008]
  • 꽃과 새 선비의 마음
    고연희 보림 [2008]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지식정보시스템
  • 고려대학교 박물관 명품 도록
  • 鄕校 및 書院의 空間別 象徵樹木과 配植類型
    노송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 (1) : 1 ~ 12 [2006]
  • 造景植物의 象徵性에 관한 基礎硏究
    裵常善 高麗大學校 食糧開發大學院 [1990]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나타난 정원조영 연구 - 「이운지(怡雲志)」와 「상택지(相宅志)」를 중심으로 -
    김규섭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 (1) : 22 ~ 30 [2014]
  • 「芝峯類說」로 본 李睟光의 조경식물 인식 및 가치관
    신상섭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 (1) : 1 ~ 10 [2009]
  • <花庵九曲 >의 작가 柳樸(17301787)과 花庵隨錄
    정민 한국시가연구 14 [2003]
  • 19世紀 中葉에서 20世紀 中葉에 造營된 韓國庭園 構成要素의 轉換期的 樣相
    이원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 (2) : 56 ~ 69 [2006]